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월출산 월남사지, 백제계 양식 석탑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절터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마을에 남아 있는 월남사지 절터이다. 월남사는 기록에 따르면 고려시대 송광사 2대국사인 진각국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나 사찰 형태 등으로 볼 때 그 이전부터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절터에는 백제석탑 양식을 계승한 월남사지삼층석탑(보물 298호), 진각국사비(보물 313호)가 남아 있었다. 최근 인근 민가에서 신라계 양식의 지붕돌이 발견되어 2기의 석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0년에는 절터에 민가와 작은 사찰이 있었으나 죄근에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옛 절터의 모습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월남사는 정유재란 때 소실된 후 폐사되어 절터만 남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강진 월남사지. 발굴.조사가 진행되기 전 모습인데 마을 가운데 삼층석탑이 남아 있었다.

SANYO DIGITAL CAMERA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298호). 화강석을 목재처럼 다듬어 짜맞추어 목탑처럼 만든 백제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는 독특한 형태의 고려시대 석탑이다.

SANYO DIGITAL CAMERA석탑 뒷편 불전이 있던 자리에는 최근까지 월남사라는 사찰이 있었다.

SANYO DIGITAL CAMERA월남사지 전각들이 들어서 있었던 석탑 왼쪽편 건물터.

SANYO DIGITAL CAMERA절터에는 발굴.조사가 진행되기 전까지 민가들이 들어서 있었고 건물터는 농경지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건물터 뒷편으로 보이는 월출산 봉우리.

SANYO DIGITAL CAMERA절터 한쪽편 마을에 자리잡고 있는 진각국사비(보물 313호)

월남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월남사지는 월출산 남쪽에 있던 큰 규모의 절로 처음 세워진 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고려 진각국사 혜심(1178~1234)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이후 어떤 과정을 거쳐 언제 절이 없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현재 절터에 남아 있는 유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삼층석탑과 이규보가 쓴 진각국사비가 남아 있다. 월남사지는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불에 타 없어진 후 지금까지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월남사는 진각국사가 주석한 사실에도 백제계 석탑이 남아 있는 사지로서는 가장 그 규모가 커 주목되고 있다. 이 석탑은 법당지의 전면으로 추정되는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최근에 현 석탑 좌측의 민가 장독대에서 석탑의 옥개석(지붕돌)이 발견되었는데 현지 주민들이 구전한 바로는 현 석탑의 주변에서 수습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시실을 볼 때 월남사지에는 원래 2기의 석탑이 있었던 것 같다. (안내문, 강진군청, 2010년)

<출처>

  1. 안내문, 강진군청, 2010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