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김해향교, 김해도호부 중등 교육기관

경남 김해시 대성동에 있는 김해향교이다. 조선시대 김해도호부에서 설치하여 운영했던 중등교유기관으로 김해읍성 북문에서 2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초 대종 때 처음 세워졌으며 전란과 화재 등으로 조선후기 숙종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김해도호부는 비교적 큰 규모의 고을로 낙동강 뱃길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읍성을 쌓았으며 뒷편에 산성인 분산성을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김해 향교>

김해향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쪽에, 문묘인 대성전을 뒷편에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출입문으로 문루인 풍화루를 두고 있으며, 강당건물인 명륜당은 앞면 5칸 규모의 비교적 큰 건물이며, 양쪽에 동재와 서재를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풍화루>

OLYMPUS DIGITAL CAMERA<명륜당>

OLYMPUS DIGITAL CAMERA<동재>

OLYMPUS DIGITAL CAMERA<서재>

OLYMPUS DIGITAL CAMERA<강학공간 마당에 있는 고목>

김해향교, 경남 김해시 대성동
향교는 유교의 옛 성현을 받들면서 지역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 목적으로 세워진 전통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이다. 김해 향교는 태종 8년(1408) 고정(지금의 중양여중)에 창건하였다가 그 후 화재 등으로 수차례의 이전을 거쳐 영조 48년(1770)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다. 향교는 교육과 제례의 두 기능 영역으로 나뉜다. 유생이 학문을 연마하는 명륜당과 일상생활을 하는 동.서재는 교유기능을 담당하고, 공자를 비롯한 25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춘추로 석전을 봉행하는 대성전과 동,서무는 제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김해 향교는 교육공간을 앞쪽에, 제례 공간을 뒤쪽에 두는 향교 건물배치의 일반적인 형태인 전학후묘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입구에는 풍화루와 홍살문이 자리잡고 있다. <안내문, 김해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김해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