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교동에 있는 천관사지(天官寺址, 사적)이다. 천관사는 통일신라 때 김유신이 인연이 있었던 기생 천관을 위해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건립 이후 그 역사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려 중기 이곳을 지나던 이공승이라는 사람이 천관사 내력과 관련된 시를 남긴 것으로 볼 때 당시까지 사찰이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가 있는 곳은 통일신라 때 귀족층들이 살았던 주거지역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귀족가문의 후원을 받아 도심 주택가에 세워진 사찰의 입지조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찬 김주원(伊飡 金周元)은 처음 상재(上宰)가 되고 왕은 각간으로 두 번째 재상이 되었는데 꿈 중에 복두(幞頭)를 벗고 소립(素笠)을 쓰고 12현금(絃琴)을 들고 천관사(天官寺) 우물 속으로 들어갔다. ~ 생략 ~ 천관사 우물로 들어간 것은 궁궐로 들어갈 상서로운 조짐입니다.”라고 하였다. “위에 주원이 있는데 어찌 왕위에 오를 수 있겠소?” 왕이 말하자 아찬이 대답하기를 “청컨대 은밀히 북천신(北川神)에게 제사지내면 될 것입니다.” 하자 [왕은] 이에 따랐다. (삼국유사 권 제2 제2 기이 원성대왕,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절터는 오랜 세월 농경지로 사용되어 왔으며 2000년 이후 발굴.조사가 있었는데 출토유물은 많지 않은 편이다.
천관사 석탑을 장식했던 팔부중상 중 가루라상이 표현한 탑신 몸돌이 출토되었다. 가루라는 ‘상상의 새’를 말하는데 이를 이인화하여 입을 새부리 모양으로 표현하고 있다.
천관사는 경주 오릉 동쪽편 들판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궁성이었던 월성 동남쪽 500 m, 김유신 집터인 재매정(사적)과는 400 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경주 천관사지(天官寺址, 사적),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244
이 절터는 도당산 서꼭 기슭에 있으며 신라시대 김유신이 사랑하던 기생 전관 (天官)의 집을 절로 바꾼 곳이라 전한다. 김유신은 어머니 만명부인(南明大人)의 엄한 훈계를 명심하여 함부로 남과 사귀지 않았지만, 하루는 우연히 기생 천관의 집에 유숙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훈계를 들은 뒤 천관의 집에 들르지 않았다. 그 후 어느 날 술에 취하여 집으로 돌아오던 길에 말이 이전에 다니던 길을 따라 천관의 집에 이르렀다. 김유신이 갈못을 깨닫고 타고 갔던 말의 목을 베고 안장을 버린 채 돌아 왔다. 훗날 김유신은 삼국을 통일한 뒤 사랑하였던 옛 여인을 위하여 천관의 집터에 절을 세우고 그녀의 이름을 따서 천관사(天官寺)라 하였다. 처음 건립 이후 이 절의 역사는 알 수 없으나 고려 중기 이공승(李公升)이 이 절을 지나면서 시를 지은 것으로 보아 당시까지는 사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00년 국립 경주문화개연구소에 의하여 발굴조사 되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 위키백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