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조선왕릉, 관아, 종묘/제단/사당, 성균관/향교, 서원/서당, 고택, 정자/정원
- 경복궁 외조(外朝), 광화문과 궁궐담장, 망루인 동십자각과 출입문들
- 경복궁 외조(外朝), 흥례문과 근정문(보물) 영역
- 경복궁 외조(外朝), 궐내각사와 수정전(보물)
- 경복궁 치조(治朝), 정전인 근정전(勤政殿)과 조정
- 경복궁 편전(便殿), 국왕의 집무공간인 사정전(思政殿) 일원
- 경복궁 침전(寢殿) 강녕전과 교태전, 국왕과 왕비의 생활공간
- 경복궁 동궁(東宮) 영역, 세자가 거처했던 자선당(資善堂)과 비현각(丕顯閣)
- 경복궁 자경전(慈慶殿,보물), 대비의 침전
- 경복궁 아미산굴뚝(보물)과 자경전 십장생굴뚝(보물)
- 경복궁, 흠경각(欽敬閣)과 함원전(含元殿)
- 경복궁 함화당(咸和堂)과 집경당(緝敬堂), 후궁들이 거처하는 영역
- 경복궁 경회루(慶會樓, 국보)와 연못, 국왕이 개최하는 연회가 열렸던 공간
- 경복궁 후원, 향원정(香遠亭)과 열상진원 샘
- 경복궁 건청궁(乾淸宮), 후원에 세운 이궁(離宮)
- 경복궁 집옥재(集玉齋) 일원, 고종이 서재로 지은 건물
- 경복궁 태원전(泰元殿) 일원, 태조의 어진을 모신 전각
- 창덕궁 외조(外朝), 돈화문에서 인정문까지
- 창덕궁 외조(外朝) 궐내각사, 국왕을 보필하던 직속 관청들
- 창덕궁 정전(正殿), 인정전(仁政殿, 국보)과 조정(朝廷)
- 창덕궁 편전(便殿), 국왕의 업무공간 선정전과 희정당
- 창덕궁 침전(寢殿), 국왕의 생활공간 대조전(보물) 일원
- 창덕궁 동궁, 세자 서연(書筵)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 창덕궁 낙선재(보물) 일원, 조선왕실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거처했던 궁궐 전각
- 창덕궁 선원전(보물 ) 일원,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 창덕궁 후원, 부용지와 주합루 그리고 영화당
- 창덕궁 후원, 애련지(愛蓮池)와 의두합(倚斗閤)
- 창덕궁 후원 연경당, 효명세자가 아버지 순조를 위해 사대부 저택처럼 지은 공간
- 창덕궁 후원, 존덕정과 폄우사
- 창덕궁 후원, 옥류천(玉流川) 일원
- 창경궁 외조(外朝), 홍화문(보물)과 명정문(보물)
- 창경궁 치조(治朝), 정전인 명정전(국보)와 조정(朝廷)
- 창경궁 치조(治朝), 편전인 문정전과 숭문당, 함인정
- 창경궁 연조(燕朝), 침전인 환경전, 경춘전, 통명전(보물)과 양화당
- 창경궁 영춘헌과 집복헌, 후궁들의 거처
- 창경궁 후원, 춘당지와 관덕정
- 덕수궁 외조(外朝), 대한문에서 중화문까지
- 덕수궁 치조(治朝), 정전인 중화전과 조정(朝廷)
- 덕수궁 편전(便殿), 국왕의 업무공간인 석어당, 즉조당과 준명당, 덕홍전
- 덕수궁 침전(寢殿), 국왕 거처인 함녕전(보물)
- 덕수궁 석조전과 서양식 정원
- 덕수궁 정관헌, 고종이 다과를 즐기던 정자 기능을 하던 건물
- 경운궁(덕수궁) 양이재, 구한말 황족 교육을 전담한 수학원 건물
- 경희궁 외조(外朝), 흥화문과 금천교
- 경희궁 치조(治朝), 정전인 숭정전과 조정
- 경희궁 치조(治朝), 편전인 자정전
- 경희궁 태령전과 서암바위
- 운현궁 노안당(老安堂), 흥선대원군이 거처했던 구한말 정치의 중심지
- 운현궁 노락당(老樂堂)과 이로당(二老堂),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안채
- 운현궁 양관(洋館, 사적), 일제가 흥선대원군 일가에 지어준 서양식 저택
- 강화 용흥궁(龍興宮), 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잠저(潛邸)
- 구리 동구릉 건원릉(健元陵, 사적), 조선을 건국한 태조
- 서울 정릉(貞陵, 사적),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
- 서울 헌릉(獻陵, 사적),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
- 여주 영릉(英陵,사적), 조선 4대 세종과 소헌왕후
- 구리 동구릉 현릉(顯陵, 사적),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
- 영월 장릉(莊陵, 사적), 조선 6대 단종
- 남양주 사릉(思陵, 사적), 조선 6대 단종 비 정순왕후
- 남양주 광릉(光陵, 사적),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
- 고양 서오릉 창릉(昌陵, 사적) , 조선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 파주 삼릉 공릉(恭陵, 사적) , 조선 8대 예종 원비 장순왕후
- 고양 서오릉 경릉(敬陵, 사적), 추존왕 덕종과 소혜왕후
- 서울 선릉(宣陵, 사적), 조선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 파주 삼릉 순릉(順陵, 사적), 조선 9대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
