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보물)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고택인 무첨당(無忝堂, 보물)이다. 이 건물은 회재 이언적 종가의 별채이다. 앞면 6칸, 옆면 2칸에 누마루를 달아내어 ‘ㄱ’자형을 하고 있는 건물이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1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조선중기에 지어진 건축물로 제사를 지내고 손님접대를 위해 사용되었던 상류층 주택의 별당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보물)>

무첨당은 종가에 딸린 별채 건물이지만 제사를 지내는 제청역할도 했던 건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 행사를 할 수 있도록 재실이나 서원 강당처럼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있다. 대청마루 한쪽에 ‘좌해금서’라 적힌 흥선대원군의 글씨가 보인다.

<대청마루>

<지붕을 받치는 공포와 서까래>

<오른쪽 온돌방>

무첨당 왼쪽에는 2칸규모 누마루를 달아내었다. 누마루는 3면이 뚫려 있어 정자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는데 집주인이 손님을 접대하거나 독서, 휴식 등으로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다.

<누마루>

회재 이언적 종가는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이루어진 본채와 별채인 무첨당,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동마을 중싱부 물봉골 언덕에 남향을 하고 있는 저택이다. 마을 종갓집이자 조선시대 상류층 저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무첨당이 있는 회재 이언적 종가>

<마을 아래에서 본 모습>

<종가 들어가는 길>

<살림집인 본채>

본채에서 달아낸 날개채를 사랑채로 사용하고 있다. 별채인 무첨당과 마주하고 있어, 왕래가 쉽도록 하고 있다.

<본채 사랑채>

본채 앞에 있는 행랑채는 마루와 온돌방, 중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루에 앉아서 쉬기 좋은 구조로 되어 있다. 앞쪽에 별도의 작은 출입문을 두고 있다.

<행랑채>

<행랑채 앞에 있는 작은 협문>

<사당>

무첨당(無忝堂)
무첨당은 회재 이언적의 종가 별채로 그의 맞손자인 무첨당 이익윤의 호에서 집의 이름을 따왔다. 뒤쪽에 높게 서있는 건물이 사당이고, 동쪽에 서있는 건물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이루어진 본채이다. 무첨당은 제사를 지낸 제청(祭廳)의 기능이 강했으며, 남성들의 독서와 휴식, 손님접대를 하였던 큰사랑채로도 쓰였다. 대청의 오른쪽 벽에 걸린 ‘좌해금서’라는 편액은 흥선대원군의 글씨이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9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4. 위키백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