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 가금면에 있는 장미산성(사적)이다. 삼국시대 고구려와 신라간 분쟁이 많았던 충주 남한강변에 자리잡고 있다. 고구려와 신라가 세력권의 표시로 만든 충주 고구려비(국보)와 탑평리 칠층석탑(국보)이 남한강을 따라 약 3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산성은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나즈막한 장미산(337.5 m)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았는데 둘레는 약 2.9 km 정도이다. 성벽은 중간 크기의 돌을 대강 다듬어 석축을 쌓았는데 높이는 5 m, 폭은 약 5 ~10 m 정도이다. 성벽 일부는 온전하게 남아있고 많은 부분은 허물어져 있지만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산성 중심부 장미산 정상에 올라서면 남한강 주변 충주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충주 장미산성(사적)>
삼국시대 한강유역까지 진출했던 고구려가 쌓은 여러 산성 중 하나이다. 중간크기을 돌을 대충 다듬어 촘촘히 쌓은 고구려 산성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성벽은 일부 훼손되기는 했지만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다.
<장미산성 입구>
장미산성 북쪽 계곡에 위치한 작은 사찰인 봉학사에서 산성 탐방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곳 주변 성벽이 훼손되어 있으며 최근 성벽을 복원했다.
<봉학사가 있는 북쪽 계곡 일대 성벽>
성벽은 높이 5 m 정도이고, 성벽 위 폭은 약 5 ~10 m 정도이다. 경사가 있는 지형을 적절히 활용하여 적이 공략하기 상당히 어려운 구조이다. 여장 있는 후대 성벽과는 달리 목책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성벽 위에 마련해 놓고 있다.
<복원공사가 진행 중인 모습>
<정상부 주변 성벽>
온전한 모습이 남아 있다. 바깥쪽은 비교적 큰 돌을 잘 다듬어 석축을 쌓았다.
<견고하게 쌓은 석축>
안쪽은 중간크기의 돌을 촘촘히 쌓아 견고한 석축을 만들고 있다.
<바깥쪽 석축이 훼손된 부분>
<성벽 윗부분>
윗부분은 비교적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둘레 2.9 km로 상당히 큰 규모의 산성이다.
<장미산 정상부 주변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성벽>
<장미산 정상부>
<장미산 정상에서 내려다 보이는 남한강 주변 충주지역>
주변지역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곳에 산성을 쌓은 고구려 산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남한강변(오른쪽)에 탑평리 칠층석탑(국보)가 있는 중앙탑사적공원이 보인다.
<장미산성 남쪽에 위치한 충주 고구려비(국보)>
고구려가 남한강 유역을 장악하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으로 보인다.
<중앙탑 사적공원에 있는 탑평리 칠층석탑(국보)>
삼국통일 후 신라가 쌓은 석탑이다. 신라가 통일 후 이 지역을 거점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장미산성, 사적, 충북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
해발 337.5 m인 장미산을 중심으로 계곡을 감싸 돌로 쌓은 산성이다. 수로 및 육로교통의 요충지이자 삼국시대에 전략적 거점이기도 한 이곳에는 백제시기의 유물이 많이 발견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산성의 원류는 고구려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중원 고구려비’와 관련하여 고구려 세력의 남하와 관련된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이 성과 관련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재주서이십팔리유고석성, 충주의 서쪽 28리에 돌로 쌓은 옛성이 있다.”라 했으며, 「대동여지도」에도 “장미산에 오래된 성터가 남아 있다.”라 기록되어 있다 현재 성벽은 다소 훼손된 상태로, 성의 크기는 높은 곳이 5 m, 폭은 5~10 m이며, 둘레는 2,940 m이다. (안내문, 충주시청, 2009년)
<출처>
- 안내문, 충주시청, 2009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