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서울 숭례문(국보), 한양 도성의 정문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 있는 숭례문(국보)이다. 한양도성의 정문이자 남문에 해당되는 성문으로 남대문이라 불리기도 했다. 숭례문은 조선 태조 때(1396년) 처음 축조되었으며, 세종 때(1447년) 개수공사를, 성종 때(1479년) 문루와 홍예를 헐고 크게 다시 지었다. 2008년에도 방화로 큰 피해를 입고 다시 수리하였다. 숭례문은 화강암으로 쌓은 기단위에 건립되었는데 견고하고 아름다우며, 우리나라 성문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출입문으로 홍예문을 두고 있으며, 바깥쪽 옹성을 쌓지는 않았다. 문루는 2층 누각형 건물인데 웅장한 우진각지붕을 하고 있으며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다포계이다. 단청은 적(赤),녹(綠)의 두 색을 많이 사용했다. 최근에 화재로 문루가 소실되었다고 하나 원래 있던 석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문루를 수리하였다고 하여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크게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성곽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서울 숭례문(국보), 바깥쪽>

<안쪽>

2000년대 이전 숭례문은 차도로 가로막힌 교통섬이었으나, 인도가 연결되면서 명실상부한 성문이 되었다. 2008년 방화로 소실된 문루를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으며 주변 성곽도 일부 복원했다.

<2006년 화재로 소실되기 전 모습>

<안쪽>

숭례문 문루는 누각 형태로 되어 있는 읍성 성문과는 달리 방어를 위해 나무로 만든 총안을 두고 있다. 붉은색과 녹색을 위추로 한 단청에 다포계공포를 사용하고 있지만 간결한 형태를 하고 있다. ‘숭례문’이라 적힌 현판은 세로쓰기로 적혀 있다.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현판 글씨를 썼다고 한다.

<문루와 현판>

<안쪽 방향>

<추녀마루 잡상>

좌우 성벽은 조선초기에 쌓에 옛 석축이 남아 있는 부분도 있고, 복원한 부분도 있다. 바깥쪽에는 흥인지문(동대문)과 달리 옹성을 두지 않고 조선초기 한양도성을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성문은 아치형으로 석축을 쌓은 홍예문으로 웅장하고 견고해 보인다.

<성문(바깥쪽).

<성문 내부 천장>

<성문(안쪽)>

<큰돌로 쌓은 석축>

<바깥쪽 복원한 부분>

숭례문을 들어서면  경복궁과 관아인 육조거리가 있던 광화문으로 큰길이 연결된다. 오른쪽으로는 남대문시장, 종로와 광통교지역으로 연결되는 길이 있다.

<숭례문 남쪽 서울역으로 연결되는 길>

<남대문시장과 광통교로 연결되는 길>

<남산으로 연결되는 성벽이 있던 자리>

<서소문으로 연결되는 성벽이 있던 자리>

<남쪽에서 보이는 숭례문>

<옆쪽에서 본 숭례문>

서울 숭례문, 국보
숭례문은 조선 태조 7년(1398)에 한양도성의 남쪽 대문으로 세워졌다. 그 후 세종30년(1448), 성종10년(1479), 고종 연간에 큰 수리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매일 밤 인정(10시 무렵)에 문을 닫았다가 다음날 아침 파루(4시무렵)에 문을 열었는데, 이때 문루에 종을 담아 그 시간을 알렸다. 장마나 가뭄이 심할 때는 임금이 몸소 기청제와 기우제를 지내는 등 숭례문에서는 국가의 중요한 행사가 거행되곤 하였다. 석축 위에 세워진 중층 누각은 장식이 간결하고 내부 구조가 견실하여 조선초기의 건축 기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는 좌우 성곽이 철거되었으며, 한국전쟁 때 피해를 입어 1961년부터 1963년 사이에 해체보수를 하였다. 2008년 2월10일 방화사건으로 크게 훼손되어 2013년 4월까지 복구하였으며, 이때 좌우 성곽도 함께 복원하였다. (안내문, 서울시청, 2013년)

<출처>

  1. 안내문, 서울시청, 201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