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산업의 발전

한(漢)은 전성기 로마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존재으며, 당시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주도적 위치에 있었다. 한무제가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동.서교역로인 실크로드가 개척되기 이전에 많은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전 세대와는 달리 서역의 영향을 받은 유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 중국은 풍부한 재료와 앞선 기술로 다양하면서 뛰어난 수공예품들이 많이 제작되었다.당시 만들어졌던 수공예품들 실용적일 뿐 아니라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을 대표하는 공예품인 자기(瓷器)가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섬세한 옥공예, 청동 거울 및 화려한 비단직물 등 한(漢)나라 때 뛰아난 기술과 미적 감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주제와 표현이 돋보이는 화상석(畵像石)과 화려한 벽화 등으로 장식한 석실형 고분에서 서역과의 활발한 문화교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야연직조(冶練織造, Metallurgy and textile)
China in the Han Dynasty was in the leading position in many fields. With the support of rich materials and advanced technology, many handicrafts were produced. They are not only practical but also have high aesthetic values. The finely-cut jade wares, the exquisite bronze mirrors and the colorful silk fabric are all representatives of the handicraft products of Han dynasty.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장유녹채운문도준(醬釉綠彩雲紋尊, Brown-glazed pottery vessel with great cloud pattern), 한, 수집>

한나라 때 만들어지기 시작한 자기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자종(瓷鍾), 한, 수집>

<자종(瓷鍾, porcelain container), 한, 수집>

<01.유리이배(琉璃耳杯, color-glazed Ear cup), 한, 시안시, 02. 옥벽사(玉辟邪, Jade Talisman), 한, 옌안시 황링(黄陵)현, 03. 옥와저(玉臥猪, Jade crouching pig), 한, 셴양시, 04. 옥조와우(玉雕臥牛, jade crouching ox), 한, 웨이난시 푸청(蒲城)현>

<05. 백옥옹중(白玉翁仲, Jade charm in shape of a legendary general), 한, 시안시 한묘(漢墓)>

<06. 호문섭형옥패(虎紋鞢形玉佩, Heart-shaped Jade pendant with tiger pattern), 07. 용문옥패(龍紋玉佩, Jade pendant with dragon pattern), 08. 옥선(玉蟬, jade cicadas), 한, 시안시>

<09. 곡문청옥벽(谷紋淸玉璧, Green jade disc with grain pattern), 한, 시안시, 10. 변형반훼문벽(變形蟠虺紋璧, Jade disk with intertwined serpent pattern), 한, 웨이난시 화저우(华州)구, 11. 옥벽(玉璧, jade disk), , 웨이난시 화저우(华州)구>

<쌍어동우(雙魚銅杅, bronze basin with double fish), 한, 시안시, “中私官중사관” 동종(銅鍾, Bronze container with inscription), 한, 수집.>

 <철화(鐵鏵, Iron hammer), 한, 바오지시 치산(岐山)현 출토, 철등(鐵燈, Iron lamp), 한, 수집>

<산두편호(蒜頭扁壺, bronze jar with garlic-shaped mouth), 한, 셴양시 우궁(武功)현>

<동언(銅甗, bronze cooking vessel), 한, 바오지시>

<“平都평도” 정(鼎, bronze tripod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origin), 한, 위린시, “家” 정(鼎, bronze tripod inscribed with character jia), 한, 바오지시 푸펑(扶风)현>

청동거울은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상왕조 말기에서 주왕조 때 청동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높은 수준의 제품이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지배계층의 권위를 나타내거가 주술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전국시대를 지나면서 거울의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채회차마문동경(采繪車麻紋銅鏡, painted bronze mirror with chariot and horse pattern).>

<연호문경(連弧紋鏡, bronze mirror with arc pattern), 한, 시안시. 연호성운문경(連弧星雲紋鏡, bronze mirror with arc and cloud-star pattern), 한, 셴양시>

<사유초협문경(四乳草叶紋鏡, bronze mirror with studs and leaf pattern), 사유사훼문경(四乳四虺紋鏡, bronze mirror with studs and coiled serpent pattern), 한, 수집.>

<“상방尙方”경(鏡, bronze mirror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department), 한, 시안시 출토. “宜子孙의자손” 경(鏡, bronze mirror with inscription expressing blessings for offspring), 한, 수집.>

