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천군동에 있는 통일신라 절터인 천군동 사지(사적)이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 2기가 남아 있으며 절터 대부분은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다. 발굴,조사 결과 금당, 강당, 중문 건물터가 확인되었으며 절의 규모는 남북 79 m, 동서 61 m이다. 발굴당시 출토된 유물들은 대부분 기와이며 절터에서는 화강석 건축자재 일부를 볼 수 있다. 쌍탑식 가람배치를 하고 있지만 다른 사찰과는 달리 금당 좌우에 회랑을 두고 있지 않다. 석탑의 양식 등으로 볼 때 8세기 후반 이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절터에는 2기의 삼층석탑(보물)이 남아 있는데 통일신라 가람배치의 특징인 ‘두개의 탑’이 세워진 형태를 하고 있다. 마을 들판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39년에 복원하였다. 동탑은 기단과 탑신만 남아 있고, 서탑에는 머리돌 장식이 일부 남아 있다.
현재 절터 대부분은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절터 동쪽편으로는 경주 세계문화엑스포가 열리는 세계문화엑스포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삼층석탑 주변에는 절터에서 출토된 석재들을 볼 수 있다. 발굴,조사 당시 출토된 기와조각같은 유물들은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특별한 유물들은 출토되지 않았다.
천군동사지가 있는 마을은 경주와 동해안 감포 등을 연결해 주는 4번국도가 지나가고 있다. 또한 보문관광단지에서 불국사를 거쳐 울산지역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이 마을 부근에서 4번국도가 만나는 교통의 요지였다. 인근에는 원효대사와 관련된 사찰인 고선사가 있었다.
경주 천군리 사지(千軍里 寺址, 사적), 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 548-1
이 절터는 여기에 있던 절의 이름을 알 수 없어 동리이름을 따서 천군리 절터라고 부른다. 무너진 탑재와 주춧돌만 흩어져 있었는데, 1938년 일본인들의 발굴조사에 의해 중문·금당 · 강당자리가 확인되었다. 가람배치는 통일신라시대의 쌍탑 1금당식 (雙塔一金堂式)이다. 앞에는 중문이 있고 그 안쪽 동서에 두 탑이 있으며, 그 뒤로 금당터와 강당터가 자리하고 둘레에는 회랑터가 있다. 중문터는 앞면 3칸에 옆면 2칸이고, 금당은 앞면과 옆면이 각각 5칸, 강당은 앞면 8칸에 옆면 3칸 규모였음이 밝혀졌다. 중문에서 강당까지의 남북 길이는 79m, 동서 길이는 61m정도이다. 이곳에서 발굴된 유물은 대부분 기와와 벽돌 종류로 지붕 맨 윗부분(용마루)의 양쪽 끝을 장식하였던 치미(尾)는 국립경주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 양식인 쌍탑식 절 배치를 따랐지만 금당 좌우에 회랑이 없는 것이 특이하다. 이 절터는 현재 논밭으로 변하여 원래 모습을 확인 할 수 없다. 다만 동·서탑을 1939년에 다시 세워 보존하고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 위키백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