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찰, 절터, 탑(Pagoda), 승탑/석조문화재, 불상/불교조각
탑이란? 사찰에 모셔진 ‘탑(塔)’은 고대인도어의 ‘스투파(stopa)’에서 유래된 것으로, 죽은 이를 화장한 뒤 유골을 묻고 그 위에 흙이나 벽돌을 쌓은 Dome 형태의 무덤을 지칭한다. 불교에서의 탑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한 축조물이며, 부처가 깃든 성스러운 곳으로 예배와 수행의 대상이다. 탑을 세우는 것은 부처의 진리를 널리 세상에 보이는 과정이기에 불교의 융성과 함께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전해져 불교미술조형품의 백미로 자리잡았다.
삼국시대가 끝나갈 무렵 우리나라에서는 석탑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신라에서는 돌을 다듬어서 전탑처럼 쌓은 모전석탑이 만들어졌고, 백제에서는 화강석을 다듬어 목탑처럼 만든 석탑이 만들어졌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석탑은 백제와 신라의 석탑에서 볼 수 있는 특징과 목탑의 특징이 융합되어 오늘날까지 한국 석탑의 전형이 되는 석탑이 만들어졌다. 신라의 석탑에서는 기단석과 기둥 등에서는 목탑의 특징이, 여러층을 이루고 있는 지붕받침은 전탑에서 가져온 특징이라고 한다. 신라에서 석탑이 처음 만들어진 시기의 대표적인 석탑으로는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는 감은사지 석탑을 비롯하여, 고선사지 석탑 등이 있으며, 그 형식은 대체로 신라 석탑을 대표하는 석가탑이라 불리는 불국사 삼층석탑에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에는 석탑은 만드는 형식이 단순화되고, 그 형식도 정형화되면서 뛰어난 걸작이라고 할 수 있는 석탑은 그리 많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몸돌에 불상이나 사천왕상, 팔부중상 등을 부조로 새겨넣는 석탑이 많이 만들어졌다.
- 백제 석탑
- 신라/통일신라 삼층석탑
- 통일신라 삼층석탑(부조장식)
- 신라/통일신라 오층석탑
- 신라/통일신라 다층석탑 外
전탑은 흙으로 만들어 구운 벽돌을 쌓아 올린 탑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전탑이 넓은 지역에 상당한 양으로 제작된 반면 우리나라는 특정지역, 특정시기에만 제작되었다. 그 이유는 벽돌을 쌓아 만듬으로써, 석탑에 비해 영구적이지 못한 재료적인 한계와, 표현에 있어서 한국 특유의 곡선을 표현하지 못하는 조형적인 한계 때문이다. 현존하는 전탑으로는 법흥사지 칠층전탑, 운흥동 오층전탑 등이 있으며, 분황사 석탑처럼 안산암을 벽돌처럼 얇게 다듬어 만든 모전석탑 등이 있다.
- 모전석탑
- 전탑.
신라의 석탑은 통일신라 후기와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이 탑에서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바뀌면서 그 제작수법도 발전하지 못하고, 정형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고려후기에는 원나라 라마교의 영향을 받아 화려하면서도 다양한 석탑이 다시 만들어졌다. 경천사지 십층석탑,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등이 대표적이다.
- 고려시대 삼층석탑.
- 고려 오층석탑
- 고려/조선 다층석탑 外
목탑은 불교의 도입기인 삼국시대의 탑은 돌을 깎은 기단 위에 나무로 세운 누각형식의 탑이었다. 백제는 뛰어난 건축기술을 바탕으로 거대한 목탑을 지었으며 그 흔적이 여러 절터에 남아 있다. 익산 미륵사지에도 양쪽의 석탑 가운데 거대한 목탑이 있었으며, 백제 기술로 지은 일본의 목탑에서 그 규모와 형상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고구려에서도 8각의 목탑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신라에도 백제 기술자 아비지가 지은 황룡사9층목탑이 있었다. 화재나 온습도, 병충해에 약한 나무의 특성상 목탑은 남아 있지 않고 조선후기에 지은 법주사 팔상전이 거의 유일하다.
사리탑은 부처의 사리를 모신 곳으로 고려시대 이후에 석종형 부도나 승탑처럼 만들어졌다.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이 대표적이다.
박물관 야외전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