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복궁 함화당과 집경당, 후궁들이 거처하는 영역

경복궁 교태전과 향원정 사이에는 후궁들이 거처하던 영역으로 동궐에서 창경궁 명정전 북쪽 지역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 공간이다. 창경궁에는 영춘헌과 집복헌이 남아 있다면, 경복궁에는 함화당(咸和堂)과 집경당(緝敬堂)을 대표적인 전각으로 최근에 복원하였다. 함하당과 집경당은 같은 울타리안에 붙어 있는 건물로 후궁 영역에 있지만 그 용도는 확실하지 않다. 아마도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건물을 만들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동궐 창경궁에 많은 전각들이 있어서 실제로 많이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함화당과 집경당은 누마루와 침전, 그리고 여러동의 행각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도각으로 두 건물은 연결되어 있다. 두 건물은 경복궁 후원에 조성한 향원정 풍경을 누마루에서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실제로 중궁전인 교태전이나 대비전인 자경전보다 좋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전각이다. 후궁 중 지위가 높거나 대비에 준하는 지위를 가진 사람이 거처할 용도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중궁전인 교태전과는 독립된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

<함화당과 집경당>

경복궁 교태전을 나서면 향원정과 건청궁을 가는 길에 독립된 영역처럼 보이는 건물군인 함화당과 집경당을 볼 수 있다. 건물 형태는 일반 사대부 저택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주위에는 후궁들이 거처하는 많은 전각들이 있었다. 함화당과 집경당은 그 용도가 알려져 있지 않고, 후궁들이 거처하기에는 규모가 크다.

<함화당>

서쪽편에 위치한 함화당은 앞면 7칸에 누마루가 있는 건물이다. 건청궁 사랑채인 장안당과 규모나 형태가 비슷하다. 후궁이 거처하기에는 건물의 규모가 크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를, 양쪽에 온돌방과 누마루를 두고 있다. 넓은 대청마루가 있고, 그 앞에 마당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공식적인 행사를 치룰 수 있는 구조이다. 고종이 외국사신을 이곳에서 접견하기도 했다고 한다.

<뒤에서 본 모습>

뒤편에는 난간이 있는 툇마루를 두고 있으며, 향원정 경치를 감상하기에 좋다. 집경당과는 담장으로 분리하여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작은 협문으로 출입한다.

<함화당 마당과 행각>

<바깥쪽 행각>

행각 바깥쪽에도 크고 작은 방들로 된 행각이 있으며, 별도의 출입문을 두고 있지 않다.

<서쪽편 장고(醬庫)와 연결되는 출입문>

<집경당 출입문>

<안쪽에서 본 모습>

건청궁과 마찬가지로 안채처럼 보이는 집경당에 정문을 두고 있다.

<집경당>

집경당은 앞면 9칸의 큰 건물로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 양쪽에 3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중전의 침전인 교태전과 비슷한 규모이다. 왼쪽편 행각을 누마루처럼 만들었다.

<집경당 동쪽 행각>

<서쪽 행각>

<함화당과 연결되는 백상문(百祥門)>

<집경당 행각 뒷편>

앞쪽으로 돌출되어 누마루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함화당과 집경당을 연결하는 복도각>

<뒤에서 본 모습>

집경당은 향원정이 있는 북쪽으로 누마루를 두고 있고, 난간이 있는 툇마루에서 향원정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별채처럼 지은 작은 행각>

<향원정으로 연결되는 작은 협문>

함화당(咸和堂)과 집경당(緝敬堂)
중궁전인 교태전 북쪽에는 홍복전과 여러 빈들의 거처인 후궁영역이 있었다. 이 영역과 관련 있는 내전 가운데 함화당과 집경당이 남아 있는데, 외국 사신을 접견한 기록이 간간이 등장할 뿐 건물의 용도가 명확지 않다. 두 건물 사이를 연결하는 높은 복도가 남아 있어서 원래 궁궐의 복잡한 통로 체계의 흔적을 보여주며, 집경당에 돌출된 누마루에서 북쪽 향원정을 감상할 수 있다. <출처: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