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자미산성,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 근거지에 남아 있는 산성

전남 나주시 반남면 소재지에 있는 산성인 자미산성이다. 영산강 일대 나주평야 중심부에 있는 낮은 야산인 자미봉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둘레는 약 740 m이고 흙으로 다져 쌓은 토축식 산성을 후에 돌로 쌓아 보강하였다. 성안에는 건물터와 샘터, 3곳의 문터가 확인되었다.

삼국시대 백제의 지방세력이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려,조선시대 기와조각들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조선시대에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미산성을 중심으로 북쪽과 서쪽으로 영산강이 흐르고 있으며 주변에는 넓은 평야지대가 펼쳐져 있다. 부근에 삼한과 백제의 무덤유적인 반남고분군(사적 513호)이 대안리, 신촌리, 덕산리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어 지역 유력한 세력들의 근거지였음을 알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나주 자미산성. 나주시 반남면 소재지에 위치한 나즈막한 야산에 쌓은 작은 산성이다. 낮은 나주평야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어 넓은 평야지대가 한눈에 들어오는 요지로 삼한시대부터 지역 유력세력의 근거지였다.

SANYO DIGITAL CAMERA반남면 소재지 마을에서 산성을 오르는 길 입구.

SANYO DIGITAL CAMERA자미산성 오르는 길.

SANYO DIGITAL CAMERA성벽과 성문이 있었던 곳으로 보이는 정상부 아래에 자미산성임을 알려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SANYO DIGITAL CAMERA표지석 옆 성벽이 있었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

SANYO DIGITAL CAMERA흙을 다져서 토축을 쌓았던 삼국시대 백제의 축성방법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자미산성 정상부로 오르는 길. 주변지역을 둘러볼 수 있는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SANYO DIGITAL CAMERA자미산성에서 남서쪽으로 내려다 보이는 모습. 반남면 소재지가 자리잡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자미산성 남쪽으로 보이는 월출산

SANYO DIGITAL CAMERA동남쪽으로는 보이는 모습. 멀리 장흥군과 화순군의 높은 봉우리들이 보인다. 그 사이에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SANYO DIGITAL CAMERA동쪽으로 보이는 모습. 멀리 광주까지 드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그 아래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의 무덤으로  고분들이 덕산리와 신촌리에 분포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삼한시대 무덤이 덕산리 고분군

SANYO DIGITAL CAMERA자미산성 북서쪽 방향, 아래쪽에 대안리 고분군이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자미산성 서쪽. 아래에는 대안리 고분군이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자미산성 정상부 표지석

나주 반남 자미산성, 전남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덕산리
이 성은 영산강 유역에 펼쳐진 나주평야의 중심지에 위치한 98 m(높이)의 소형산성으로 주변지역은 물론이고 멀리 무등산, 금성산, 월출산, 영산강이 한눈에 바라다 볼 수 있는 산성이다. 전체적인 평면형태는 마안형의 산등성이를 600 m 정도 흙으로 쌓고 돌로 보강한 테뫼식의 소형산성이며 통일신라기에 축조된 산성으로 판단되며, 일부 기와의 문양이나 제작기법으로 미루어서는 삼국시기까지 소급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성의 부속시설로는 남.북문지와 건물지 6개소, 북문밖의 샘터 1개소가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대안리 고분군, 덕산리 고분군, 신촌리 고분군 등이 있어서 이 지역의 중심세력이 거처하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안내문, 나주시청)

<출처>

  1. 안내문, 나주시청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