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안(Xi'an) 비림박물관] 동주삼장성교서비, 명필 저수량이 글씨를 쓴 비석

당대(唐代) 초기 4대명필로 손꼽혔던 저수량(褚遂良)이 글씨를 쓴 동주삼장성교서비(同州三藏聖敎序碑, Stele of Preface of Consecrated Buddhism for the Buddhist Monk Xuanzang in Tongzhou)이다. 현장법사가 번역한 불경에 대한 당 태종(太宗)의 서문과 세자였던 이치(당 고종)가 쓴 불경 번역에 대한 경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저수량은 당태종이 신임했던 문신으로 구양순, 우세남 등에게 서법을 배웠다. 비석은 거북받침돌, 비몸, 머릿돌로 구성된 당나라 비석의 양식이 완성되기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거북받침돌 대신 받침돌에는 12지신상이 새겨진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동주삼장성교서비(同州三藏聖敎序碑) 머릿돌.>

OLYMPUS DIGITAL CAMERA
<비문이 새겨진 몸돌>

OLYMPUS DIGITAL CAMERA<받침돌에는 12지신상(?)이 새겨진 것으로 보인다.>

동주삼장경교서비(同州三藏聖敎序碑, Stele of Preface of Consecrated Buddhism for the Buddhist Monk Xuanzang in Tongzhou), 당 용삭 3년 (663)
The stele includes the Tang Emperor Taizong (Li Shimin)’s preface to the Buddhist scripture translated by Xuan Zang, the Tang Crown Prince Li Zhi (later the Tang Emperor Gaozong)’s description of how the the inscription was written and inscribed as well as Xuan Zang’s article of thanks to the emperor and the prajnaparamita-hrdaya-sutra. Chu Suiliang was one of the four great calligraphers of the early Tang Dynasty. His calligraphic style was very influential to later generations.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출처>

  1.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
  3.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