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조선시대 읍치 모습이 잘 남아 있는 전통마을

전남 순천시 낙안면 동.서.남내리에 있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이다. 옛 낙안군 읍치였던 마을이 원형에 가깝게 남아 있는 곳으로 읍성과 함께 조선시대 읍치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유서깊은 전통마을이다. 읍성은 직사각형 형태로 둘레 1.4 km 정도이며, 동.서.남문을 두고 있다. 읍성내에는 중심부에 위치한 관아를 중심으로 동.서.남문과 연결되는 큰 도로가 있으며, 동.서를 연결하는 큰길 남쪽에 민가들이 있다.

성안에는 약 90 가구의 민가들이 있는데 대부분 초가집이다. 그 중 아전 등 향리계층들이 살았던 집들은 규모가 큰 편이며, 관아에서 일했던 서민들이 살았던 집들은 대부분 3칸 규모의 작은 초가집들이다. 그 중 19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보존가치가 높은 집들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집들도 대부분 원형에 가깝게 수리하여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낙안읍성 서남쪽 언덕에서 내려다 보이는 마을. 조선시대 낙안군 읍치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낙안읍성 배치도. 읍치는 동.서를 가로지르는 큰 길을 기준으로 북쪽에 관아와 부속건물 등이, 남쪽에 읍치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살았던 가옥들이 배치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현재 낙안읍성 정문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문으로 들어가는 길.

OLYMPUS DIGITAL CAMERA낙안읍성 동문 옆 성벽 위에서 내려다 보이는 읍치. 객사 앞 마을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수령이 400년이 넘은 은행나무가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성벽 안쪽에 있는 비교적 큰 규모의 민가. 관아에서 근무했던 아전 등 향리계층이 살았던 집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성벽 바깥쪽에 있는 서민계층이 살았던 앞면 2칸 규모의 작은 초가집.

OLYMPUS DIGITAL CAMERA동문을 들어서면 서문으로 연결되는 큰 길을 볼 수 있다. 민가들은 주로 큰 길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성문 안쪽에 볼 수 있는 상점. 일제강점기 이후 상점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옛 시골마을 상점 모습을 하고 있는 초가집.

OLYMPUS DIGITAL CAMERA낙안읍성 관아 중심건물인 객사. 낙안군이 폐지되면서 초등학교 건물로 사용되었다가 지금은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낙안군 관아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객사 옆 낙안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낙안읍성이 유적지로 바뀌면서 옛 모습을 추정하여 복원하였다.

OLYMPUS DIGITAL CAMERA관아 앞에 남아 있는 고목

OLYMPUS DIGITAL CAMERA관아 앞에서 남문으로 연결되는 큰 길. 주위에 읍치에서 터를 잡고 살았던 민가들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관아 앞에 조성해 놓은 장터. 낙안읍성을 찾은 관광객들이 쉴 수 있도록 조성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서문으로 연결되는 큰 길.

OLYMPUS DIGITAL CAMERA 큰 길 옆에 있는 문화재로 지정된 전통가옥인 마루방집. 마당이 비교적 넓은 집으로 안쪽에 ‘-’자형 안채가 자리잡고 있다. 비교적 큰 규모의 가옥으로 관아에 근무했던 아전 또는 향리가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낙안읍성 서문 바로 안쪽 큰 길에 전통가옥인 대나무 서까래집. 부엌 1칸, 방 2칸의 서민들이 살았던 작은 ‘-’자형 초가집이다. 관아에 소속되어 일했던 사람이 살았던 가옥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낙안읍성 서문. 성벽 안쪽과 바깥쪽에 민가들이 들어서 있다. 작은 규모의 서민들이 살았던 초가집들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서문 안쪽으로 보이는 마을.

OLYMPUS DIGITAL CAMERA서문 바깥쪽에 있는 전통가옥인 서문성벽집. 건물은 ‘-’자형 안채와 헛간채, 가게로 사용되었던 작은 별채가 있다. 안채는 19세기 지어진 건물로 전형적인 읍성내 가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낙안읍성 서문 입구에서 있으면서 상점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성벽 바깥쪽에 있는 작은 초가집.

OLYMPUS DIGITAL CAMERA남쪽 성벽 안쪽에 있는 민가들.

OLYMPUS DIGITAL CAMERA성벽 안쪽에 있는 민가들 중 비교적 큰 가옥. 초가지붕을 하고 있지만 건물의 규모나 건축자재, 넓은 마당 등으로 볼 때 향리계층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서민 계층이 살았든 작은 초가집.

OLYMPUS DIGITAL CAMERA향리 계층이 살았던 큰 규모의 초가집.

OLYMPUS DIGITAL CAMERA상당히 큰 규모의 초가집.

OLYMPUS DIGITAL CAMERA향리 계층이 살았던 가옥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 초가집. 목재기둥을 사용하고 있으며, 바깥쪽에 툇마루을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서민계층이 살았던 작은 초가집. 기둥이 많지 않고 흙벽이 지붕을 받치고 있는 형태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원래 낙안읍성 정문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남문

OLYMPUS DIGITAL CAMERA남쪽 성벽 바깥쪽에 있는 민가들.

OLYMPUS DIGITAL CAMERA남문 안쪽에 있는 전통가옥인  주막집. 성벽 안쪽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지은 집으로 방2개, 점포, 부엌으로 구성된 ‘田’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읍성을 드나드는 사람들을 상대로 장사를 하기 위해 지은 작은 점포로 18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남문에서 관아로 들어가는 큰 길.

OLYMPUS DIGITAL CAMERA남문에서 동문으로 연결되는 큰 길과 주변 민가들,

OLYMPUS DIGITAL CAMERA동문과 남문 사이에 있는 골목길과 민가들

OLYMPUS DIGITAL CAMERA남쪽 성벽 안쪽에 있는 연못. 비상시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읍성내 큰 길 옆에 볼 수 있는 옛 하수도

OLYMPUS DIGITAL CAMERA하수도 물길이 읍성 바깥으로 연결되는 작은 수문.

  1. 안내문, 순천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