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부산 범어사 팔상 독성 나한전, 3개의 불전이 같이 있는 건물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梵魚寺)에 있는 팔상.독성.나한전이다. 주불전인 대웅전 왼쪽편에 이 불전은 하나의 건물에 3개의 불전이 있는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18세기초에 처음 지어졌을 때는 팔상전과 나한전이 나란히 세워져 있었으며, 가운데 천태문이 있었다고 한다. 1907년 건물을 수리할 때 팔상전과 나한전은 옛 건물을 그대로 두고 가운데 독성전이 새롭게 지었다. 건물은 앞면 7칸, 옆면 3칸 규모이다. 팔상전과 나한전이 앞면 3칸씩이며 독성전이 가운데 1칸을 사용하고 있다. 한 건물에 여러개의 불전을 두고 있으며, 20세기초 불전 건축양식을 볼 수 있는 독특한 건물이다.

부산 금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범어사은 신라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십찰 중 하나이나이다. 삼국시대 신라를 괴롭히던 왜(倭)를 물리치고 했던 소망이 담긴 전형적인 호국사찰이다.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되었던 것을 광해군 때부터 중창하였으며, 정조 때 백암선사가 크게 중건하여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경내에는 대웅전(보물), 삼층석탑(보물), 조계문(보물)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

3개의 불전이 한 건물에 있다. 2개의 불전이 나란히 세워져 있었는데, 두 건물 사이 공간에 1칸 규모의 불전을 만들었다. 1906년에 건물을 고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옆에서 본 모습>

앞면 7칸에 옆면 3칸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축물이다. 잘 다듬은 화강석 석재로 축대와 계단을 쌓고 단청과 문살을 화려하게 만든 건축물이다. 옛 불전양식을 유지하면서도 20세기 초 불전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가운데 독성전>

1칸규모로 반원형 문틀을 사용하고 있다. 원래 천태문이 있었던 곳을  불전으로 바꾸었다. 독성은 스승없이 혼자 깨달음을 얻은 성자를 일컫는 말로 나반존자라고 한다. 나반존자를 모시는 불전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으로 토착신앙으로 보고 있다. 보통 삼성각에 같이 모시거나, 작은 전각인 독성각에 모시는 경우가 보통인데 이 곳 범어사는 독성전을 두고 있다.

<오른쪽 팔상전>

석가여래 일생을 그린 팔상도를 모시는 불전이다. 앞면 3칸 규모로 18세기 초에 있던 부분을 유지하고 있다.

<왼쪽 나한전>

석가여래의 제자를 모신 불전으로 팔상전과 마찬가지로 18세기 초에 지은 건물형태가 유지되고 있다.

<불전 앞 공간>

<불전 아래 글자가 새겨진 바위>

<부산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

정면 7칸, 측면 1칸인 이 건물은 1902년에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당시까지는 중앙의 천태문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팔상전과 나한전이란 별개의 건물이 서 있다가, 1905년 11월부터 약 1년에 걸친 공사 끝에 현재의 모습으로 새롭게 단장되었다. 따라서 팔상전과 나한전의 건축 형식은 변형되거나 고쳐지지 않고 1906년 이전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1906년에 단장된 독성전 부분은 문틀을 하나의 통채로 사용해서 반원형으로 구부려 만든 독특한 모습이고, 삼격형 벽체 부분에는 넝쿨형상을 조각하였으며, 창호도 화문실로 아름답게 꾸미는 등 장식수법이 유사한 예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뛰어나다.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은 300여년전의 건축형식을 상당부분 유지하고 있고, 특히 하나의 건물에 새 불전을 모신 점과 중앙에 위치한 독성전 출입구 부분의 뛰어난 조각수법은 그 예가 극히 드물정도로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갖추고 있는 건축물이다. (안내문, 부산 범어사, 2011년)

<출처>

  1. 부산 범어사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