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관문성(사적), 왜(倭)의 침입에 대비해 쌓은 장성

경북 경주시 외동읍, 울산 북구 범서읍 모화리 등에 있는 통일신라 성벽인 관문성(關門城, 사적)이다. 왜(倭)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쌓은 길이 12 km에 이르는 장성(長城, Wall)이다. 경주와 울산 경계를 따라 7번 국도와 14번 국도 주변에 성벽을 쌓아 전체적으로 장성을 이루고 있다. 성벽은 잘 다듬을 돌과 자연석으로 쌓았는데 이전에 쌓은 산성에 비해 기술적으로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 성벽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삼국유사> 기록에 의하면 신라 성덕왕 때 39,262명의 인원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한다. 성벽은 잘 다듬은 돌을 5단 내지 6단으로 쌓고 그 위에 자연석을 쌓았는데, 위로 쌓아 올리면서 폭을 좁혀가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원래는 모벌군성 또는 모벌관문이라 불렀는데 조선시대에 이곳을 관문성이라 부르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주 관문성(사적), 경주와 울산 범서읍을 연결하는 14번 국도를 막고 있는 성벽>

효성왕 개원(開元) 10년 임술(壬戌) 10월에 처음으로 모화군(毛火郡)에 관문(關門)을 쌓았다. 지금의 모화촌(毛火村)으로 경주(慶州)의 동남지역에 속하니, 곧 일본(日本)을 방어하는 요새였다. 둘레는 6천 7백 92보 5자이고, 동원된 역부는 3만 9천 2백 62명이며, 감독관(掌員)은 원진(元眞) 각간(角干)이었다. 개원 21년 계유(癸酉)(733년)에 당나라 사람들이 북쪽 오랑캐(北狄)를 치려고 신라에 청병하여 사신 6백 4명이 왔다가 본국으로 돌아갔다.(삼국유사 권 제2 제2 기이 효성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2022년)

경주 서남쪽 치술령(해발 765 m)과 동남쪽 외동읍 모화리 삼태봉(해발 630 m) 사이를 성벽으로 막고 있다. 가운데에는 있는 순금산(해발 290 m)과 천마산(296 m)과 양쪽에는 산성형태의 성벽을 쌓고 있으며 7번 국도와 14번 국도 주변에 성벽을 쌓아 전체적으로 장성을 이루고 있다.


<경주 관문성 일대>

관문성 남쪽으로는 경주에서 발원하여 울산 태화강으로 흘러드는 동천으로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농경지들이 있다. 7번국도에는 높은 고개나 장애물이 없어 왜(倭)가 신라를 침범한다면 울산항에서 하루정도면 경주까지 도착할 수 있는 짧은 거리이다. 삼국통일 이후 백제와 동맹관계였던 왜(倭)에 대해서 문무왕을 비롯하여 많은 통일신라의 집권자들이 고민했던 부분을 직접 느껴볼 수 있는 곳이다.

<순금산 정상아래 성벽에서 내려다 보이는 울산 북구 동천 일대>

<7번국도 동쪽 삼태봉으로 연결되는 성벽>

7번국도를 따라 흐르는 태화강 지천인 동천 주위는 비교적 넓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관문성은 그 중 폭이 좁은 곳에 성벽을 쌓았는데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평지에 쌓은 성벽은 약  km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동천 주변 성벽이 있었던 지역>

관문성은 동천 옆 위치한 순금산과 천마산을 지나 치술령까지 연결된다. 순금산 일대에는 방어에 용이하도록 테뫼식 산성처럼 성벽을 쌓고 있다.

<동천 서쪽편 순금산 일대>

순금산 일대에는 성벽이 일부 남아 있고 주변 경치와 지형적 조건 등을 살펴볼 수 있어 관문성 탐방로가 개설되어 있다.

<순금산 관문성 탐방로 입구>

<관문성 탐방로>

<관문성 성벽을 따라 이어지는 탐방로>

<탐방로에서 전망이 좋은 지점>

<옛 성벽을 따라 이어지는 탐방로>

<탐방로에서 볼 수 있는 성벽의 흔적>

<산길을 따라 이어지는 탐방로>

<성벽을 따라 이어지는 탐방로>

<순금산 정상부 부근>

삼국시대 박제상의 전설이 남아 있는 치술령 아래 14번 국도 옆 마을에는 관문성 성벽 일부가 남아 있다. 성벽은 잘다듬은 큰돌로 아래부분을 쌓고 그 위에 자연석을 쌓았다는데 그 모습이 잘 확인되고 있다.

<14번국도를 막고 있던 관문성 성벽>

<안쪽에 남아 있는 성벽을 쌓았던 큰 돌들>

관문성 성벽에서 10개의 석각이 발견되었는데, 구간별로 축성을 담당한 군현이 작업한 구역 등을 기록하였다.

<관문성 글자새김돌, 중앙박물관, 2011년>

<관문성 글자새김돌(복제품), 경주박물관, 2012년>

관문성(關門城, 사적),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녹동리 외
관문성은 신라 성덕왕(聖德王) 21년(722)에 왜구를 막고자 쌓은 것이다. 이 성은 경주시에서 동남쪽으로 약 21 km 떨어진 외동읍 부근의 산에 축조되어 있다. 한 개의 성이 아니라 치술령(鶴述嶺)과 모화리 동편의 산 사이에 길이 12 km 정도의 장성과, 양남면 신대리의 산 정상에 있는 둘레 약 1.8 km 정도의 두 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의 규모는 치술령에서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의 경계를 따라 신대리 동쪽 산까지 이른다. 관문성을 모벌군성(毛伐郡城), 모벌관문(毛伐關門)이라고도 불렀으며, 마을 사람들은 만리성(萬里城)이라고 한다. 지금은 대부분의 성벽이 허물어지고 성문터로 추측되는 석축이나 창고터, 병사터 등이 군데군데 남아 있다. 현존하는 남산성과 관문성의 석벽을 비교해 볼 때, 잘 다듬은 돌과 자연석을 이용해서 관문성을 쌓은 기술이 훨씬 발달된 것으로 여겨진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문화재청, 2011년
  2.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2년
  3.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5. 위키백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