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동천동 소금강산 굴불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사면불상(보물)이다. 이 불상은 큰 바위 에 불상을 새겼는데 서쪽에는 아미타여래, 동쪽에는 약사여래, 북쪽에는 미륵보살, 남쪽에는 석가모니를 새긴 사방불(四方佛)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8세기에 경덕왕이 백률사를 행차했을 때 염불소리가 들려 땅을 파보니 큰 돌이 나와 4면에 불상을 새기고 불굴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통일신라 전성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입체감과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뺴어난 조각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부족하며 조화를 잘 이루지는 못하고 있다.
사방불(四方佛)이란 각 방위마다 불국토가 있고 그곳에 상주하며 네방위를 패표하는 부처를 형상화한 불상이다. 불국토 신앙과 오악숭배사상, 호국사상 등이 결합되어 통일신라 떄 성행하였다. 불교경전엔 약 5세기경에 언급되기 시작했으며 시대와 지역 등에 따라 다양한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서쪽은 아미타여래 삼존상을 표현하고 있다. 아미타여래는 바위에 몸통을 새기고 그 위에 머리를 조각해 올려 놓았다. 좌우에는 별도로 보살상을 조각해 세워놓고 있다.
동쪽에는 약사여래를 표현하고 있는데 양발을 무릎위에 올리고 몸을 앞으로 숙이고 있는 모습이다. 얼굴과 신체가 세련되고 생동감있게 표현되었다.
북쪽면 오른쪽에는 입체감있게 조각한 보살입상이 서 있고 왼쪽에는 6개의 팔이 달린 관음보사을 얕은 선으로 새겼다. 미륵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남쪽면에는 석가여래삼존상을 표현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오른쪽 보살상과 가운데 본존상 머리를 떼어갔다고 한다. 4면에 새겨진 불상 중 조각수법이 제일 나은 것으로 보인다.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 보물), 경북 경주시 동천동 산 4
이 불상은 경주의 북쪽 산인 소금강산(小金剛山)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높이 약 3m의 커다란 바위에 여러 보살상을 조각한 사방불 (四方佛)형태이다. 불상은 서쪽면에는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 동쪽면에는 약사여래좌상(藥師如來坐像), 남쪽면에는 삼존입상(二等立像)이, 북쪽면에는 보살상(菩薩像) 두 분이 새겨져 있는데 특히 북쪽면 보살상 중 한 분은 얼굴이 열하나, 팔이 여섯 달린 관세음보살입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것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백률사를 찾았을 때 땅속에서 염불 소리가 들려왔다고 한다. 땅을 파 보니 이 바위가 나와서 바위의 사방에 불상을 새기고 절을 지어 굴불사라 불렀다고 한다. 최근의 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의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출토유물 가운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금고(金鼓)에는 굴석사 (掘石寺)라는 명문(銘文)이 있다. (안내문, 2012년, 경주시청)
<출처>
-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년
- 위키백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