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수원부 관아, 내아인 유여택과 복내당

화성행궁(華城行宮)은 국왕이 임시 거처로 사용되는 공간이자, 수원유수(留守)가 집무를 보는 수원부(水原府) 관아이기도 하다. 정조가 머물렀던 행궁의 중심 건물인 봉수당(奉壽堂)이 동헌에 해당한다면, 수원유수가 생활하는 공간인 내아(內衙)는 사랑채에 해당한는 유여택(維與宅), 안채에 해당하는 복내당(福內堂)과 혜경궁 홍씨가 머물렀던 장락당(長樂堂)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성행궁은 정조가 화성을 건설하면서 수원부 읍치(邑治)를 화성을 옮길때 행궁으로 조성했기때문에 다른 관아에 비해서 살림집에 해당하는 내아의 규모가 큰 편이다. 사랑채에 해당하는 유여택은 건물 형태나 규모로 볼 때 수원유수의 생활공간이 아니라 동헌처럼 일상적으로 근무하는 공간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며, 동헌인 봉수당은 평상시에는 비워두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안채에 해당하는 복내당과 장락당에는 국왕 일행을 수행하는 인원들이 머물수 있도록 많은 행랑들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여택(維與宅), 수원유수가 일상적으로 거처하는 공간

화성행궁 유여택은 동헌인 봉수당 출입문인 중앙문 왼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건물이다. 평소에는 수원유수가 업무를 보며 거처하는 공간으로 다른 관아와는 달리 행궁으로 사용할 때 국왕이 집무하는 공간으로 사용했기때문에 많은 신하들이 도열할 수 있도록 앞에 넓은 마당과 행각을 두고 있다. 건물은 앞면 6칸 정도의 규모가 큰 편에 속하는 건물로 오른쪽편에 누각을 두고 있다. 일반 관청건물과는 달리 당시에 유행하던 권문세가 대저택의 사랑채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 앞에는 월대를 두고 있으며, 누각 앞에는 해시계가 있다. 건물 중앙에 마루를 두고 집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마루 양쪽에 온돌방을 있다. 유여택 앞 마당은 궁궐 정전의 마당보다는 작지만 규모가 있어, 많은 사람이 참석하는 행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아 사랑채에 해당하는 유여택>

<오른쪽에서 본 모습>

정조가 화성을 행사했을 때 이곳에서 집무를 보면서 신하들을 접견했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6칸 규모로 가운데 2칸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조선후기에 유행한 누마루를 오른쪽에 1칸 달아내어 놓고 있다.

<왼쪽에서 본 모습>

유여택 내부에는 국왕이 집무를 보던 환경을 꾸며 놓고 있다. 평소에는 수원유수 처소로 이용된 공간이었다고 하니, 국왕이 집무를 볼 때와는 다른 모습을 꾸며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청마루 내부>

국왕이 집무를 보는 공간으로 꾸며 놓은 대청마루. 재남헌(扗南軒)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있고, 중앙에 어좌가 마련되어 있다.

<누마루>

<유여택 월대>

수원유수의 처소였던 까닭에 삼도와 같은 궁궐의 형식은 배재하고 있다.

<유여택 앞 마당과 정면 행각>

국왕을 수행하는 인원들이 거처할 수 있도록 크고 작은 방들과 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봉수당 마당 방향의 행각>

<2014년 가을 유여택>

유여택이라는 이름은 시경의 내용 중 ‘상제께서 모두 물리치시고 나라의 규모를 크게하리라. 이내 서녁을 돌아보시고 이집을 주었다(유여택)’라는 내용이다. 유여택은 정조가 행차시 집무공간으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정조의 행궁 행차시에는 행궁의 주요 공간(봉수당, 장락당, 유여택 등)이 궁궐로 사용되었는데, 이 때 봉수당은 정조의 처소(업무를 마치고 머무르는 공간)로, 유여택은 정조의 집무공간으로 사용되었다. 평소에 유여택은 유수의 처소로 사용되었다. <출처:수원시청>

<복내당으로 출입하는 중문>

<복내당 행각과 마당>

중문을 들어서면 행각과 작은 마당이 있다. 이 공간은 내아에서 사랑채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보인다.

