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왕릉

선사시대삼국/통일신라고려/조선/근대삼국/통일신라 성곽조선시대 읍성과 산성,고분/왕릉근대건축사적

삼한.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 한반도 서북지방에는 낙랑군이 자리잡았고, 한반도 이남에는 마한, 진한, 변한이 북부와 동해안에는 고구려와 그 영향권에 있었던 동예, 옥저가 있었다. 낙랑지역에는 중국시 덧널무덤이 벽돌무덤이 성행했으며, 한반도 남부 삼한지역에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움무덤과 변형된 형태의 무덤들이 사용되었으며 점차 중국식 덧널무덤이 사용되었다. 이시기 고분들은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다양한 부장품들이 출토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고구려 고분/왕릉. 고구려의 무덤은 돌무지무덤과 훍무지무덤이 있다. 돌무지무덤은 돌을 깔고 주검을 안치한 후 다시 돌을 덮는 방식으로 압록강 중류 지안시 일대에 집중 분포되어 있다. 흙무지무덤은 지하, 반지하, 지상에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덮는 방식이다. 흙무지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고구려 마지막 수도였던 강서대묘를 비롯하여 평양성 일대 고분들이 잘 알려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백제고분/왕릉. 백제 초기에는 삼한의 고분과 큰 차이가 없는 형태였다. 이후 3~4세기에는 석촌동고분군으로 대표되는 기단식 돌무지무덤이 등장했으며 지방에는 움무덤, 돌덧널무덤, 독널무덤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들이 사용되었다. 웅진기에는 무령왕릉으로 대표되는 중국식 벽돌무덤과 백제식 돌방무덤이 만들어졌다.

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

가야고분. 가야고분은 가야연맹체가 있었던 경남지역에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무덤은 구덩식 돌덧널무덤이 널리 사용되었다. 가야 고분에서는 다양한 부장품과 함께 순장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

신라/통일신라 고분. 신라 고분은 경주 도심에 남아 있는 4~6세기에 조성된 대형 돌무지덧물무덤이 대표적이다. 이 시기 신라고분에서는 금관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들이 부장품으로 묻혀 있었다. 이외에도 덧널무덤, 돌덧널무덤, 돌방무덤 등 당시 한반도에서 사용했던 일반적인 형태를 하고 있는 무덤들도 남아 있다. 삼국시대 후기와 통일신라시대에는 중국과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굴식돌방무덤이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

신라/통일신라 왕릉. 경주 도심을 중심으로 경주 일원에는 1대 박혁거세왕부터 55대 경애왕릉까지의 왕릉들이 남아 있다. 신라가 강력한 왕권을 기반으로 한반도 강자로 등장한 진흥왕대 이후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왕릉으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왕릉들은 왕권이 강한 시기에는 크고 화려했으나 후기에는 점차 간소한 형태로 바뀌었다.

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OLYMPUS DIGITAL CAM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