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당삼채와 자기

당나라를 대표하는 공예품 중 하나인 당삼채(唐三彩)는 납유약을 발라 저온에서 구운 도기이다. 가마에서 구위지는 과정에 유약이 흘러내려 색의 융합을 촉진하다. 표면 색상이 노랑, 녹색, 청색이어서 당삼채라 부른다. 당나라 시기의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로 주로 무덤 부장품으로 만들어 졌으며 건물이나 실내 장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주요 기형으로는 일반적인 그릇을 비롯하여, 인물상, 신상, 진묘수, 말, 낙타 등이 있다. 당시 사람들의 복식, 생활모습, 취향 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당삼채(唐三彩, The Tang Tri-colored ceramic)
The tri-colored ceramics of the Tang Dynasty is made with lead glaze under low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firing, lead glaze pushes the flow of solvent and promotes the fusion of colors. The color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s mainly include yellow, green and blue. This is a great invention of the Tang people. The tri-colored ceramics were mainly used as burial objects. Some of them were used as decorations on buildings and ornaments at home.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이 당삼채 말은 잘 다듬어진 갈기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장식뿐만 아니라 시대의 정체성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런 유형의 말을 당대 회화는 조각에서 많이 볼 수 있다.

<01. 삼채삼화마(三彩三花馬, Tri-colored pottery horse with three lock of Mane), 당, 셴양시>

This tri-colored pottery horse features finely trimmed mane with three long locks (namely Die Duo), which is not only a popular decoration style but also a sing of its identity. This type of horse can be commonly found in the Tang-dynasty painting and sculpture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02. 삼채마(三彩馬, Tri-colored pottery horse), 당, 수집>

<03. 삼채우차(三彩牛車, Tri-colored pottery ox cart), 당, 동촨시>

<05. 삼채사자(三彩獅子, Tri-colored pottery lion), 당, 시안시 출토, 06. 삼채서과(三彩西瓜, Tri-colored pottery watermelon), 당, 시안시>

<07. 삼새상수배(三彩象首杯, Tri-colored pottery cup in elephant head shape), 당, 시안시>

<08. 삼채속요반(三彩束腰盘, Tri-pottery plate with narrowed middle), 당, 웨이난시>

<09. 삼채갈(三彩楬, Tri-colored pottery couch), 당, 웨이난시>

<10. 녹유완(綠釉碗, green glazed bowl), 당, 셴양시, 11. 녹유병(綠釉甁), 당, 셴양시>


<12. 삼채잔(三彩盞, Tri-colored pottery calix), 당, 동촨시>


<13. 삼채완(三彩碗, Tri-colored bowl), 당, 셴양시, 14. 삼채화분(三彩花盆, Tri-colored pottery flowerpot), 당, 셴양시>

<15. 삼채칠성반(三彩七星盘, Tri-colored pottery wares), 당, 시안시, 16. 삼채반(三彩盘, Tri-colored pottery plate), 당, 셴양시>

단색유약으로 칠해진 이 도기는 정교하게 만들었으며 그 형태도 일반적인 삼채 도기들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그것은 이전 시대의 자연적인 조형미에서 발전된 모습으로 뛰어난 제작기술, 독창적인 스타일과 장인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17. 녹유향훈(綠釉香薰, Green glazed incense burner), 당, 시안시, 18. 삼채사계관(三彩四系罐, Four-eared Tri-colored pottery jar), 당, 시안시>

This mono-colored glazed pottery utensil was made exquisite and different from the usual tri-colored pottery articles. It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dynasties for its natural fantastic beauty from the highly skilled burning, representing a unique style and the superb craftsmanship of tri-colored pottery-making in Tang dynasty.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19. 삼채관(三彩罐, Tri-colored pottery jar), 당, 시안시>


<20. 삼채지점(三彩支墊, Tri-colored pottery kiln base), 당, 동촨시 출토, 21. 삼채수소병(三彩檄欖甁, olive-shape tri-colored pottery vase), 당, 수집>

<23. 삼채방침(三彩方枕, square tri-colored pottery pillow), 당, 시안시 출토, 24. 삼채방침(三彩方枕, square tri-colored pottery pillow), 당, 수집>

<26. 삼채쌍어형호(三彩雙魚形壺, Tri-colored pottery Ewer in Double-fish shape), 당, 시안시>

<27. 삼채쌍용병집호(三彩雙龍柄執壺, Tri-colored pottery Ewer with double dragon-shaped handle), 당, 시안시>

<28. 삼채퇴화쌍이편호(三彩堆花雙耳扁壺, Tri-colored pottery plat pot), 당, 시안시>

이 도기는 부장품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불탑 형태를 하고 있다. 주로 불교신자들에 의해서 조상을 추모하는 마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겉면에는 4명의 아이가 부모를 부양하는 이야기를 표현한 그림이 새겨져 있다.