- 서울 정릉(靖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
- 고양 서삼릉 희릉(禧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정경왕후
- 서울 태릉(泰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
- 고양 서오릉 순창원(順昌園, 사적), 조선 13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
- 구리 동구릉 목릉(穆陵,사적), 조선 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
- 김포 장릉(章陵,사적), 추존왕 원종과 인원왕후
- 구리 동구릉 휘릉(徽陵, 사적), 조선 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 여주 영릉(寧陵, 사적), 조선 17대 효종과 인선왕후
- 포천 인평대군 신도비와 치제문비
- 구리 동구릉 숭릉(崇陵, 사적),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 고양 서오릉 명릉(明陵, 사적), 조선 19대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인원왕후
- 고양 서오릉 익릉(翼陵, 사적), 조선 19대 숙종의 비 인경왕후
- 파주 소령원(사적), 조선 19대 숙종 후궁 숙빈 최씨
- 고양 서오릉(사적) 대빈묘, 조선 19대 숙종 후궁 희빈 장씨
- 서울 의릉(懿陵,사적), 조선 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
- 구리 동구릉 혜릉(惠陵, 사적), 조선 20대 경종의 원비 단의왕후
- 구리 동구릉 원릉(元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 고양 서오릉 홍릉(弘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 파주 수길원(綏吉園,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정빈이씨
- 고양 서오릉 수경원(綬慶園),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
- 파주 삼릉 영릉(永陵, 사적), 추존왕 진종과 효순왕후
- 화성 융릉(隆陵,사적), 추존의황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홍씨)
- 고양 서삼릉 의령원(懿寧園), 조선 21대 영조의 손자 의소세손
- 화성 건릉(健陵, 사적),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왕후
- 고양 서삼릉 효창원(孝昌園), 조선 22대 정조의 원자 문효세자
- 서울 인릉(仁陵, 사적), 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
- 구리 동구릉 수릉(綏陵, 사적), 추존왕 문조와 신정왕후
- 구리 동구릉 경릉(景陵, 사적), 조선 24대 헌종과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
- 고양 서삼릉 예릉(睿陵, 사적), 조선 25대 철종과 원비 철인왕후
- 예산 남연군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묘
- 남양주 홍릉(洪陵, 사적), 대한제국 1대황제 고종과 명성황후
- 서울 영휘원(永徽園, 사적),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의 후비 순헌황귀비
- 남양주 유릉(裕陵, 사적),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과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 서울 숭인원(崇仁園, 사적), 영친왕 아들 이진의 묘
- 육조거리, 조선시대 의정부(議政府)와 육조(六曹)가 있었던 광화문대로
- 삼군부(三軍府) 총무당과 청헌당, 조선시대 최고 군사기구였던 삼군부 청사
- 종친부(宗親府) 경근당과 옥첩당, 왕실 종친을 관리하던 관청
- 규장각(奎章閣), 정조대 문예부흥을 이끌었던 학술연구기관
-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 국왕의 정책을 자문하고 보필하는 기관
- 내의원(內醫院), 국왕과 가족들의 건강을 보살피던 궁궐내 의료기관
- 경복궁 외조(外朝), 궐내각사와 수정전(보물)
- 성균관 정록청(正錄廳), 관원들이 근무하던 공간
- 경운궁(덕수궁) 양이재, 구한말 황족 교육을 전담한 수학원 건물
- 서울 군기시(軍器寺) 터, 조선시대 무기제조 기관
- 강화 정족산 사고(史庫)
- 평창 오대산 사고(史庫, 사적), 조선왕조 실록을 보관하던 곳
- 전주사고(全州史庫), 임진왜란 중 유일하게 화(禍)를 면했던 실록을 보관했던 곳