<유여택 뒷마당>

<유여택에서 복내당으로 출입하는 출입문>

유여택(維與宅)
유여택은 평상시에는 화성 유수가 거처하는 곳으로 쓰이다가, 임금이 행차하게 되면 잠시 머무르며 신하를 접견하는 곳으로 이용되던 건물이다. 1795년 행차 때, 정조는 이 건물에서 각종 행사에 대한 보고를 받고 하교를 내렸다. 원래 이 건물은 1790년에 건립하고 ‘은약헌(隠若軒)’이라 하였다가, 1796년 증축하면서 유여택으로 이름을 바꿨다. 현재의 건물은 1998년 12월 복원된 것이다. <출처:수원시청>

복내당(福內堂), 수원유수 가족들이 거처하는 내아

화성행궁 복내당(福內堂)은 행궁의 내당이자 실제 이 곳을 집무를 보던 수원유수 가족이 거처하던 내아(內衙)이다. 화성행궁의 성격자체가 국왕이 잠시머무르는 행궁의 성격과 수원화성을 책임지던 화성 유수의 집무공간이었던 까닭에 이 곳 화성행궁 복내당은 화성유속 가족들이 거처하던 주택과 행궁을 방문하는 국왕을 비롯한 고위급 인사들의 숙식을 지원해야하는 역할이 있었다. 그래서 복내당은 행각들이 상당히 많고, 국왕이 잠시 거처하던 봉수당과 장락당이 바로 붙어 있다. 아마도 정조대왕 시절에는 수원유수 가족들이 거처하는 공간이었지만 실제로 거처하기는 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많은 국왕을 보필하는 인원들이 이 곳 복내당에 머물면서 행사를 준비했을 것으로 보인다.

<수원부 내아인 복내당>

건물자체로는 크지 않고 일반 저택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으나, 행궁에서 거행되는 행사를 지원해야 하는 까닭에 복내당을 중심으로 많은 행각들이 붙어 있고, 각 행각마다 많은 출입문을 두고 있다.

<복내당 대청마루>

<대청마루 안쪽편에 마련된 상석>

드라마 ‘대장금’에 등장했던 장면을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뒷편에 내명부에 대한 설명을 적어 놓고 있다.

<복내당 부엌>

<부엌 내부>

복내당은 1790년 수원부 신읍 치소의 내아(內衙)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된 건물이다. 이곳은 복내당에 딸린 부엌으로 당시의 부엌 살림들이 연출되어 있어 수원부 유수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복내당에 딸린 행각.>

장락당과 연결되는 통로이다.

<복내당에서 혜경궁 홍씨가 머물렀던 장락당과 연결되는 출입문>

<유여택에서 복내당으로 출입하는 작은 출입문>

화성행궁 복내당에는 건물 규모에 비해서 상당히 많은 출입문을 두고 있는데, 이는 복내당이 화성유수 내아로서의 역할보다는 궁궐 내당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점을 말해준다. 좁은 공간에 국왕을 수행하는 많은 수의 상궁, 내시들이 머물러야 했고 그들을 신분, 역할에 따라 구분해야 했기때문에 출입문이 많았다고 생각해 본다.

<복내당 바깥쪽 행각>

대장금의 어린 시절 수락간 생각시 훈련장과 어선경연이 벌어졌던 곳이다. 의녀가 되기 위해 장금이 교육을 받았던 전의감 교육장, 궁궐안에서 보여지는 내의원의 모든 모습과 그 밖의 대장금의 주요 장면이 이 곳 수원화성에서 펼쳐졌다.

<대장금 의상>

TV드라마 ‘대장금’에서 대장금이 입었던 의상들을 살펴볼 수 있다. 어린 장금 생각시 의상, 어린 장금 의상, 장금 수랏간 생각시 의상, 장금 수랏간 나인 의상, 장금 의녀 의상, 장금 최고상궁 의상의 순서이다. 

<복내당 뒷쪽편 행각들>

<행각들>

복내당과 작은 출입문으로 구분되어 있다. 아마도 뒷쪽편에는 국왕을 수행하던 상궁.나인들이 거처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행각은 여러개의 방과 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밖에서 본 모습>

상당히 많은 행각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정조대왕 행차시 많은 사람들이 머물 수 있도록 지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행각과 솟을대문이 있다. 이 문을 통해서 내아였던 복내당을 출입했던 것으로 보이며, 국왕 행차시 많은 인원들이 거처하기 때문에 출입문을 크게 만들었다.

복내당(福內堂)
복내당은 행궁의 내당으로 1789년에 건립되었으며, 1794년에 증축되었다. 평상시에는 화성유수의 가족들이 거처하던 곳이다. 이곳의 현판은 정조가 직접 썼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판은 남아 있지 않으며 1997년에 복원된 것이다. <출처:수원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