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상감영 측우대(국보)

서울 종로구 국립기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국보)이다. 조선후기 영조 때 측우제도를 재정비하면서 전국 감영에 설치된 측우대 중 하나이다. 높이 46 cm의 돌로 만들어진 것으로 새겨진 명문을 통해 영조 46년(1770)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경상감영 선화당 앞 마당에 있던 것을 총독부관측소로 옮겼으며 현재는 국립기상박물관에서 소장, 전시하고 있다. 강수량을 측정하던 측우기는 남아 있지 않으나 공주 충청감영에 있던 측우기와 같은 형태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국보) 01-20220504<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국보, 영조 46년(1770)>

‘측우대건륭경인오월조(測雨臺乾隆庚寅五月造)’이라고 새겨진 글자를 통해 영조 46년(1770)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국보) 02-20220504<옆에서 본 모습>

영조실록에 따르면 세종 대의 옛 제도를 모방하여 측우기를 만들어 창덕궁과 경희궁에 설치하라고 명하고, 8도와 유수부에도 설치하여 측우를 보고하게 했다. 이때 측우대의 규격을 공식화했다. 이 유물은 실록의 규격를 따르고 있어 당시 제도를 살펴볼 수 있게 해 준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국보) 03-20220504<측우기 설치에 관한 기록이 있는 영조실록>

팔도와 양도에 측우기를 만들어 우수의 다소를 살필 것 등을 명하다.

세종조(世宗朝)의 옛 제도를 모방하여 측우기(測雨器)를 만들어 창덕궁(昌德宮)과 경희궁(慶熙宮)에 설치하라고 명하였다. 팔도(八道)와 양도(兩都)에도 모두 만들어 설치하여 우수(雨水)의 다소를 살피도록 하고, 측우기의 척촌(尺寸)이 얼마인가를 치계(馳啓)하여 알리도록 하였다. 이어 하교하기를,
“이는 곧 옛날에 일풍 일우(一風一雨)를 살피라고 명하신 성의(聖意)를 본뜬 것이니, 어찌 감히 소홀히 하겠는가? 듣건대,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측우기는 석대(石臺)를 만들어 안치(安置)하였다고 하였다. 금번 두 궁궐(宮闕)과 두 서운관(書雲觀)에 모두 석대를 만들되 높이는 포백척(布帛尺)으로 1척이요, 넓이는 8촌이며, 석대(石臺) 위에 둥그런 구멍을 만들어 〈측우기를〉 앉히는데, 구멍의 깊이는 1촌이니, 경신년126) 의 신제척(新製尺)을 사용하라.”
하였다. 대체로 〈경신년의 신제척은〉 경신년에 삼척부(三陟府)에 있는 세종조 때의 포백척을 취하여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참고해서 자[尺]의 규식(規式)을 새로이 만든 것이다.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5월 1일,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국보) 04-20220504
<조선후기 헌종 때(1837년)에 제작되어 충청감영에 설치되었던 측우기>

OLYMPUS DIGITAL CAMERA<측우기가 설치되었던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건물 앞에 측우대(복제품)을 볼 수 있다.>

대구경상감영측우대
후면에 ‘측우대, 건륭 경인년 5월에 만듦(測雨臺乾隆庚寅五月造)이라고 새겨진 명문을 통해 영조 46년(1770)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기상학자였던 와다 유지의 기록에 따르면, 본 측우대는 경상감영 선화당 뜰에 있다가 총독부 관측소로 옮겨졌다고 하며 이후 기상청에서 소장해왔다. 측우 제도는 임진왜란 등을 거치며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다가 영조의 대에 다시 실행되었는데, 본 측우대는 이때 재건된 측우 제도를 증명해주는 유물로서 의의가 있다. 영조는 세종 대의 옛 제도를 모방하여 측우기를 만들어 창덕궁과 경희궁에 설치하라고 명하고, 8도와 유수부에도 설치하여 측우를 보고하게 했다. 이때 측우대의 규격을 공식화했다. 높이는 포백척(布帛尺)으로 1자, 너비는 8치, 석대 위 둥그런 구멍의 깊이는 1치로 정했다. 포백척의 1자가 약 46cm인데 현재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높이가 46cm이다. 이를 통해 본 측우기는 영조 대의 측우제도가 반영되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안내문, 국립기상박물관, 2022년)

<출처>

  1. 안내문, 국립기상박물관,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
  5.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5월 1일,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