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唐代)에는 농업, 수공예의 발전과 함께 교역이 크게 번창했다. 광범위한 시장의 개설은 당시 상업발전을 잘 보여준다. 장안은 큰시장인 동시(東市)와 서시(西市)가 주작대로 양쪽에 개설되어 전세계 상인들을 불러들였다. 고대 중국 경제의 혁식적인 발명품들처럼 거래세같은 성숙된 과세방식이 적용되었다. 토지세, 주민세도 함께 부과되었다.
상업부세(商業賦稅, Trade and Taxation)
Trade in the Tang Dynasty flourish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handicrafts. The widespread establishment of markets is the symbol of the fast-growing business. The East Market and the West Market in Chang’an attracted business from all over the world. Taxation mechanism began to mature with business tax emerging as a great invention in ancient Chinese economy. Land tax and household tax were put into practice.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5. 육릉제량은관(六棱提梁銀罐, Hexagonal loop-handled silver jar), 당, 수집>
술을 담는 은제 용기는 당나라 중기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중국과 서역의 음주방식이 섞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면에 새겨진 글씨는 그릇 소유자와 일련번호 등을 표시하고 있다.
Such silver liquid containers are commonly used from the mid-Tang Dynasty and mixed the Chinese and Western features changing ancient wine drinking style. Its inscriptions indicate the ownership and unitized number mark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1. “宣微酒坊선미주방” 은주주(銀酒注, Silver wine container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ownership), 당, 시안시 출토, 2. “宣微酒坊선미주방” 은완(銀碗, Silver bowl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ownership), 당, 퉁촨시>
<3. 류금홍안문사곡은완(鎏金鴻雁紋四曲銀碗, four-lobed gilt silver bowl with wild goose pattern), 당, 퉁촨시>
<4. 류금홍안절지화문은이(鎏金鴻雁折枝花紋銀匜, gilt-silver water vessel with wild goose and floral motif), 당, 시안시>
<6. 오곡고족은배(五曲高足銀杯, five lobed goblet), 당, 퉁촨시>
<7. 류금절지화문오곡은반(鎏金折枝花紋五曲銀盘, five lobed gilt-silver plate with floral motif), 당, 바오지시>
<8. 쌍어문사곡은설(雙魚紋四曲銀碟, four-lobed silver dish with double fish pattern), 당, 퉁촨시>
<9. 은칙(銀則, Silver ladle), 당, 시안시>
<10. 제량은다롱(提梁銀茶籠, Loop-handled silver tea-leaf container), 당, 수집>
<’장안서시도長安西市圖’ 중 일부. 당시 번창했던 시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금은으로 만든 이런 동전은 왕실이나 귀족사회에서 선물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실제 동전제작 방식에 따라 만들어 진다. 기록에 따르면 당 현종은 연회에서 참석자들에게 상으로 이런 동전을 던졌다고 한다.
Such coins are made following the manufacturing way of the real bronze ones for entertaining or awarding purpose among royal families in the Tang Dynasty. According to records, Emperor Xuanzong often threw this kind of coins from the upper floor as awards to his officials in some banquet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2019년)
<1. 금개원통보(金開元通寶), 당, 시안시 출토, 2. 은개원통보(銀開元通寶), 시안시 출토, 당>
개원통보(開元通寶)는 당고조 때 (642년)에 처음 주조되어 오대십국까지 사용된 당나라의 대표적인 동전이다. 진(秦)의 반량전(半兩錢), 한(漢)의 오수전(五銖錢)의 형태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회창개원통보는 당 무종이 845년 회창 폐불로 징발된 불상이나 불구를 녹여 주조한 동전이며, 안사의 난을 일으킨 사사명이 주조한 순천원보.득일원보가 있다.
<3. 수오수(隋五銖), 수, 수집, 4. 개원통보(개원통보), 당, 수집, 5. 회창개원통보(會昌開元通寶), 당, 수집. 8. 순천원보(順天元寶), 당, 수집, 9. 득일원보(得一元寶), 당, 수집>
<10. 삼채전거(三彩錢柜, Tri-colored pottery money locker), 당, 시안시>
천안용간은병에는 제조장소, 시간, 기능, 무게, 제작자 이름 등을 나타내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는 당 현종시기 영남(嶺南)지방의 과세체계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건중이년감판은과” 은정에도 제조부서, 시간, 무게, 사용목적 등을 나타내는 글자가 새겨져 이다. 글자에 따르면 큰 재난 이후 영남(嶺南) 지방의 세금을 절반으로 줄였으며 그 증거로 이것의 무게는 약 2.1 kg이다.
<11. 천안용간은병(洊安庸澗銀甁, Silver disc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details), 당, 시안시 출토. 12. 천보굴과은정(天寶窟淉銀鋌, 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detail), 당, 시안시 출토, 13. 영남도세상은정(嶺南道稅商銀鋌, 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당, 시안시 출토, 14. 하동은정(賀冬銀鋌, 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당, 시안시 출토
15. “建中二年減判銀淉건중이년감판은과” 은정(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당, 수집>
This silver disc bears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place and time, its functions and weight, and the names or the government position of the manufacturers and the relevant officials. It provides evidence of the taxation system in Lingnan area in the reign of Kaiyuan. This silver ingot has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department, time, weight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it weight about 2.1 kg as the evidence of relieving the tax by half in Lingnan area after natural disaster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출처>
-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