<쌍이동무(雙耳銅鍪, double-eared bronze pot), 한, 셴양시 싱핑(兴平)시 출토, 동화(銅盉, bronze wine vessel), 한, 바오지시 핑상(凤翔)현>

<청동조구(靑銅灶九, bronze cooking ware), 한, 수집. 동절구, 공이(銅臼, 杵, bronze mortar and pestle), 한, 셴양시 싱핑(兴平)시>

<양기(梁器, Lacquer ware), 한, 센양시 싱핑(兴平)시>

<칠이배(漆耳杯, lacquer Ear cup), 한, 수집. 도박산로(陶博山爐), 한, 시안시>

흙, 돌, 금속으로 만든 다양한 제품에 옻칠을 하는 칠기(漆器) 역시 한(限)대에 기술적으로 크게 발전하여 널리 보급되었으며 지금도 다양한 형태의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자뢰(瓷罍, porcelain wine vessel), 한, 시안시>

<쌍구류금각명동편호(雙口鎏金刻銘銅扁壺, gilt double-mouth bronze pot with inscription), 한, 수집.>

셴양시 양가만(楊家灣)에서 발굴된 도기 병마용은 한대 전투 대형을 보여준다. 은 주요 전투부대는 10개 구덩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 6 개는 기병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는 유목민의 영향을 받은 한나라 군대에서 기병대  역할을 보여준다.

<한병마용(漢兵馬俑, pottery figures), 한, 셴양시 출토>

<행렬 뒷편에 위치한 기마병>

This pottery figures unearthed from Yangjiwan demonstrate the battle formation of the Han Dynasty. The discovery shows the principal fighting forces are arranged in 10 pits among which six contain the cavalry. Such composition shows the cavalry’s dominant role in the Han army which was probably influenced by the nomadic tribe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류금동목관(鎏金銅沐缶, gilt bronze basin), 한, 수집>

한대 고분 벽면이나 기둥 등의 구조물의 장식하고 있는 화상석(画像石)에는 다양한 그림 중 현실세계를 표현한 그림들을 볼 수 있다. 화상석의 대표적인 주제 중 하는 북방민족과의 전쟁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이외에도 실생활과 사후세계에서 풍요로운 생활을 기원하는 의미로 생산과 관련 그림들이 있다. 이에는 식량을 생산하는 농사, 베를 짜는 방적, 철을 생산하는 그림 등이 있다.


<춘신春神 “句芒구망” 화상석(with god of spring image), 한, 위린시 신목(神木)시>

중국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봄의 신 “句芒(구망)”과 가을의 신  “蓐收(욕수)”를 표현하고 있다. 봄의 신은 쟁기질과 파종을 담당하며, 가을의 신은 수확과 곡물 저장을 담당한다. 한반도 청동기 문화를 대표하는 농경문 청동기의 유래를 추정할 수 있게 해 주는 부분이다.


<추신秋神 “蓐收욕수” 화상석(with god of autumn image), 한, 위린시 신목(神木)시>

In ancient Chinese legendary story, God of the East, also known as God of Spring, is in charge of ploughing and sowing, while God of the West or God of Autumn, is in charge of harvest and storing of grain.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차마출행도벽화(車馬出行圖壁畵, 복제품), 한, 위린시 딩볜(定边)현>

한대 화상석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주제로 마차를 타고 출정하거나 외출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차마출행도화상석(車馬出行圖, chariots and horses in procession), 한, 위린시 쑤이더(绥德)현>

<차마출행도화상성 뒷면, 말과 마차를 타고 전투를 벌이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거위가 물고기를 삼키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 청동으로 만든 등(燈)이다. . 머리와 긴목, 다리가 있는 몸동, 바람을 막는 램프갓, 불을 피우는 등잔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동감 있는 표현과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한(漢) 공예품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채회안어등(彩繪雁魚燈, Painted bronze wild-goose lamp), 한, 한, 위린시 신목(神木)시>

This lamp is in the form of a wild goose, its head turning back with a fish in its mouth. It is made of four dismountable sections, namely the head and a long neck, the body with leg, the lampshade and its tray. The lampshade can be turned around to shield wind. The body is hollow with water to dissolved the lampblack that goes through its neck. Due to ingenious design, it is considered a masterpiece among the Han-dynasty lamp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출처>

  1.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