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 석장비(보물)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 부속암자인 홍제암에 있는 사명대사 석장비(보물)이다. 홍제암은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활동하면서 조선 불교에 큰 영향을 끼친 사명대사가 머물다 입적한 유서깊은 곳이다. 사명대사탑은 홍제암 뒷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데 고려시대 승탑 양식을 계승한 석종양식을 하고 있다.

석장비는 사명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비석으로 홍제암 옆 공간에 여러 승탑, 탑비들과 함께 있다.비석은 광해군 때 세워졌는데 소설 『홍길동전』의 저자 허군이 비문을 지었다. 비문은 문장이 빼어나며 사명대사의 행적을 비교적 소상히 기록하고 있다. 이 비석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합천 경찰서장이 네조각으로 깨뜨렸던 것을 수리하여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합천 해인사 홍제암 옆 마당에 세워져 있는 사명대사 석장비>

거북받침돌, 비몸, 머릿돌로 구성된 당나라 전통 비석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일본인에 의해 4조각으로 깨졌던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비석을 받치는 거북받침돌>


<사명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비몸>

허균이 비문을 지었는데 문장이 뛰어나며 행적도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비석 뒷면>

<용과 구름을 입체감있게 조각해 놓은 머릿돌>


<뒷편에서 본 모습>

<사명대사 석장비와 함께 있는 승탑과 비석들>

<사명대사 승탑(보물)>

사명대사 사리를 모신 승탑은 뒷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사명대사가 머물다 입적했던 홍제암(보물)>

건물은 그가 죽은 후 영정을 모시기 위해 지어졌다.

해인사 사명대사 부도 및 석장비, 보물,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임진왜란 때 승장으로 나라를 지킨 사명대사의 일대기를 기록한 비석과 사리를 봉안한 부도이다. 해인사의 부속암자인 홍제암 경내에 있다. 홍제암은 사명대사가 1608년에 선조의 하사로 창건하여 말년까지 수도하다 입적한 곳이다. 부도는 사명대사가 입적한 1610년에 만들어졌고, 비석은 1612년에 건립되었다가 1943년에 일본인이 깨트린 것을 1958년에 복원한 것이다. 부도는 고려의 승탑 형식을 계승하여 3단의 연화대좌와 종모양의 탑신, 둔중한 지붕돌을 갖추고 있다. (안내문, 합천 해인사, 2017년)

<출처>

  1. 안내문, 합천 해인사,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