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백운암, 구한말에 창건된 작은 암자.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백운산에 있는 작은 암자인 백운암이다. 구한말인 1886년 무당이었던 진령군 파평윤씨가 창건한 사찰이었다. 윤씨는 명성황후가 임오군란으로 충청도로 피난왔을 때 곧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 예언했다가 임오군란 이후 진령군이라는 벼슬을 받았다. 원래는 요사채과 불당이 한 건물에 있는 작은 암자였는데 최근에 요사채와 삼성각을 세우면서 사찰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대웅전에는 통일신라 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철조여래좌상(보물 1527호)를 모시고 있는데 원래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라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충주시 엄정면 괴동리에 있는 작은 암자인 백운암. 고려시대 큰 사찰이었던 억정사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주불인 대웅보전. 원래는 불전과 요사채를 겸했던 건물이지만 지금은 불전으로 사용하고 있다. 통일신라말에 조성된 것으로 주청되는 철조여래좌상(보물 1527호)를 모시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1527호). 석굴암 본존불 양식을 따르고 있는 철조불상으로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근 지역에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요사채.

OLYMPUS DIGITAL CAMERA삼성각.

<출처>

  1. 안내문, 충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