<29. 삼채사효탑식관(三彩四孝塔式罐, stupa-shaped tri-colored pottery jar), 당, 셴양시>

This jar is a burial object in the shape of a Buddhist stupa, in the Tang Dynasty. It was mainly used by lay Buddhist to commemorate their ancestors and represent filial piety. Its betty is carved exquisitely with images of four stories of children in supporting their parent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당대 이후 중국에서는 자기산업과 무역이 급속히 발전했다. 당 중기 이후 차(茶)가 보편화되면서 차를 마시는 자기에 대한 수요와 함께 수출 수요도 크게 늘었다. 허베이성에서 생산된 백자와 저장성 월주요 청자는 당시 최고의 도자기로 손꼽혔다.

자기(瓷器, Porcelain Wares)
Porcelain making and trade underwent a rapid development in the Tang Dynasty.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porcelain tea set since drinking tea became popular after the mid-Tang times. The export demand also added to its popularity.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in Hebei and the pale blue porcelain produced in Zhejiang are the best representatives of the top quality ones in northern and southern China.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30. 백자완(白瓷碗, White porcelain bowl), 당, 수집, 31. 백자배(白瓷杯), 당, 시안시>


<32. 백자집호(白瓷執壺, White porcelain jar), 당, 시안시, 33. 백자화구호(白瓷花口壺), 당, 수집>


<34. 백자화우(白瓷嘩盂, white porcelain spitoon), 당, 수집, 35. 백자속요관(白瓷束腰罐, White porcelain with narrowed middle), 수, 시안시, 36.백자삼족수우(白瓷三足水盂, Three-legged white porcelain water container), 당, 시안시>

<37. 백자준(白瓷罎, white porcelain jar), 당, 시안시, 38. 백자관(白瓷罐), 당, 시안시>

당나라 자기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독특한 형태로 많이 만들어졌다. 이 자기의 디자인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금속제 병의 특징을 참조하여 닭머리 모양으로 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런 형태 병의 유행은 당시 중국 문화와 서역문화의 융합을 잘 보여주고 있다.

<39. 백자발(白瓷鉢, white porcelain bowl), 당, 시안시. 40. 백자쌍용병집호(白瓷雙龍柄執壺, White porcelain flask with double-shaped handle), 당, 수집>

Porcelain wares in the Tang Dynasty have developed many unique shapes in their practical use. The design of this porcelain flask is completely new, adding the feature of Horen bottles made of metal in Sassnid Persia to the Chines chicken-head bottle, which greatly enriches its artistic expression. The population of this type of flask proves the cultural integration of foreign and Chinese culture.

<41. 백자사계관(白瓷四系罐, four-eared white porcelain jar), 당, 시안시 출토, 42. 백자 “翰林” 개관(蓋罐, white porcelain jar with lid and inscription), 당, 시안시 출토, 43. 청자사계관(靑瓷四系罐, four-eared celadon jar), 당, 시안시>

<44. 비색자완(秘色瓷碗, celadon bowl), 당, 바오지시>

이 청자 접시는 부드러운 유약과 비취색 얇은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색상은 균일하다. 바깥에는 궁궐에서 사용하는 물품임을 알려주는 문양이 있다. 이 접시는 당황실에서 사용했던 자기의 실체를 보여주는 주고 있다.

This five-lobed greenish celadon plate has a thin body with smooth glaze and jade-like luster, uniform in color. On its outer space are some wrap imprints with palace-maid patterns. This plate was honored by the Tang imperial family and unveiled the mysterious “secretly-crafted porcelain”. The fine quality and fabulous craftsmanship made it a top rarity of Chinese ancient porcelain.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45. 비색자오곡화구반(秘色瓷五曲花口盘, five-lobed celadon plate), 당, 바오지시>

<46. 문태첩면수우(紋胎貼面水盂, Neriage water container), 당, 셴양시 출토, 47. 문태삼족관(紋胎三足罐, Three-legged neriage jar), 당, 수집,>

이 항아리는 당나라 때 도기와 자기 제작에 사용되었던 문태(紋胎)기법으로 장식되었다. 당삼채처럼 저온에서 구워졌지만 희색과 갈색 점토조각으로 식물과 물결문양을 만들고 있다. 복잡하고 힘든 제작방식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는 않은 기법이다.

This jar is made with neriage, a special decoration technique originate in the Tang Dynasty for making pottery and porcelain wares. Neriage utensils, like tri-colored pottery ones, were made in low temperatures, but characterized by decorating the body made of white and brown clay slices with natural leaf-and-wave patterns. Few such artifacts have ever been found due to its complicated craftsmanship.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48. 문태관(紋胎罐, Neriage jar), 당, 위린시>

<49. 흑유봉수호(黑釉鳳首壺, black-glazed kettle with phoenix-shaped mouth), 당, 시안시, 50. 흑유과릉형집호(黑釉瓜棱形執壺, melon-shaped black-glazed kettle with prism), 당, 동촨시>

<51. 흑유화우(黑釉嘩盂, black-glazed spittoon), 시안시 출토, 52. 녹유사계자관(綠釉四系瓷罐, four-eared green-glazed porcelain jar), 당, 시안시>

<53. 소태흑화설(素胎黑花碟, plain black-glazed plate with floral modif), 당, 동촨시>

<54. 소태흑화발(素胎黑花鉢, plain black-glazed bowl with floral motif), 당, 동촨시, 55. 흑유사녀병(黑釉仕女甁, black-glazed vase with maid pattern), 당, 동촨시>

<출처>

  1.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