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사정동 경주공업고등학교 주변은 삼국시대 경주 칠처가람 중 삼천기(三川岐) 영흥사(永興寺)가 있던 곳이다. 영흥사는 신라 23대 법흥왕(法興王, 재위: 514년 ~ 540년)의 부인 보도부인이 건립한 사찰로 최초의 비구니 사찰로 알려져 있다. <삼국유사>에 법흥왕비가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영흥사에 살다가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영흥사는 경주 남천(문천), 서천(인천), 충효천(모량천) 이 만나는 지점 부근에 있어 삼천기(三川岐)에 해당하는 곳으로 추정되는데 흥륜사가 있었다는 견해도 있다. 현재는 경주공업고등학교가 자리하고 있어 옛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고, 출토된 석조유물들이 학교내 정원과 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진흥왕이 죽다 ( 576년 08월(음) )
〔37년(576)〕 가을 8월에 왕이 돌아가셨다. 시호(諡號)를 진흥(眞興)이라 하고,註 001 애공사(哀公寺)註 002 북쪽 산봉우리에 장사지냈다. 왕이 어려서 즉위하여 한결같은 마음으로 불교를 신봉하였다. 말년에 이르러 머리를 깎고 승복을 입었으며, 스스로 〔법명을〕 법운(法雲)이라고 지어 생애를 마쳤다. 왕비 역시 이에 비구니가 되어 영흥사(永興寺)에 머물렀다. 〔왕비가〕 돌아가시자, 나라 사람들이 예를 갖추어 장사지냈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진흥왕,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영흥사지 절터는 경주공업고등학교 건물을 세우면서 많은 석조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대부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전시되고 있다. 건물기둥을 세웠던 주춧돌이 많이 보이며 석탑을 구성하는 몸돌, 지붕돌 등 다양한 형태의 석조유물들을 볼 수 있다.
신라의 불교는 법흥왕 14년(527)에 이차돈의 순교로 귀족들의 반발을 잠재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당시 이차돈은 신라인들이 신성시여기는 숲에 절을 지어서 귀족들이 반발했는데, 이후에 이들 천경림에 지은 숲을 칠처가람이라고 한다. 그 중 서쪽을 중요시해서 신라 최초의 사찰인 흥륜사를 비롯하여 영흥사, 담엄사, 영묘사 등이 경주도심의 서쪽 형산강변에 자리잡고 있으며 황룡사와 분황사는 도심 중앙에, 사천왕사는 남쪽인 낭산자락에 자리잡고 있었다. 경주공업고등학교 주변 마을과 신라초등학교 일대는 형산강 범람을 막기 위한 삼천기 천경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 앞 마을, 신라인들이 신성시 여겼던 천령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
- 문화원형백과 삼국유사사전/박물지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2007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년
-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진흥왕,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