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포천향교, 포천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옛 포천현 읍치에 남아 있는 포천향교(抱川鄕校)이다. 포천향교는 고려초에 세워진 향교로 설립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다.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있고, 뒷편에 제향공간이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건물규모는 크지는 않지만 향교로서의 모습에 제대로 갖추고 있다. 현재의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에 중건한 것이다.

<포천향교>

<홍살문>

<외삼문>

<안에서 본 모습>

다른 지역 향교와는 달리 문간채를 두고 있다. 이는 포천지역이 금강산으로 연결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어  금강산 유람을 떠나는 선비들이 하룻밤을 묵을 수 있도록 방을 많이 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강학공간의 중심 건물인 명륜당>

앞면 4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넓은 대청마루와 온돌방 1칸을 두고 있다.  교육기능이 없어진 조선후기 이후에는 유림들이 회의를 하거나 제사준비를 하는 장소 사용하고 있다.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다른 향교 동.서재와는 달리 툇마루를 두지 않고 있으며, 부엌이 1칸 있다.

<맞은편 서재>

<내삼문>

<대성전>

경기도 북부지역에 위치한 포천시는 조선시대 포천현과 영평군이 있었던 지역으로 북쪽은 영평군, 남쪽은 포천현이 있었다. 양주와 가평 사이의 넓은 평지에 위치한 포천현은 한강유역 패권을 다투던 삼국시대에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금강산과 관동팔경 유람을 떠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었다. 포천지역에는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이항복과 이덕형을 비롯한 유명인사들이 세거지로 터를 잡았던 것으로 보이며, 지금도 포천에는 2곳의 서원이 남아 있다. 포천향교가 위치한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는 삼국시대에 쌓은 반월산성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포천현 관아 건물은 지금은 남아 있지 않고 포천향교만이 이 지역에 관아소재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옛 포천현 읍치>

포천향교가 위치한 군내면 구읍리는 옛 포천현 읍치이다. 관아 소재지로 광릉수목원이 있는 지역까지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어, 옛부터 풍요로왔던 지역으로 보인다.

<읍치 뒷편에 있는 반월성>

반월성이 있는 청성산은 높지는 않지만 들판에 홀로 서 있는 지형으로 사방이 한눈에 들어오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포천향교 (抱川鄕校), 경기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향교는 조선시대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교육기관으로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양민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시나 문장을 짓는 사장학과 유교의 경전 및 역사를 공부하는 경학이 주요 교육내용이었다. 또한 향교에서는 교육뿐만 아니라 중국과 조선의 선현에게 제사하였다. 이 향교는 고려 명종 3년(1173)에 세워졌다고 하며, 조선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소실된 것을 선조 27년에 다시 지었고 1916년에도 중수하였다. 그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것을 이 지역 유림에서 뜻을 모아 1962년 다시 세웠고 1984년 보수하였다. 외삼문 안에 명륜당과 동.서재가 있고 내삼문 안에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출처:포천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