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서역사박물관]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일상생활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 여러 민족의 융합은 사화와 문화의 발전을 새로운 단계로 올라서게 하였다. 섬세한 수공에품이나 “위비(魏碑)”의 힘찬 글씨체, 생동감 넘치는 무용을 보여주는 인형들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예술품들이다. 조각, 서예, 음악과 무용 등 여러 분야에서의 성취는 수당(隋唐)시대 문화적 번영의 토대가 되었다.

다채생활(多彩生活, colorful life)
The merging of different nationalities during the Wei, J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advanced the cultural development into a new stage. The exquisite handicrafts, the forceful calligraphy of “Wei stele style” and the impressive dancing figures all appeared in this period of time. The achievements in sculpture, calligraphy, music and dance for this period of time laid a foundation for the cultural prosperity of the later Sui and Tang dynastie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한무제 이후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소개되기 시작한 불교는 십육국시기 후조(後趙) 석륵의 후원을 받은 불도징(佛圖澄)에 의해 교단이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북위(北魏) 때에는 운강석불, 용문석불 등 중국을 대표하는 석굴사원이 건립되는 등 불교가 크게 융성하였다. 이 시기를 거치면 불상이나 탑 등도 점차 중국화된 모습으로 바뀌었다.  백제의 미소로 잘 알려진 삼존여래상과 비슷한 형식의 불상을 많이 볼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석가불조상(釋迦佛造像, Buddha statue), 북위,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한백옥불보살삼존조상(漢白玉佛菩薩三尊造像, White marble bodhisattva statues), 북주,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한백옥불보살삼존조상(漢白玉佛菩薩三尊造像, White marble bodhisattva statues), 북주,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한백옥불보살삼존조상(漢白玉佛菩薩三尊造像, White marble bodhisattva statues), 북주,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도여래조상(陶如來造像, pottery buddha statue), 북위,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神平三年” 류금미륵상(鎏金彌勒像, Gilt maitreya statue), 북위,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류금불보살삼존동조상(鎏金佛菩薩三尊銅造像, Gilt Bronze Buddha and Bodhisattva statues), 동위, 수집>

북주(北周) 시기 장인 지역에서 조성된 불상으로 앞을 향해 서 있는 자세, 볼록나온 배, 밋밋한상투 등 중국화된 불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경주에서 출토된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29호)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북주불조상(北周佛造像, Buddha statue), 북주, 시안시>

Buddhist statues from chang’an area in the Northern Zhou dynasty feature style of being straight forward and robust with their bellies slightly bulging and their buns flat.

OLYMPUS DIGITAL CAMERA<01. 청자우(靑瓷盂, celadon water container), 서진, 바오지시 출토, 02. 청자타우(靑瓷唾盂, caladon spittoon), 서진, 수집>

위진남북조시대 청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했던 다양한 유물들을 볼 수 있는데 삼국시대 한반도에서도 비슷한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어 당시 중국과 활발한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03. 청자 사자형연대(靑瓷獅形燭臺, Lion-shaped celadon candler), 남조, 안캉시>

OLYMPUS DIGITAL CAMERA<04. 청자사계권(靑瓷四系罐, Four-eared celadon jar), 서진,시안시, 05, 청자천학호(靑瓷天鷄壺, Rooster-shaped celadon pot), 동진, 안캉시, 06. 청자육계권(靑瓷六系罐, Six-eared celadon jar), 서진, 안캉시>

OLYMPUS DIGITAL CAMERA<위진남북조시대 화폐들. 11. 오수전(五銖錢), 서위, 셴양시>

OLYMPUS DIGITAL CAMERA
<07. 영안오수전(永安五銖錢), 서위, 셴양시 출토, 08. 태화육수(太貨六銖,), 남조.제, 수집, 09. 오행대포(五行大布), 북주, 수집, 10. 상평오수(常平五銖), 북제,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12. 동쇄(銅鎖, bronze lock), 서위, 셴양시 출토, 13. 과형동권(瓜形同權, pumpkin-shaped bronze weight), 북조,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14. 동초두(銅鐎斗, Bronze cooking vessel), 남북조, 안캉시>

OLYMPUS DIGITAL CAMERA
<15. 선인문경(仙人紋鏡, bronze mirror with immortal images), 삼국, 시안시 출토, 16. 연주문경(聯珠紋鏡, brozne mirror with bead patterns), 위진, 수집, 17. 신수경(神獸鏡, mirror with zoomorphic patterns), 삼국,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18. 류금동차식(鎏金銅車飾, Gilt bronze carriage ornaments), 북조, 수집>

수.당전성기를 대표하는 유물이 당삼채를 이용한 화려하면서 생동감 넘치는 인형들과 비슷한 느낌의 인형들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유목민의 생활모습과 복식 등이 반영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01. 십자형고계여용(十字形高髻女俑, female figures with cross-shaped tall bun), 북위,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02. 도악용(陶樂俑, pottery musician figures), 북위,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03. 기마취호용(騎馬吹号俑, homer figures on horseback), 십육국, 시안시 출토, 04. 기마격고용(騎馬擊鼓俑, drum-beating figure on horseback),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05. 도기마약용(陶騎馬樂俑, pottery horse-riding musician figures), 십육국, 셴양시>

OLYMPUS DIGITAL CAMERA
<06. 좌자녀도용(坐姿女陶俑, sitting female figures), 십육국, 셴양시>

OLYMPUS DIGITAL CAMERA<07. 기마취주용(騎馬吹奏俑, Music-playing figures on horseback), 서위, 셴양시 출토, 08.채회기마악용(彩繪騎馬樂俑, painted horse-riding musician figure), 북주,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09. 진묘수(鎭墓獸, tomb-guarding beast), 남조, 안캉시>

OLYMPUS DIGITAL CAMERA
<10. 답추춘미용(踏錐春米俑, Husking figures), 서위, 셴양시 출토, 11. 도양(陶羊, pottery goat), 북조,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12. 채회인면진묘수(彩繪人面鎭墓獸, painted tomb-guarding beast with human face), 서위, 한중시 출토, 14. 독각수(獨角獸, pottery unicorn), 북위,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11. 도양(陶羊, pottery goat), 북조, 수집, 13. 도우(陶牛, pottery ox), 북주,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14. 독각수(獨角獸, pottery unicorn), 북위,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15. 채회도우차(彩繪陶牛車, painted pottery ox cart), 십육국, 셴양시>

<출처>

  1.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