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보물)

경북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에 있는 마애여래삼존상(보물)이다. 이 불상은 바위에 4면에 불상을 새겼던 것으로 지금은 삼존불상만 형체를 알아볼 수 있으며, 나머지 면은 닳아서 그 형체를 알아볼 수 없다. 얼굴의 형태나 옷주름의 표현, 광배 등에서 불교가 전래되었던 삼국시대에 많이 조성되었던 바위에 새긴 삼존불상의 형식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단순하면서 입체감있으며, 표현이 부드러운 편이다. 불상의 규모가 크지는 않으며, 조각수법이나 양식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인근 영주 가흥동에 있는 마애여래삼존상(보물 221호)와 비슷한 형식이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보물)>

바위의 4면에 불상을 새긴 사방불상으로 지금은 앞면의 삼존상만이 그 형체를 알아볼 수 있다. 통일신라 사방불상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조성되었다.

<본존불과 협시보살상 얼굴>

뒷면에 불꽃무늬 형태의 광배를 새겨놓았다.


<가운데 높이 149 cm의 본존불>

결과부좌를 하고 있는 여래를 표현하고 있다.


<양쪽 옆에는 보관을 쓰고 있는 보살>


<반대편에서 본 모습>

단순하면서도 입체감있게 표현하고 있다.

<불상이 새겨진 것으로 보이는 옆면>


<옆면>

불상은 그 형체를 거의 알아볼 수 없다.

<반대편 옆면>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보물)>

불상은 길 옆 논 가운데 위치하고 있는데, 지금은 보호각에 불상을 모시고 있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보물, 경북 영주시 이산면 한성로
이 불상은 삼국시대 말기 또는 통일신라 시대 초기에 돌에 새긴 불상이다. 바위 네 면에 형상을 도드라지게 새긴 이 석불은 일부 닳았지만 한 면의 삼존불상만은 뚜렷하다. 결가부좌한 본존불이 가운데 앉아 있고, 양 옆에 본존을 모시는 보살이 서 있다. 본존불은 민머리에 얼굴이 가름하며 어깨가 딱 벌어져 있다. 양 어꺠를 덮은 옷은 앞가슴이 U자형으로 터졌으며 여기에 속옷을 맨 띠 매듭이 표현되었다. 양 옆에서 본존을 모시는 보살 역시 불꽃 무늬가 새겨진 두광을 지니고, 머리에 관을 썼는데 체구에 비해 얼굴이 크고 어깨가 좁으며 옷자락이 묵직한 점 등이 본존불의 양식과 비슷하다. 이러한 특징은 다른 세 면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이고 있어 이 불상은 7세기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사방 불상으로 높이 평가된다. 본존 불상의 높이는 149 cm이고, 본존을 모시는 양 옆 보살상의 높이는 좌우 각각 108 cm와 112 cm이다.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출처>

  1.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