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수원 화령전(사적),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영전

수원 화성행궁에서 정전에 해당하는 봉수당 오른쪽에는 각종 연회나 행사가 열리던 화성행궁내에서 유일하게 남은 건물인 낙남헌과 오래된 목조 건물을 중심으로 한 건물군인 화령전(華寧殿, 사적)을 볼 수 있다. 이 곳은 수원화성과 행궁을 건설한 정조의 어진(御眞)을 모신 영전(影殿)으로 정조의 아들인 순조가 화성에 모셔진 정조의 건릉(健陵)과 사도세자의 (隆陵)을 참배할 때 문안을 올리기 위해 세었다고 한다.

화령전은 정조의 어진을 모신 운한각(雲漢閣)을 중심으로 비상시 어진을 옮겨놓은 이안청(移安廳), 재실인 풍화당(風化堂), 제사를 준비하는 전사청(典祀廳), 내삼문(內三門), 외삼문(外三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조의 어진을 모신 운한각은 정전에 해당하는 건물로 앞면 5칸의 큰 규모의 건물이다. 건물 앞에는 제사를 올릴 때 악공들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월대(月臺)가 마련되어 있다. 운한각 오른쪽에는 비상시 어진을 옮길 수 있도록 이인청이 마련되어 있으며, 두 건물은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정전 영역 오른쪽에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재실 건물인 풍화당이, 왼쪽에는 전사청이 위치하고 있다.

<정조의 어진을 모신 운한각>

운한각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팔작지붕을 한 목조 건물로 앞에는 월대가 세워져 있는데, 궁궐 정전 건물과 비슷한 규모이다. 운한각 오른쪽에는 복도각과 재실인 이안청이 연결되어 있다. 지방 관아에 세운 전각이지만, 궁궐 전각에 못지않게 웅장하면서도 위엄있게 지어졌다.

<월대>

건물 앞에는 제사 때 사람들이 모여 서고 악공들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월대(月臺)가 마련되어 있다. 월대위에는 청동향로와 드므가 양모퉁이 위에 세워져 있다.

<추녀마루의 잡상>

<처마와 공포>

<문살과 기둥>

<천장>

<내부에 모셔진 정조대왕 어진>

융복(군복)을 입은 초상화가 모셔져 있다.

<옆에서 본 모습>

<건물 뒷편>

건물 뒷편에는 벽돌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후기 청나라 건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환기시설을 하고 있다.

운한각(雲漢閣)
운한각은 화령전의 정전으로 정조의 초상화를 봉인한 건물이다. 운한은 임금이 가뭄을 걱정하여 하늘에 기우제를 올릴 때 불려 졌다는 『시경』의 시구에서 따왔다. 앞에는 제사 때 악공들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월대가 있고, 세 개의 계단이 놓여 있는데 가운데 계단은 혼백만이 사용하는 계단이다. 1801년에 만들어진 조선후기의 가장 대표적인 건물이다. <출처:수원시청>

<화령전 정문에 해당하는 외삼문>

<안에서 본 모습>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양쪽에 작은 행각을 두고 있다. 외삼문에서 내삼문으로는 신도(神道)가 연결되어 있다.

<운한각을 출입하는 내삼문>

<화령전 마당에서 본 내삼문과 외삼문>

<운한각 앞 마당>

<삼도>

화령전 중문에서 운향각까지는 삼도로 연결되어 있다. 원래는 박석이 깔려 있었겠지만 지금은 시멘트로 포장되어 있다.

<이안청>

운한각 오른편에는 이안청이 있는데, 화재 등 비상시에 어진을 옮겨 놓는 역할을 한다.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안청(移安廳)
운한각에 모신 영정을 옮겨야 할 사정이 생겼을 때 영정을 임시 모셔두는 건물로 운한각과는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출처:수원시청>

<운한각과 이안청을 연결하는 복도각>

<복도각 내부>

어진을 옮길때 비에 젖지 않도록 하고 있다.

<재실 출입문>

<풍화당>

<대청마루>

풍화당은 화령전에 제사를 올릴때 머무는 재실로 앞면 5칸의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다. 순조는 융.건릉을 참배하기 위해 화성행궁을 방문할 때 이곳에서 노인들을 모아 시연(詩宴)을 베풀기도 하였다고 한다.

<풍화당 앞 마당>

국왕이 머물렀던 공간으로 어도(御道)가 마련되어 있다.

풍화당(風化堂)
재실로서 제향이 있을 때 제를 올리는 사람이 미리 와서 머무는 건물이다. 풍화는 사회의 풍속과 기강을 교화시킨다는 의미이다. <출처:수원시청>

전사청(典祀廳)

<화령전 왼쪽편에 위치한 전사청>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이자 실무관헌들이 머무는 곳이다. 건물은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행각처럼 길게 지어졌다.

<전사청 마당 한쪽편에 있는 우물>

제정(祭井)
제정은 화령전의 제례에 사용될 정화수를 뜨는 우물로 어정(御井)이라고 한다. 화령전 제정은 정방향의 형태로 각 방향에 14개(4면 56개)의 장대석을 치밀하게 쌓아 올렸다. 높이는 5.5m이과 바닥에서 물이 고인 높이는 4m이다. <출처:수원시청>

 화령전(華寧殿), 사적
화령전은 1800년 6월28일 정조대왕께서 돌아가시고 난 이후 정조대왕의 어진을 봉안하기 위해 만든 어진봉안각입니다. 정조대왕의 초상화는 평생 세차례 그려졌는데 화령전에는 융복(군복) 입은 초상화를 모셨습니다. 화령전은 화성(華城)에서 ‘화華’자를 따고, 사서삼경의 하나인 『시경』에서 ‘돌아가 부모에게 문안하리라, 귀령부모(歸寧父母)’에서 ‘령(寧)’자를 따서 붙인 것입니다. 곧 화령전은 국왕 순조가 화성에 묻힌 정조를 찾아가 문안을 여쭙는 전각이었던 것입니다. 정조의 사당인 이곳에서는 역대 국왕이 현륭원과 건릉을 다녀갈 때 마다 제향을 올렸으며 현재의 초상화는 2005년도에 새로 제작된 것입니다. 화령전을 구성하는 주요 건물은 정조의 어진을 봉인한 정전, 화재나 홍수 등 만약의 사태가 났을 때 정조의 어진을 옮겨 모시는 이안청, 그리고 국왕 및 제사를 모시기 위해 화령전에 온 관리들이 몸을 깨끗이 하고 대기하는 재실, 화령전 제사를 담당하는 관리들이 업무를 보는 전사청 등이 있습니다. <출처:수원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