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문경 조령 관문(사적), 백두대간 고갯길에 쌓은 관문성

경북 문경사 문경읍 상초리에 있는 조령 관문(사적)이다. 조선시대 영남지방과 한양을 연결하는 문경새재라 불리는 조령길에 쌓은 관문성이다. 임진왜란 때 왜군의 주력부대였던 가토 기요마사의 군사와 고니시 유키나가의 군사가 이곳에서 합류하여 조령을 넘어 한양으로 진출하였다. 당시 조선군은 조령의 험한 지형을 활용하지 못하고 넓은 평야지대에 충주에서 왜군을 맞아 전멸하면서 이 곳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임진왜란때 충주 출신 신충원이 처음 성을 쌓았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 조정은 관문성을 쌓을 것을 논의만 하다가 숙종 때 전국적으로 산성을 강화할 때 이곳에 3개의 관문을 쌓았다. 고갯길 입구에 첫번째 관문 주흘관을, 임진왜란 때 성을 쌓았던 곳에 2번째 관문 조곡관을, 조령 고개 부근에 3번째 관문 조령관을 쌓았다. 군사가 주둔할 목적으로 쌓은 일반적인 산성과는 달리 교통로 주변에만 성벽을 쌓고 출입문을 둔 전형적인 관문성이다.

<문경 조령 관문(사적)>

영남지방과 서울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를 막고 있는 대표적인 관문성이다. 조선 숙종 때 쌓았던 성벽은 크게 훼손되어 폐허가 되었다가 최근에 다시 복원하였다. 인근에 드라마세트장이 있으며 이곳에서 전투장면을 많이 찍어 한국의 성곽을 대표하는 명소이기도 하다.

<첫번째 관문인 주흘관>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성벽을 쌓고 홍예로 불리는 아치형 성문과 문루를 두고 있으며 성벽 위에는 여장이 있는 한국 성곽을 대표하는 모습이다.

<성문 위 문루. ‘주휼관’이라 적인 현판이 걸려 있다.>

<성문 안 천장에 그려진 그림>

<성벽>

성벽은 잘다듬은 큰 돌로 석축을 쌓은 석성이다. 성벽 위에는 조총 공격에 대비하여 여장을 설치하였다. 숙종 때 전국적으로 크게 보강한 성벽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계곡을 막은 성벽>

성문 양쪽으로 계곡을 성벽으로 막았다.  계곡 양쪽은 경사가 심한 지형으로 성벽의 필요성은 많지 않으나 일정부분까지는 성벽을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물이 흐르는 수문>

<동쪽으로 이어지는 성벽>

<안쪽에서 본 모습>

문경새재를 오가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영남제일관’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있다. 임진왜란의 경험으로 인해 남쪽이 관문성 바깥이다.

<안쪽 성벽>

돌로 석축을 쌓은 석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주훌관 안쪽에서 본 모습>

<조곡관>

주휼관에서 약 2.5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제2관문인 조곡관은 중성의 개념으로 지은 관문으로 평탄한 지형이 끝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처음 성을 쌓았던 곳으로 실질적으로 문경새재길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다.

<해자 역할을 하는 계곡>

조곡관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비교적 수량이 많은 계곡이 해자 역할을 하고 있다.

<두번째 관문인 조곡관 성문>

<조곡관 문루. ‘조곡관’이라 적현 현판이 걸려 있다.>

<성문 동쪽편 성벽>

비교적 큰 돌로 석축을 쌓았으며 성벽 위에 여장을 설치했다. 성벽을 앞으로 돌출시켜 성문을 엄호하는 치성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안쪽에서 본 모습. ‘영남제이관’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영남 제2관문 조곡관, 사적,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이 관문은 영남에서 서울로 통하는 가장 중요한 통로였던 문경 조령의 중간에 위치한 제2관문으로 삼국시대에 축성되었다고 전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조선 선조 25년(1592) 왜란이 일어난 후에 충주사람 신충원이 이곳에 성을 쌓은 것이 시초가 되었다. 숙종 34년(1708) 조령산성을 쌓을 때 매바위 북쪽에 있던 신충원이 쌓은 옛성을 고쳐 쌓고, 중성을 삼아 관문을 조동문이라 이름하였다. 현재의 시설은 그후 폐허가 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 (안내문, 문경시청, 2019년)

<문경새재 고개에 세워진 3번째 관문인 조령관>

문경관문, 사적,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이 관문은 고려 태조가 경주를 숭행차 고사갈이성를 지날 때 성주 흥달이 세 아들을 차례로 보내어 귀순하였다는 전설이 서려 있는 곳이다. 이 관문은 영남지방과 서울간의 관문이며 도한 군사적 요새지이다. 삼국시대에는 이보다 동쪽의 계립령이 중요한 곳이었는데, 고려초부터는 이곳 초참을 혹은 새재라고 하므로 조령이라 이름하고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하였다.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 유끼나가가 경주에서 북상해 오는 카토오 키요마사의 군사와 이곳 조령에서 합류했을 정도로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다. 이때 조정에서는 이곳을 지킬것이라 생각했지만 신립장군은 때가 늦었으므로 충주로 후퇴하였다. 그후 충주에서 일어난 이병장 신충원이 오늘날의 제2관문에 성을 쌓고 교통을 차단하며 왜병을 기습하였다. 이곳의 군사적 중요성이 재확인되자 군사시설을 서둘러 숙종 34년(1708)에 이르러서야 3중의 관문을 완성하였다. 문경에서 충주로 통하는 제1관문을 주흘관, 제2관물을 조곡관, 제3관문을 조령관이라 이름한다. (안내문, 문경시청, 2019년)

<출처>

  1. 안내문, 문경시청, 201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