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에 있는 삼족대이다. 조선중기 문신 김대유가 세웠던 작은 정자로 동강천 경치가 아름다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삼족대’라는 이름은 김대유의 호 ‘삼족당’에서 따왔다. 김대유는 중종 때 일어난 기묘사화로 낙향하여 후학을 양성하면서 주세붕.조식.박하담 등 당대의 학자들과 교류를 하였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사방에 담을 두르고 있다. 후대에 여러차례 중수를 하면서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하고 있다. 건물 마루에서 내려다 보는 동창천과 주변 경치가 아름답다.
동창천을 내려보는 경치가 아름다운 곳에 세워진 작은 정자인 삼족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공간으로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 담을 둘러 쌓은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온돌방 2칸, 부엌 등을 두고 있는 작은 살림집 형태이다. 마루에 걸터 앉아 내려다 보는 경치가 아름답다.
청도 삼족대, 경북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
이 정자는 조선 중종 14년(1519) 삼족당 김대유(1479 ~ 1552년)가 후진을 교육하기 위하여 처음 건립하였고, 그의 호를 따라 삼족대라 불렀다. 김대유는 조광조의 문인으로 중종 2년(1507) 정시에 장원급제한 이후 정언, 칠원 현감 등을 지내고 1519년 기묘사화 이후에는 관직을 사임하고 향리에 은거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으로 사방에 토담을 쌓고 일각문을 두어 그 안에 정자를 배치하였는데 방 두칸과 부엌, 우물마루가 ‘ㄱ’자로 배열되어 있다. 1519년 경에 건립되었다고 하나 후대에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치는 동안 조선후기 건축양식으로 변모하였다. (안내문, 청도군청, 2020년)
<출처>
- 안내문, 청도군청, 2020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