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기도 안성군 관아, 고려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는 안성객사

안성시에는 남아 있는 조선시대 안성군 관아의 중심이 되는 객사(客舍)와 중등교육기관인 향교가 옛 관아의 흔적으로 남아 있다. 객사는 국왕의 궐패를 모시고,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중앙관리가 잠시 머무는 숙소역할을 하는 곳으로 각 지역마다 해당 지역의 규모에 걸맞는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는데, 안성은 전국에서 평균 정도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다. 원래 안성읍내에 있던 것을 이곳저곳 옮겨다니다 1995년 수리.해체를 한 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안성객사는 고려시대부터 있어 왔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출토된 기와 명문에 조선 숙종대에 고쳤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객사 건물은 고려시대에 처음 지어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심포계 양식의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궐패를 모신 정청(正廳) 건물은 대청마루를 사용하지 않는 등 고려시대 건축양식 남아 있는 많지 않은 건물 중의 하나이다.

<안성객사>

안성시 도심에서 죽산 방향으로 가는 도로 인근에 위치한 안성객사이다. 원래는 안성군 관아가 있던 안성 읍내에 있었으나, 일제시대부터 여러곳으로 이전했다가 지금의 안성도서관 앞에 자리잡게 되었다고 한다. 중앙에 궐패(闕牌)를 모시는 정청이 있고 이 지역을 방문하는 인사들이 머무는 방인 좌.우익랑이 양쪽에 있다.

<정청>

<안성객사의 좌익랑>

가운데 1칸을 온돌방으로 사용하고 있고, 앞면 2칸의 넓은 마루를 두고 있다. 정청과는 달리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하고 있다.

<좌익랑 온돌방>

<우익랑>

우익랑은 앞면 4칸 건물로 온돌방 2칸, 마루 2칸으로 되어 있다.

<우익랑 대청마루>

<앞에서 본 모습>

<왼쪽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객사문>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 안성군(安城郡)은 안성시청이 있는 도심을 중심으로 안성천 주변의 넓은 평야지대에 있었던 지방행정구역으로 북쪽으로는 양성현이, 동쪽으로는 죽산도호부가 있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백성군(白城郡)으로 불렸으며, 고려 태조때 안성현으로 이름이 바뀐 이래로 오늘날까지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 지역은 고려시대까지는 충청도에 속했다가 조선초부터 경기도에 포함되었다. 조선시대 안성군은 종4품 군수(郡守)가 고을수령으로 있었던 지역으로 전국의 군현중에서 중간정도 규모이다. 안성맞춤이라는 말이 유래할 정도로 조선시대 안성유기(安城鍮器)가 전국적으로 유명했으며, 충청도와 한양을 연결해 주는 교통의 중심지로서 상업이 크게 번성했던 지역이다. 일제강점기에 안성군, 죽산도호부, 양성현이 합쳐서 오늘날 안성시를 이루고 있다.

<안성향교>

안성군 관아에서 설치하던 안성향교이다. 다른지역에 비해 비교적 늦은 시기인 중종대에 처음 세워졌다고 한다. 최근인 1980년대까지 건물들이 중수되었다고 하며, 내력이 깊은 건물은 없지만, 앞면 11칸의 2층 누마루를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안성군이 교통에 요지에 위치하고 있어 여행하는 유생들이 쉬어갈 수 있도록 다른 지역에 비해서 강당건물을 크게 지어놓고 있다.

안성객사
객사란 지방 관아의 중심 건물로 고을 수령이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상징하는 전패를 놓고 절하는 의식인 망궐례(望闕禮)를 행고,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머물렀던 시설이다. 안성객사는 조선초기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록이 없어 확실하지 않다. 명문이 쓰여진 기와는 조선 숙종 21년(1695)에 고쳐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원래 읍내의 관에 부변에 있었다고 하는데 1932년 명륜여자중학교로 옮겨졌다가 1995년 해체.수리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정면3칸의 주심포계 맞배집인 정청건물이 중앙에 있고, 좌우에 정면2칸, 옆면 2칸의 익공계 팔작집이 날개처럼 덧붙여 있다. 정청은 곡선굽을 가진 주두(柱頭), 헛첨차와 사다리꼴 보머리, 항아리형 단면의 보 등 고려시대 주심포계 건축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안성 객사는 몇동 남아 있지 않은 고려시대 주심포계 건축이라는 점에서 건축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안내문, 안성시청, 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