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통일신라 김인문과 김양의 무덤

경북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김인문과 김양의 무덤이다. 태종무열왕릉(사적)과 서악동 고분군(사적)이 있는 경주 선도산 남쪽 능선 아래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앞쪽에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인 김인문의 무덤이 뒷편에 통일신라 후기 대각간을 지낸 김양의 무덤이 있다.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형태로 봉분의 크기는 왕릉보다 약간 작은 규모이다. 통일신라 귀족의 무덤중에서 주인이 알려져 있는 많지 않은 무덤 중 하나이다. 김인문 무덤 앞에는 묘비를 세웠던 거북받침돌(보물)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태종무열왕릉(사적) 아래에 있는 2기의 무덤>

김인문(金仁問, 629~694)은 무열왕의 둘째 아들이자 문무왕의 동생이다. 젊은 시절부터 당나라에서 머물렀으며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략할 때 참전했다. 삼국통일 후 나당 전쟁시 당나라에 신라왕으로 옹립하려 했던 인물이다. 당나라 장안에 죽은 후 시신을 운구하여 현재의 위치에 묻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 세웠던 비석은 거북받침돌만 무덤앞에 남아 있고, 글자가 새겨진 비석의 일부는 인근 서악서원에서 발견되어 현재는 경주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김인문 무덤>

김인문이 당에서 죽다 ( 694년 (음) ), 김인문(金仁問)이 당나라에서 죽었는데, 나이가 66세였다. (삼국사기 권 제8 신라본기 제8 효소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당에서 죽다 ( 694년 04월29일(음) ), 연재(延載) 원년(694, 효소왕 3) 4월 29일 병으로 누워 당나라 서울에서 죽으니, 향년이 66세였다. 부음을 듣고 황제가 매우 슬퍼하며 수의를 주고 관등을 더하였다. 조산대부(朝散大夫) 행사례시(行司禮寺) 대의서령(大醫署令) 육원경(陸元景)과 판관(判官) 조산랑(朝散郞) 직사례시(直司禮寺) 모(某) 등에게 명령하여 영구(靈柩)를 호송하게 하였다.

태대각간에 추증되고 서원에 묻히다 ( 695년 10월27일(음) ), 효소대왕(孝昭大王)은 [인문에게] 태대각간(太大角干)을 추증하였다. 담당 관서에 명을 내려 연재(延載) 2년(695, 효소왕 4) 10월 27일에 서울 서쪽 언덕(西原)에 묻었다. (삼국사기 권 제44 열전 제4 김인문,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거북받침돌이 있는 비각>

통일신라 7세에 만들어진 석비 거북받침돌로 태종무열왕릉비(국보)와 당(唐)의 영향을 받은 초기 석비의 형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조각수법이나 형태 등에서 태종무열왕릉비와 쌍벽을 이루는 작품으로 사실적이면서도 생동감이 넘친다.

OLYMPUS DIGITAL CAMERA<비석이 세워졌던 거북받침돌(보물)>

비몸은 인근 서악서원에서 1931년에 발견되었다. 한쪽면에만 약 400여자의 글씨를 새겨놓고 있는데, 그이 업적에 대한 기록들이다.

OLYMPUS DIGITAL CAMERA <김인문묘 비, 경주 서악동 출토, 695년>

김인문 묘(金仁問 墓), 경북 경주시 서악동 1006-1
무열왕릉(武烈王陵) 동쪽 평지에 위치하고 있는 이 무덤에는 김인문(金仁問, 629~694)이 안치되어 있다. 김인문은 신라 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文武王)의 친동생으로, 23세에 당나라에 가서 벼슬을 하다가 돌아와, 무열왕을 도와 김유신(金履信)장군과 함께 삼국을 통일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당(唐)나라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효소왕(孝昭王) 때 세상을 떠나자, 나라에서 태대각간(太大角干)이라는 관직을 추증하고 서라벌의 서쪽 언덕에 장사지냈다. 1931년 서악서원(西岳書院)에서 김인문의 비석 조각을 발견하여 이곳이 그의 무덤임을 확인하였다. 무덤 밑둘레 82m, 지름 29.9m, 높이 6.5m로 겉모양은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형태이며, 부근에 비석을 세웠던 거북모양 받침돌이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김양은 신무왕을 도와 민애왕의 뒤를 잇게 하였으며, 문성왕을 받들었다. 그뒤 헌안왕이 무열왕릉 곁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한다. 장보고와 함께 신무왕의 정변을 주도한 인물로 권위를 인정받기 위해 무열왕릉 옆에 묻은 것으로 보인다. 문성왕릉도 이곳에 위치하고 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김양의 무덤>

김양이 철야현에서 왕의 군대와 싸워 이기다 ( 838년 12월(음) )
〔원년(838)〕 겨울 12월에 김양(金陽)이 평동장군(平東將軍)이 되어, 염장(閻長)·장변(張弁)·정년(鄭年)·낙금(駱金)·장건영(張建榮)·이순행(李順行)과 함께 군대를 통솔하여, 무주(武州)8 철야현(鐵治縣)에 이르렀다. 왕이 대감(大監) 김민주(金敏周)로 하여금 군대를 이끌고 가 맞서 싸우게 하였다. 〔김양이〕 낙금과 이순행을 보내 〔기〕마군(馬軍) 3,000기로 돌격하게 하니, 〔적군을〕 거의 다 살상(殺傷)하였다.(삼국사기 권 제10 신라본기 제10 민애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민애왕이 죽다 ( 839년 윤01월(음) )
2년(839) 봄 윤정월에 〔김양의 군대가〕 밤낮으로 행군하여, 19일에 달벌(達伐)의 언덕에 이르렀다. 왕이 〔김양의〕 군대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이찬(伊湌) 대흔(大昕)과 대아찬(大阿湌) 윤린(允璘), 의훈(嶷勛) 등에게 명하여 병사들을 거느리고 막게 하였다. 또 일전을 벌여 〔김양이〕 크게 이겼는데, 왕의 군사는 죽은 자가 반이 넘었다. 이때 왕은 서교(西郊)에 있는 큰 나무 아래에 있었는데, 주변 사람들이 모두 도망치자 혼자 어찌할 바를 모르다가 월유택(月遊宅)으로 도망쳐 숨었으나, 병사들이 찾아내서 해쳤다. 여러 신하들이 예를 갖추어 장사 지내고, 시호(諡號)를 민애(閔哀)로 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10 신라본기 제10 민애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태종대왕릉에 배장되다 ( 857년 12월08일(음) ), 그 해 12월 8일에 태종대왕릉(太宗大王陵)에 배장하였다.(삼국사기 권 제44 열전 제4 김양,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모습>

김양 묘(金陽 墓), 경북 경주시 서악동 1000-1
이 무덤은 김양(陽, 808~857)묘로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형태이다. 무열왕릉(武烈王陵) 동쪽에 김인문묘(金仁問墓)와 나란히 위치해 있다. 김양은 무열왕의 9세손(世孫)으로 여러 벼슬을지내면서 나라에 공헌하였으며, 신무왕(神武王)이 된 김우징(金祐徵)을 도와 민애왕(閔哀王)의 뒤를 잇게 하였고, 다음 왕인 문성왕(文聖王)도 받들었다. 그 후 헌안왕(憲安王) 때 김양이 세상을 떠나자, 대각간 (大角干)을 추증하고 무열왕릉 곁에 장사 지냈다고 한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7년
  2.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1년
  3.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2년
  4. 삼국사기,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