경남 양산시 영축산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웅전(국보)이다. 상로전 영역이 주불전이자, 통도사에서도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건물 뒷편에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두고 있어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는다. 삼국시대 신라 선덕여왕 때 처음 지어졌다고 하며, 여러차례 중수와 중건을 거듭해 왔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조선후기 인조 때 새로 지은 것이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큰 절로, 신라 선덕여왕 때 (646년)에 자장율사가 세웠다. 불보(佛寶) 사찰로도 불리는 통도사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적멸보궁이 있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또한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사찰로도 알려져 있다. 사찰내에는 석종형 탑인 금강계단과 대웅전(국보)를 비롯하여 많은 불전들을 두고 있다.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5칸으로 ‘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쌓은 가구식 기단 위에 건물을 올렸는데 통일신라 건축 양식이 많이 남아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다포계 양식을 하고 있다. 금강계단을 향하는 앞면 3칸으로 좁게 만들었으며, 불이문을 들어섰을 때 보이는 옆면을 5칸으로 만들어 각방향에서 볼 때 정면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동쪽에는 ‘대웅전’, 남쪽에는 ‘금강계단’, 서쪽에는 ‘대방광전’, 북쪽에는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의 건물로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통도사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불전이다.
건물은 잘다듬은 화강석을 짜맞춘 가구식 기단을 사용하고 있는데, 연꽃무늬 등을 새겨놓고 있다. 통일신라 건축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다포계 양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려한 단청으로 장식하고 있다.
남쪽편 가운데는 4분합문을, 양쪽에는 2분합문을 사용하고 있다. 문살은 격자무늬이다.
동쪽은 2분합문을 사용하고 있으며, 격자무늬 문살과 꽃무늬 문살이 섞여 있다.
건물내부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고 있으며 신도들이 기도를 올리거나 공식적인 행사를 진행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불이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동쪽편. ‘대웅전’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남쪽편에서 본 모습. 팔작지붕의 옆면처럼 보이며 ‘금강계단’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서쪽편에서 본 모습. ‘대방광전’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북쪽편 금강계단 옆에서 본 모습.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팔작지붕 건물의 정면처럼 보인다.
금강계단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자 승려가 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수계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넓게 만든 2층 기단 위에 진신사리를 모신 석종형 탑을 올려 놓았다. 기단의 바깥에는 불법을 수호하는 천인상, 신장상 등 다양한 조각상이 새겨져 있다.
중로전 출입문인 불이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상로전 영역. 웅장한 대웅전 건물이 불보사찰의 장엄함을 더해주고 있다. 대웅전 앞에 놓여진 석탑은 장식적인 효과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 및 금강계단, 국보 290호
대웅전은 상로전 영역의 중심건물이자 통도사를 대표하는 목조 건축물이다. 건물 뒤쪽에 자장율사가 가져온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있어 내부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646년(신라 선덕여왕 15)에 처음 지은 후 수차례 중건과 중수를 거듭했으며,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44년(인조 22)에 우운대사가 고쳐 지은 것이다. 대웅전은 두개의 건물을 복합시킨 형태로 내부이 기둥 배열이 다른 건물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지붕은 ‘丁’자형을 이루고 있어 앞면과 뒷면, 옆면이 모두 정면처럼 보인다. 대웅전에는 건물의 다양한 성격을 반영하듯 동쪽에는 대웅전, 서쪽에는 대방광전, 남쪽에는 금강계단, 북쪽에는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특히 금강계단의 글씨는 흥선대원군의 친필로 유명하다. 금강계단은 승려가 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수계(受戒) 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계단 가운데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종모양의 석조물을 마련하였는데, 이는 부처님이 항상 계시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안내문, 양산 통도사, 2017년)
<출처>
- 양산 통도사
- 문화재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