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경주향교, 통일신라 국학이 있던 자리

경북 경주시 교동에 있는 경주향교이다. 통일신라 신문왕 때(682) 최고 교육기관인 국학을 세웠던 곳이다. 경주향교의 창건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고려시대 향교가 세워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향교는 조선 성종 때(1492)에 성균관을 본 떠서 다시 지었다.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중건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이 있는 제향공간을 앞쪽에, 명륜당이 있는 강학공간을 뒤에 배치한 전묘후학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종2품 부윤(府尹)이 고을수령인 경주부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으로 타지역 향교에 비해 규모가 크고 격식을 잘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 향교를 대표하는 건축물로 대성전, 명륜당, 동무.서무,신삼문이 문화재(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향교 외삼문>

경주향교 제향공간은 공자와 선현들을 모신 대성전(보물)을 중심으로 양쪽에 동.서무(보물)를 배치하였다. 출입문으로 외삼문과 내삼문을 두고 있다. 건물들은 임진왜란 이후 중건한 건물들을 보수하면서 유지해 오고 있어 당시 향교 건물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제향공간 대성전(보물)>

동무, 서무는 향교 제향공간을 구성하는 주요 건축물들로 1604년 중건된 이래 여러차례 보수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12칸 규모의 건물로 향교 동,서무 건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동무(보물)>

OLYMPUS DIGITAL CAMERA<서무(보물)>

OLYMPUS DIGITAL CAMERA<신삼문(보물)>

OLYMPUS DIGITAL CAMERA<흙담장>

강학공간은 대성전 뒷편에 배치되어 있다. 강당건물인 명륜당을 중심으로 양쪽에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가 배치되어 있다. 명륜당(보물)은 1614년 중건된 후 여러차례 보수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단일건물로는 향교 강당 건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강학공간 명륜당(보물)>

OLYMPUS DIGITAL CAMERA<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

국학을 설립하다 ( 682년 06월(음) )
6월에 국학(國學)을 설립하고 경(卿) 1인을 두었다.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국학(國學)은 예부(禮部)에 속해 있었는데 신문왕(神文王) 346 2년(682년)에 두었다. 경덕왕(景德王)이 태학감(大學監)으로 고쳐 삼았다가 혜공왕(惠恭王)이 본래대로 되돌렸다. (삼국사기 권제38 잡지 제7 직관,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부속건물로는 명륜당 뒷편에 서적 등을 보관하던 존경각, 동재 뒷편 관리이 머물던 고직사 등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존경각>

OLYMPUS DIGITAL CAMERA<관리인의 거처인 고직사>

OLYMPUS DIGITAL CAMERA<고직사 앞 살림집>

OLYMPUS DIGITAL CAMERA<살림집 마당 우물>

경주향교 (慶州鄕校)
경주 향교(慶州 鄕校)는 본래 신라 신문왕 2년 (682)에 창설한 국학(國學)(지금의 국립대학)이 있던 곳이며, 고려 시대에는 향학(鄕學)으로, 조선시대에는 역시 향교로 이어져 지방 교육 기관으로서의 구실을 해 왔다.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臨)·서무(西無)는 공자(孔子)를 비롯한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 받드는 곳이며, 강당인 명륜당(明倫堂)과 학생들의 거처인 동재(東齋)·서재(西齋)는 강학을 하는 곳이다. 경주 향교가 처음 지어진 시기는 잘 알 수 없으나, 조선 성종 23년(1492)에 성균관(成均館)을 본따 중수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燒失)된 것을 선조 33년(1600)에 대성전(大成殿)과 전사청(典祀廳)을 중건하고, 선조 37년(1604)에 동무 · 서무를 광해군 | 6년(1614)에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중건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
  5.  삼국사기,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