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사적)

경남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에 있는 이충무공유적(사적)이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장군이 왜군을 크게 무찌른 한산대첩을 지휘했던 곳이다. 충무공은 한산대첩 후 이곳에 운주당을 짓고 1593년부터 1597년까지 삼도수군 본영으로 삼았다. 이후 정유재란 때 칠전량에서 조선수군이 크게 패하면서 이곳은 폐허가 되었다. 이후 영조 때(1739년) 통제사 조경이 유허비를 세우고 운주당이 있던 자리에 제승당중건하면서 이충무공의 업적을 기렸다. 이후 1970년대에 현재의 모습으로 크게 확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사적)>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한산도(閑山島)는 경남 통영시 한산면에 있는 약간 규모의 섬으로 약 610세대의 주민이 살고 있다. 임진왜란 때 이충무공이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고 한산도 앞 바다에서 왜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두었다. 한산도 앞바다에는 거북선 모양의 등대를 볼 수 있다.

<여객선에서 보이는 한산도>

<거북등대>

통영항에서 한산도 유적지까지는 여객선이 운항하고 있으며 선착장에서 유적지까지는 해안길을 따라 약 800m 정도 걸으면 된다.

<여객선 선착장>

<유적지 입구>

유적지에는 1976년에 크게 중건한 제승당을 중심으로 이순신 장군의 <진중시>로 유명한 수루, 영정을 모신 사당인 충무사, 활터인 한산정이 있다. 또한 조선후기 영조 때 통제사 조경이 제승당을 세우면서 이곳이 한산도 수영 운주당이 있었음을 기록한 유허비 등이 있다.

<제승당>

제승당(制勝堂)
제107대 조경 통제사가 운주당 자리에 현 건물을 복원하면서 제승당이라 이름한 이곳은 현대의 해군작전사령관실과 같은 곳이다. 충무공은 1593년 715일부터 1597년 2월 26일 한양으로 붙잡혀 가기까지 3년 8개월 동안 진영을 여기에 설치하였다. 승리를 만드는 건물의 이륵과 같이 왜적을 물리치기 위한 작전도 짜고, 총통과 같은 신문기의 제작과 보급에 힘쓰는 등 모든 군무를 관장하던 곳이었다. 총 1,491일 분의 난중일기 중 1,029일의 일기가 여기에서 쓰여졌고 많은 시를 남기기도 했던 곳이다. 현재의 제승당은 충무공이 떠난 뒤 폐허가 되었다가 1739년에 통제사 조경이 중건한 것을 1976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안내문, 통영시청, 2008년)

수루는 적의 동태를 관측하는 일종의 망루이다. 조선후기 영조 떄 김천택의 시조집 <청구영언>에 실린 <진중시>의 배경으로 유명한 곳이다.

<한산섬 수루>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하는 적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 청구영언>

<수루에서 보이는 한산도 앞바다>

이 수루는 일종의 망루로서 임진왜란 때 충무공이 이곳에 자주 올라 왜적의 동태를 살피면서 왜적을 물리치고 나라를 구하여 달라고 기도하며 우국충정의 시를 읊기도 하던 곳이다. 또 이곳에는 오른쪽의 고동산, 왼쪽의 미륵산, 뒤쪽의 망산을 연결, 봉화.고동.연등을 이용하여 남해안 적 동태를 파악하였다. 이 건물은 1976년 정화사업 떄 한산만을 내려다 볼 수 있는 현 위치에 고증을 통해 신축한 것이다. (안내문, 통영시청, 2008년)

충무사는 이충무공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1976년에 크게 중건한 사당이다.

<충무사 홍살문>

<충무사>

유적지에는 1739년 통제사 조경이 제승당을 다시 지으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유허비와 통제사 이규석이 다시 세운 유허비가 있으며 입구에는 이충무공의 후손으로 통제사나 부사로 역임했던 이들을 칭송하기 위해 세운 공덕비들을 모아놓았다.

<제승당 유허비>

<제승당 유허비>

제승당 유허비
왼쪽 비석은 1739년 제107대 통제사 조경이 제승당을 다시 세운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제승당은 임진왜란 때 충무공이 작전지휘소로 세웠던 곳으로 1597년 정유재란 때 불아 타 없어졌었다. 이 비석은 무른 사암으로 제작되어 마모가 심하다. 오른쪽 비석은 충무공의 후손으로 제198대 통제사를 지낸 이규석이 새로 세운 것으로 전에 있었던 비석을 묻은 곳이라는 표식이 있다. 가운데 비석은 오른쪽 비석의 뒷면을 한글로 풀어 새겨 놓은 것이다. (안내문, 통영시청, 2008년)

<후손통제사 행적비>

<후손통제사 행적비>

후손통제사행적비
이 비들은 충무공의 후손으로 통제사나 부사로 부임했던 이들의 선행을 기념하기 위해 한산도와 거제도의 주민들이 약 240 ~ 130년 전에 세웠던 송덕비를 한 자리에 모은 것이다. 오른쪽부터 제121대 통제사 이태상(5세손), 제138대 통제사 이한창(6세손), 제172대 통제사 이승권(8세손), 부사 이태권(8세손), 제203대 통제사 이규안(10세손)의 송덕비가 늘어서 있다. 이한창 통제사의 송덕비에는 ‘섬사람들을 따뜻하게 돌보아 준 공덕을 영원히 잊지 못하겠다’고 새겨져 있는데, 나머지도 비슷한 내용이다. (안내문, 통영시청, 2008년)

한산정은 이충무공이 활을 쏘던 곳으로 표적과의 거리는 145m이다. 과녁은 바다를 끼고 건너편에 위치해 있다.

<한산청>

<과녁>

한산도 충무공 이순신 장군 유적지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1592년 임진왜란 때 세계 해전사상 길이 빛나는 한산대첩을 치른 장소이다. 여기에 집무실 겸 작전지휘본부였던 운주당을 짓고, 1593년부터 1597년까지 삼도수군의 본영으로 삼았다. 이곳은 남해안의 해상권을 장악하고 국난을 극복한 유서 깊은 사적지이다. 운주당은 1597년에 건물이 없어졌으나 142년 후인 1740년 통제사 조경이 다시 짓고 이 사실을 비에 적어 남겼다. 1959년 정부가 사적으로 지정한 이래로 여러 차례 보수하여 왔으나 민족의 영웅을 모시기에는 여러모로 부족하였다. 1975년 박정희 대통령이 이곳을 둘러본 후 이순신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고 목숨을 바쳐 나라를 구한 높은 뜻을 후손만대에 전하도록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부지를 확장하고 보수하여 1976년 오늘의 모습으로 단장하였다. 이곳에는 이순신이 생전에 삼도수군을 지휘하던 곳인 제승당을 비롯하여 공의 존영을 모신 충무사와 유허비, 공덕비, 한산정, 수루 등 부속 건물들이 말끔히 복원되어 수려한 주변 경관과 더불어 당시 조선 수군 본영의 면모를 되찾아 볼 수 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갔어도 나라 사랑하던 마음은 출렁이는 푸른 바다와 함께 언제까지나 살아남아 조국 수호의 영원한 횃불이 되고 있다. 이곳을 찾는 우리는 다 같이 옷깃을 여미고 공의 공적을 가슴 깊이 되새겨 영광된 통일 조국의 기반이 되기를 다짐하자. (안내문, 통영시청, 2008년)

<출처>

  1. 안내문, 통영시청, 2008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위키백과,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