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김제 벽골제(사적), 삼국시대 수리시설 유적

전북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에 있는 벽골제(사적)이다. 제천 의림지, 밀량 수산제와 함께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농업용 저수지로 금산사가 모악산에서 흘러 내려온 원평천이 동진강과 만나 바다로 흘러드는 지점에서 약 7 km 정도 떨어진 넓은 평야에 위치하고 있다. 삼국시대 초기 백제 비류왕 때(330)에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 통일신라 원성왕 때(790), 고려 현종과 인종 (1143)에 고쳐 쌓았으며, 조선 초 태종 때인 1415에 다시 쌓은 이후 무너져 사용하지 않고 있다.

현재 벽골제 유적지에는 약 3 km 정도의 제방과 수문 흔적 2곳이 남아 있다. 제방은 일제강점기에 농사에 필요한 수로를 만들때 고쳐 사용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많이 바뀌었다고 한다. 삼국시대 초기에 제방을 쌓은 이래 여러차례 수리를 하기는 했지만 오랜 세월 사용해 왔던 유서깊은 곳으로 당시의 높은 토목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김제 벽골제(사적)>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수리시설 중 하나로 지금은 그 모습이 일부 바뀌기는 했지만 당시에 쌓은 토축의 일부가 잘 남아 있는 곳이다.

<벽골제 안내문>

벽골제는 장생거가 있는 현위치 부근에서 남쪽 월승리 명승산까지 약 3.3 km에 이르는 큰 규모 제방을 쌓고 조성한 저수지였다. 장생거, 경장거를 비롯하여 5개의 수문이 있었다고 한다.

<벽골제 제방>

흙으로 쌓은 토축으로 높이 3.3 ~ 4.3 m이며 상단폭은 10 m 정도였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제방을 절단하여 수로를 조성하면서 그 모습이 크게 바뀌었다. 바깥쪽 제방을 쌓은 토축은 삼국시대에 조성한 것이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5곳의 수문 중 남아 있는 수문 흔적인 장생거>

<장생거 수문>

나머지 한곳 경장거는 이곳에서 남쪽으로 2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수문은 길이 5.5 m 돌기둥을 4.2 간격으로 세우고 돌기둥 안쪽에 홈을파서 목제 둑판을 넣어 수위를 조절하는 구조였던 것으로 보인다.

<벽골제 수문 모형>

양쪽 제방 위에 올라 동시에 물레를 돌리면 수문이 열린다.

장생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벽골제에는 총 5개의 수문이 있었고, 수문의 명칭은 수여거, 장생거, 중심거, 경장거, 유통거라고 한다. 그 중 현재 제방과 함께 남아 있는 수문은 두 개소로 단지 내 장생거와 단지 밖 벽골제 제방을 따라 남쪽으로 약 2 km에 위치한 경장거이다. 1980년데 수문 일부 복원 공사로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실린 벽골제중수비 기록에 지방의 단면과 수문구조가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둑의 아래 넓이는 70자요, 위의 넓이는 30자이며, 높이가 17자이고 수문은 마치 구롱처럼 바라 보였다. … 또 양쪽 석주심이 움푹 들어간 곳에는 느티나무 판을 가로 질러서, 내외로 고리와 쇠줄을 달아 나무판을 들어올리면 물이 흐르도록 하였으니, 수분의 넓이는 모두가 13자요, 돌기둥의 높이는 15자이며, 땅속으로 5자나 들어가 있다. .. 이것이 벽골제의 대략이니 때는 영락 13년(1415)이다. …” (안내문, 김제시청, 2010년)

<벽골제 제방 윗부분>

너비 10 m 정도이다. 일제강점기에 반으로 잘라 수로를 조성했다고 하는데 지금은 원래 모습을 복원한 것으로 보인다.(?)

<벽골제 안쪽>

넓은 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수로가 조성되어 있다.

<벽골제 안쪽 물을 가두어 두었던 저수지>

조선 초 세종 때 (1420년) 홍수로 무너진 후 복구하지 않고 농토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벽골제 북쪽 끝 부분>

서해로 흘러드는 원평천과 만나는 지점이다. 현재 사용하는 있는 수문이 보인다.


<벽골제 중수비>

조선초 벽골제를 다시 쌓으면서 이를 기념하여 세운 비석이다. 지금은 닳아서 그 내용을 알아볼 수 없다.

 

<벽골제 앞에 조성된 공원>

옛 수시시설 모형들을 설치해 놓고 있다.

<무자위>

평야지대 논에서 사용되는 관개시설인 무자위이다. 염전에서는 최근까지도 사용되었다.

<공원 광장에 옮겨 놓은  월촌입석.>

월촌입석
입석은 마을의 입구에 세우져 재앙을 막아주는 수문신이자, 마을의 풍농과 평안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섬겨진 큰돌 문화재이다. 입석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날 남녀편으로 나뉘어 ‘줄다리기’를 하는데 여자편이 이겨야 그해 풍년이 든다고 믿고 있다. 줄다리기가 여자편의 승리로 끝나면 사용한 동아줄을 입석에 감아두고 고을의 풍농과 안전을 기원하는 당산제를 올린다. 임석에 감아둔 동아줄에 손을 대면 동티가 난다 하여 다음 제사 때까지 1년 동안 손을 대지 않는다. 이 입석은 사각기둥형 자연석이며 높이는 210 cm, 폭 62 cm, 두께 40 cm이다.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매년 지평선축제 때 이곳 벽골제에서 입석줄다리기를 재현하고 있다. (안내문, 김제시청, 2010년)

<공원에서 볼 수 있는 ‘아리랑 문학비’>

김제 벽골제, 사적,
김제를 옛 마한시대에는 벽비리국, 백제시대에는 벽골군으로 불렀다. 이는 벼의 골이라는 뜻으로 도향의 이름이다. 이러한 지명의 연유로 벽골제는 우리 고어로 벼골의 둑이 한자로써 벽골제라 표기된 것에 기한한 듯 하다. 국내 최고최대의 저수지인 벽골제는 금만평야를 비롯하여 정읍시, 부안군 등 1만 ha의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였다. 제방의 길이는 3.3 km, 둑의 높이는 5.7 m, 상단폭 10 m, 하단폭 21 m에 이르렀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여지승람 등 관련문헌에 따르면 백제 비류왕 27년(330)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통일신라 원성왕 6년(790), 고려 현종 (1010 ~ 1031년), 고려 인종 21년(1143), 조선 태종 15년(1415) 등 4차례에 걸쳐 개축하였으나 조선 세종 2년(1420) 홍수로 무너졌다. 그후, 일제강점기인 1925년 동진수리조합에서 둑의 가운데를 파서 농지관개용 간선수로를 설치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변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제천의 의림지, 밀양의 수산제와 더불어 3대 저수지였던 벽골제는 1963년 사적 111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기에 이르렀고, 1991년부터 벽골제개발사업이 착수되어 2만여평의 부지에 벽골제 농경문화박물관, 단야각, 단야루, 테마연못, 되배미 등을 조성하였고, 수문은 5개 중 현재는 장생거와 경장거 두 곳의 수문 석주가 남아 있다. (안내문, 김제시청, 2010년)

<출처>

  1. 안내문, 김제시청, 2010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