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산동성박물관 명 노왕(魯王)실] 명대 친왕의 상징물

주단(朱檀)는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의 10번째 아들로 1370년 태어나 노왕(魯王)의 책봉받아 15살부터 산동지방에서 살았다, 생전에 교육을 잘받았으며 학자과 교류가 깊었으며 주위의 평판이 좋았다. 19세에 황실 권력투쟁 과정에서 독살되었으며 그의 능은 산동성 취푸(曲阜)시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1970년대 산동성박물관에서 그의 능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당시 사람들이 살았던 모습과 예법 등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노왕지보(魯王之寶)는 문서에 외교적.행정적으로 사용했던 국새(國璽)와는 달리 의례용으로 만들어진 인장으로 는 왕과 왕비 등 존호를 올릴때 제작되어 사용하던 도장이다. 조선시대 왕실에서 사용했던 어보과 같은 성격이다.  노왕은 천자의 아들로 친왕에 해당하기 때문에 조선국왕이 사용했던 거북모양의 어보를 사용했다.

魯王之寶(Treasures of Prince Lu)
After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Zhu Yuanzhang learned the lesson of the failure Song and Yuan dynasties and reinstated the institution of appointing his twenty-three sons as princes and entitled them to build up their palaces, bureaucracy, official robes, and privileges in their lands. The Ming princes did not rule local population,and they had nominal commanders of armies. They were symbolic reminiscent of ancient princes protecting the imperial court from outside threats. Thi Ming court appointed imperial sons as princes and provided them with gold certificates and seals. But it did not issue new certificate; it only allowed them to pass gold seals to their son, which is manifested in the wooden seal of “Prince Lu” with gold coating uncovered from the tomb of the prince. (안내문, 산동성박물관, 2013년)

<魯王之寶(seal of prince Lu)>

<글자가 있는 바닥면>

<바닥면 글자.>

<인장함>

왕의 복식은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다. 왕이 착용하는 복식은 참석하는 의례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엄격하게 정해져 있었는데 면복은 국왕이 신하들로부터 하례를 받을 때, 종묘.사직에 제사지낼 때, 왕비와 혼례를 올릴 때 등 중요한 의식을 행할 때에 입는 최고의 예복이다. 노왕의 능에서 출토된 유물들에는 명나라에서 사용했던 예복 등이 종류별로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王事禮儀(왕사예의), Princely Rituals
The official outfit first appeared in the Shang dynasty, and came to fruition in the Zhou dynasty. Ancient emperors and kings, lords, and officials wear it on the occasions of grand ceremonies such as ancestral worship and court audience, the tradition of which persist all the way down to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lbeit frequently adapted to their historical circumstances. According to History of Ming, princes were mandated to wear Gun Outfit when they assisted imperial worship, visited ancestral temples, attended court audience, received titles, and married concubines. A whole set of such outfit was uncovered in the mausoleum of Prince Lu. (안내문, 산동성박물관, 2013년)

<구류관(九旒冠, Nine tasseled crown),>

조선시대 국왕이 쓰던 면류관과 같은 형태와 의미를 갖는데, 9개의 술이 달린다고 해서 구류관이라 한다. 천자는 12류, 황태자와 친왕은 9류, 제후는 7류, 경대부는 5류를 한다. 조선시대 세자는 8류를 사용했다.

<구봉피변(九縫皮弁. Nine-stitched skin crown),>

제후가 쓰는 관모이다. 구류관과 마찬가지로 구슬을 한줄에 9개를 꿰맨다하여 구봉피변이라 한다.

<청옥패(靑玉佩, Azure Jade String)>

<금양영지문백옥대(金鑲靈芝紋白玉帶, White Jade belt inlaid with Gold fungi design)>

<백옥규(白玉圭, white Jade plaque), 흑옥규(黑玉圭, Dark Jade plaque)>

<금옥대(金玉帶, Jade belt with gold coating)>

<竹編寬沿紗帽(죽편관연사모, cloth-wrapped bamboo hat)>

관리들이 평상시에 쓰는 사모(紗帽)라고 하는데 우라나리의 갓과 비슷하게 생긴 것으로 볼 때 같은 용도인 것으로 보인다.

<朱漆加紵寬沿帽(주칠가저관연모, Lacquered hemp hat).>

<烏紗折上巾(오사절상건, Black-threaded side wing), 조선시대 관모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白紗窄袖袍(백사착수포, white-threaded narrow-sleeved robe)>

<黃緞交領短纱(황단교령단수포,Yellow silk cross-collared short-sleeved robe)>

<織金盤龍紋黃緞袍(직금반용문황단포, Yellow silk robe with gold-threaded coiling dragon), 용문양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친왕을 상징하는 예복인 것으로 보인다.>

<용문양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친왕을 상징하는 예복으로 보인다.>

Zhu Tan, who was the tenth son of Zhu Yuanzhang, the founder of the Ming dynasty, lived in Shandong Province. He was born in 1370 (Third year of the Hongwu Reign), and received title at the age of two months. He went to live in his princedom in Yanzhou at the age of fifteen. As a result, Yanzhou was elevated from the zhou (sub-prefecture), administering four subprefectures and twenty-three counties. Zhu Tan was well educated and hospitable to scholars, but he died young of elixir poison and received the posthumous name “Huang.” His mausoleum is located at the southern foothill of the Jiulong Mountain the boundary of Zouchen City and Qufu City. In 1970 ~ 1971, the Shandong Provincial Museum excavated this tomb, uncovering a large quantity of treasurable artifacts. These artifacts not only embody the superb craftsmanship of the Ming dynasty, but also manifest the lifestyle of Prince Lu. (안내문, 산동성박물관, 2013년)

<출처>

  1. 안내문, 산동성박물관, 2013년
  2. 안내문, 고궁박물관, 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