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기도 부평도호부 관아, 초등학교에 남아 있는 내아

옛 부평도호부 청사가 있었던 읍치에는 객사, 동헌을 비롯하여 많은 건물이 있었는데 지금은 내아로 추정되는 건물이 부평초등학교 교정에 남아 있다. 일제가 구한말에 초등학교를 설치하면서 관아 건물 중 평상시 사용하지 않는 객사를 초등학교 건물로 바꾼 경우가 많은데 부평도호부는 대부분의 청사가 허물어지고, 내아 건물만 변형된 채로 학교 운동장 구석에 남아 있다. 부평도호부에서 관장하는 중등교육기관인 부평향교는 계양산 아래에 남아 있다.

<부평도호부 관아가 있었던 부평초등학교>

조선시대 경기도 한강이남 서해안 지역에서 가장 큰 고을 중 하나였던 부평도호부 청사가 있었던 부평초등학교이다. 이곳에는 객사, 동헌 등 많은 관아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내아로 쓰였던 건물만이 운동장 한쪽에 남아 있다.

<부평도호부 내아>

부평도호부 내아로 사용되었던 건물은 부평초등학교 운동장 동쪽편에 있다. 운동장 입구에는 관청 부근에 많이 남아 있는 오래된 고목을 볼 수 있다.

<앞에서 본 모습>

부평도호부 내아 건물. 부평부사가 거처했던 살림직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원래 우리나라 건물에서는 짝수를 잘 쓰지 않는데 이 곳은 ‘ㄱ’자형 건물을 변형해서 그런지 6칸짜리 건물이 만들어졌다.

<오른쪽에서 본 모습>

건물은 장대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세워졌다. ‘ㄱ’자형으로 된 살림집을 변형한 것으로 일반적인 한옥이나 관아 건물에서 잘 보이지 않는 건물구조이다.

<정원 연못>

건물 앞에는 정조대왕 잠시 들렀다는 흔적을 보여주는 ‘욕은지’라는 작은 연못이 있다.

역대 임금중에 공식적으로 부평을 경유해간 임금은 정조대왕 한 분이다. 정조 21년에는 김포에 있는 장릉을 참배하고, 부평.안산을 거쳐 수원에 있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참배하였다. 이때 정조는 부평에 머물며 활을 쏘고 욕은지에서 손을 씻었다고 한다. <출처:인천시청>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는 지금의 인천 부평구, 계양구, 부천 지역을 다스리던 지방행정기관으로 읍치는 계양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조선시대 부평도호부는 서울 한강이남 서해안 지역에서 가장 큰 고을로 15개면이 부평도호부에 속해 있었다. 지금은 부평이 인천에 속해있지만 원래는 인천과는 구분되는 지역으로 사실상 부천과 같은 생활권이었다 할 수 있다. 구한말 경인철도가 부설되면서 부평의 중심이 현재의 부평역과 부천역 부근으로 바뀌었지만 부평과 부천의 중심지는 계산구 부평초등학교가 있는 옛 부평도호부 청사 주변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 남아 있는 고목>

<내아 옆 고목>

부평초등학교는 지금의 행정구역상 부평구에 있지 않고 계양구에 있다. 초등학교 건물 앞에 고목이 있는 것으로 봐서 이 곳에 객사나 동헌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평부사를 지낸 관리들의 공덕비>

부평도호부 청사
고려시대 의종 4년에 안남도호부, 고종2년에 계양도호부, 조선시대 태종 13년에는 부평도호부를 설치했다. 기록에 의하면 객사, 동.서헌, 삼문, 근민당, 좌.우익랑, 동.서책방, 사령청, 향청, 포도청, 훈무당, 부창 등 여러채의 청사 건물이 있었다고 전하나, 부평초등학교를 지으면서 대부분 철거하여 현재는 내아만 남아 있다. 원래 “ㄱ”자형 건물이 있었으나 현 위치로 이전하면서 “-“자형 건물로 바꾸어 정면 6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도리집이 됐다. <출처:인천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