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종교문화

수당(隋唐)시대에는 안정적인 사회, 강한 경제와 지배층의 소명의식 등으로 많은 종교들이 번창했다. 도교와 불교가 가장 번창했는 전국적으로 많은 도교사당과 불교사찰이 있었으며 많은 종파들이 형성되었다.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拜火敎, Zoroastriansism)와 마니교(摩尼敎, Manichaeism), 기독교 일파인 경교(景敎, Nestorianism)를 비롯하여 이슬람교까지 중국에 소개되었다. 수당((隋唐)시대는 중국 역사상가 종교적으로 가장 개방적이었으며 다종교 사회였다.

종교문화(宗敎文化, Religious culture)
In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with a stable society, strong economy and the avocation from the ruling class, many kinds of religions and beliefs prospered. Taoism and Buddhism were the most widely practiced with Taoist monasteries and Buddhist temple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in which different school were respected. Zoroastriansism, Nestorianism, Manichaeism and Islam were also introduced into China at that time. Religions reached their zenith in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
<1.백석불입상(白石佛立像, White stone Buddha), 수, 바오지시>

이런 불경은 최초의 인쇄물 중 하나이다.발굴당시 불경은 팔에 끼워져 있었다. 사찰 중앙에는 연꽃대좌에 팔이 8개인 준제관음보살(准提觀音菩薩)이 앉아 있었으며 18줄을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다리니경이 있었다.

Such Sutra paper is one of the earliest block-printed works. When excavated, it was tucked in arm band. At the center sits an eightarmed Bodhisattva on the lotus pedestal with Buddhist objects in hand, surrounded by 18 lines of Sanskrit dharani sutra.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2. 조인범문라라니경주(雕印梵文陀羅尼經咒, block-printed Sutra in Sanskrit),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3. 선업니조상(善業泥造像, Relief Earthen Buddhist figures), 당, 수집, 4. “永微元年” 비구법률조다보불탑(比丘法律造多寶佛塔, Duobao Buddhist pagoda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time),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5. 석가모니도조상(釋迦牟尼陶造像, Pottery sakyamuni),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6. 선각석사리관(線刻石舍利棺, stone coffin engraved with buddhist elements),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7. 백석석가좌상(白石釋迦坐像, White stone sakyamuni), 당, 셴양시>

OLYMPUS DIGITAL CAMERA<8. 은천왕상(銀天王像, silver heavenly king statues), 당, 수집>

수당(隋唐)시대 수도 장안에는 수많은 사찰들이 있었다. 또한 많은 사상적으로 다른 다양한 종파가 당대(唐代)에 생겼으며 주요 종파의 근본도량을 장안 도심에 두고 있었다. 당대 불교 6개 종파와 근본도량으로 법상종(法相宗) 대자은사(大慈恩寺), 진언종(眞言宗, 밀종) 대흥선사(大興善寺), 율종(律宗) 정업사(淨業寺), 화엄종(華嚴宗) 천복사(薦福寺, 법성종(法性宗) 초당사(草堂寺), 정토종(淨土宗) 향적사(香積寺)이 있다. 의상, 혜초 등 한반도 불교 역사를 이끌었든 승려들이 젊은시절 유학했던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당장안사묘도현분포도(唐長安四廟觀分布圖)>

OLYMPUS DIGITAL CAMERA
<장안불교육대조정(長安佛敎六大祖庭)>

OLYMPUS DIGITAL CAMERA
<9. 삼채탑식관(三彩塔式罐, Tri-colored stupa-shaped pottery),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10. 류금다문천왕동상(鎏金多聞天王銅像, Gilt bronze heavenly king), 당, 바오지시>

OLYMPUS DIGITAL CAMERA<13. 류금노군상(鎏金老君像, Gilt figure of Laozi), 당, 수집>

당나라 황제들을 자신의 지위를 신성시하기 위해 도교의 신으로 받들어지는 자신들과 성씨가 같은 노자(老子) 이이(李耳)를 자신들의 조상으로 여겼으며, 후기에는 도교와 연금술을 크게 숭상했다. 기록에 따르면 석료모양은 은용기는 불사의 환약(丸藥)을 만드는 증류기라 생각했다. 재료가 금와 은으로 만든 용기에 저장되면 환약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었다고 믿었다.

In order to justify their divine mandate, the Tang emperors respected Laozi as their ancestor, then the strongly revered Taoism and its alchemy. Based on records, some scholars deduced that the pomegranate-shaped silver pot was the distiller in making life elixir. Chinese alchemists believed that, if the materials were stored in gold and silver vessels, the effect of the pills could be improved.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14. 은석류관(銀石榴罐, Pomegranate-shape silver pot), 당, 시안시 출토, 15. 광명홍사은합(光明紅砂銀盒, Silver box with cinnabar),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18. 귀뉴팔괘문동경(龜钮八卦紋銅鏡, bronze mirror with eight diagrams and turtle Knob), 당, 시안시 출토. 19. 팔괘십이생초문방경(八卦十二生肖紋方鏡, Bronze mirror with eight diagrams and Zodiac animal pattern), 당, 시안시 출토, 20. 사신십이생초문동경(四神十二生肖紋銅鏡, Bronze mirror with pattern of four gods of directions & 12 Zodiac animal), 당, 시안시 출토, 21. 사신십이생초문동경(四神十二生肖紋銅鏡, Bronze mirror with pattern of four gods of directions & 12 Zodiac animal),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채회십이생초용(彩繪十二生肖俑, painted figures of Twelve Zodiac animal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채회십이생초용(彩繪十二生肖俑, painted figures of Twelve Zodiac animal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1. 삼채천왕용(三彩天王俑, Tri-colored pottery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2. 채회착금반신천왕용(彩繪錯金半身天王俑, painted and gold-traced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3.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 painted figures of Heavenly king),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4. 삼채천왕용(三彩天王俑, Tri-colored pottery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5. 채회점금천왕용(彩繪點金天王俑, painted and gold-leafed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출토, 6.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 painted figures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7.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 painted figures of Heavenly king), 당, 수집>

진묘수(鎭墓獸)는 중국에서 무덤앞을 지키는 짐승모양의 조각상으로 악령을 쫓는 의미가 있다. 춘추시대에는 호랑히, 뱀 등이, 한대, 남북조시대에는 토용 벽사(僻邪), 당대에는 상상의 동물인 서수(瑞獸)나 사람얼굴을 하고 있는 삼채용(三彩俑)이나 채회용(彩繪俑) 등을 사용했다.

OLYMPUS DIGITAL CAMERA
<8. 삼채진묘수(三彩鎭墓獸, tri-colored pottery tomb guardian beast),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9. 채회진묘수(彩繪鎭墓獸, Painted tomb guardian beast), 당, 수집, 10. 채회진묘수(彩繪鎭墓獸, Painted tomb guardian beast), 당, 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