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합천 해인사 홍제암(보물), 사명대사가 입적한 유서깊은 암자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에 있는 암자인 홍제암(弘濟庵, 보물)이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고 큰 역할을 했던 사명대사가 머물다 입적한 곳이다. 그의 사후 광해군이 ‘자통홍제존자’라는 시호를 내리면서 홍제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의 사후 영정을 모시기 위해 현 건물이 세워졌으며 여러차례 수리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불상을 모시는 불전과 생활공간인 요사채를 겸하고 있는 인법당(因法堂) 형식을 하고 있다. 양쪽이 누마루처럼 돌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工’자형 평면배치를 하고 있다. 가운데 불상을 모시는 불전을 중심으로 양쪽에 영정을 모시는 조사전을 비롯하여 여러 기능의 방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툇마루를 통해 연결되고 있다. 여러 기능의 공간이 한 건물에 있는 독특한 형태의 암자로 건축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건물이다.

<합천 해인사 홍제암(보물)>

사명대사가 마지막으로 머물다 입적한 유서깊은 암자이다.

<홍제암 출입문인 보승문>

유교식 삼문 형식을 하고 있는 출입문이다.

<홍제암>

건물은 그의 사후 영정을 모시기 위해 세워졌다. 불전과 생활공간이 한 건물에 있는 특이한 형태의 암자로 ‘工’자형 평면배치를 하고 있다. 1970년대에 크게 수리하여 지금은 새로 지은 건물처럼 보인다.

<가운데 부분>

홍제암 가운데는 불상을 모신은 불전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홍제암’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홍제암 내부에 모셔진 불상>

<동쪽 누마루>

동쪽은 앞면 2칸의 누마루처럼 생긴 형태로 ‘표충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영자각(影子閣)이라 하며 고승 16명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고 한다. 영조 때 표충사라고 불렀는데 밀양에 표충사가 있어 이후에 이곳을 폐하였다고 한다.

<서쪽 누마루>

<툇마루>

홍제암의 공간들은 툇마루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옆쪽에서 본 모습>

안쪽에 생활공간인 요사채가 있다.

<동쪽에서 본 홍제암>

<홍제암 서쪽편에 있는 큰 규모의 요사채>

<안쪽에 있는 작은 요사채>

승려들이 머무는 공간이 상당히 많은 편으로 해인사 승려들이 머물기를 선호하는 공간으로 보인다.

<홍제암 동쪽 석장비와 승탑들이 있는 공간과 연결되는 작은 협문>

<사명대사 석장비(보물)>

사명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비석으로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이 비문을 지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훼손한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석장비와 함께 있는 승탑과 비석들>

<홍제암 뒷편 언덕에 있는 사명대사 사리를 모신 승탑(보물)>

홍제암, 보물
홍제암은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나라를 지킨 사명대사가 선조대왕의 하사로 1608년에 창건하여 수도하시다가 입적하신 곳이다. 1614년(광해 6)에 혜구 스님이 양자전을 지어 서산, 사명, 영규대사의 영정을 봉안하였고, 1674년에 현종께서 홍제당(암)을 사핵하였으며 그동안 6차례 보수하였는데, 현존 건물은 당시 고 박정희 대통령의 특별예산 조치로 1979년 10월에 완전 해체 복원하였다. 경내에는 보물 1301호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가 있다. 사명대사 부도 및 탑비는 대사의 일대기를 기록한 것으로 1612년(광해 4)에 건립하였고, 1943년에 일본인 합천 경찰서장이 파손하였던 것을 1958년에 복원하였다. 부도는 사명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석조물로서 1610년 입적하신 해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내문, 합천 해인사, 2017년)

<출처>

  1. 안내문, 합천 해인사,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