- 수원부(水原府) 관아, 화성행궁(사적) 봉수당과 장락당
- 수원부(水原府) 관아, 내아(內衙)인 유여택(維與宅)과 복내당(福內堂)
- 수원부(水原府), 부속관청과 장용외영(壯勇外營)
- 수원부(水原府) 관아, 낙남헌(落南軒)과 득중정(得中亭)
- 광주부(廣州府) 관아, 남한산성내 설치된 행궁과 관청들
- 강화부(江華府) 관아, 동헌(東軒)과 강화행궁
- 경기도 양주목(楊州牧) 관아, 동헌인 매학당(梅鶴堂)과 관아터
- 경기도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 관아, 초등학교에 남아 있는 내아(內衙)
- 경기도 인천도호부(仁川都護府) 관아, 동헌과 객사
- 경기도 교동도호부 관아, 교동읍성과 삼도수군통어영
- 경기도 통진도호부(通津都護府), 통진이청(通津吏廳)과 비석군
- 경기도 안산군(安山郡) 관아, 안산객사와 읍성
-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관아, 객사인 벽제관(碧蹄館,사적) 옛터
- 경기도 안성군(安城郡) 관아, 고려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는 안성객사
- 경기도 양천현(陽川縣) 관아, 관아터와 겸재 정선의 그림속 양천현아
- 경기도 과천현(果川縣) 관아, 객사인 온온사(穩穩舍)와 건물터
- 경기도 용인현(龍仁縣) 관아, 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관아 건물
- 강원도 강원감영(사적), 관찰사가 근무하던 곳
- 강릉대도호부 관아(사적)
- 영월 청령포(명승), 단종이 왕위를 빼앗긴 후 유배되었던 곳
- 충청도 충주목 관아, 청녕헌과 제금당
- 충청도 홍주목 관아, 동헌인 안회당과 홍주아문
- 충청도 청풍도호부 관아, 동헌인 금병헌과 아문인 금남루
- 충청도 온양군 관아, 동헌과 온주아문
- 충청도 대흥군 관아, 동헌과 관아 아문
- 충청도 보은군 관아, 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 충청도 평택현 관아, 팽성읍 객사
- 충청도 직산현 관아, 동헌과 관아 아문
- 충청도 아산현 관아, 출입문이었던 여민루
- 충청도 부여현(扶餘縣) 관아, 옛 부여박물관에 남아 있는 객사와 동헌
- 충청도 홍산현 관아(사적),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 온전히 남아 있는 곳
- 충청도 결성현 관아, 동헌.형방청.책실
- 경상도 상주목 관아, 경상감영이 있었던 큰 고장
- 경상도 성주목 관아, 동헌인 성산관
- 경상도 울산도호부 관아, 동헌 및 내아
- 경상도 청도군 관아, 객사인 도주관과 동헌
- 경상도 창녕현 관아, 정청 기둥과 지붕만 남아 있는 객사
- 전라도 나주목 관아(사적), 객사인 금성관과 내아
- 전라도 여산도호부 관아, 여산동헌
- 전라도 김제군 관아, 동헌과 내아 (사적)
- 전라도 낙안군 관아
- 전라도 태인현 관아
- 전라도 능주목 관아
- 전라좌수영 본영
- 아산 공세곶고지, 충청지역 세금으로 걷은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터
- 완도 가리포진, 객사 건물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 수영
- [종묘(宗廟)] 정전(正殿),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곳
- [종묘(宗廟)] 영녕전(永寧殿, 보물), 정전에서 옮겨온 신주를 모신 별묘
- [종묘(宗廟)] 전사청(典祀廳)과 수복방(守僕房), 제향을 위한 준비 공간
- [종묘(宗廟)] 재궁(齋宮), 국왕과 세자가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
- [종묘(宗廟)] 선대 국왕을 돌아보던 망묘루(望廟樓)와 관리들이 머물던 향대청(香大廳)
- 사직단(社稷壇, 사적), 토지의 신(社)과 곡식의 신(稷)에 제사를 올리는 제단
- 서울 환구단(圜丘壇, 사적), 대한제국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곳
- 서울 선농단(先農壇, 사적), 신농씨와 후직씨에 제사를 올리고 왕이 직접 농사를 짓던 곳
- 서울 선잠단지(先蠶壇址, 사적), 왕비가 잠신에 제사를 올리던 곳
- 서울 국사당(國師堂), 남산 목멱대왕(木覓大王)을 모시는 민속신앙 사당
- 인제 강원도 중앙단, 억울한 귀신을 위한 별여제를 지내는 제단
- 달성 현풍 사직단, 지방 관아에서 설치했던 사직단
- 경복궁 태원전(泰元殿) 일원, 태조의 어진을 모신 전각
- 창덕궁 선원전(보물 ) 일원,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 경희궁 태령전과 서암바위
- 수원 화령전(華寧殿),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영전(影殿)
- 연천 숭의전(崇義殿, 사적), 태조 왕건을 비롯한 고려 왕과 공신들을 모신 곳
- [종묘(宗廟)] 공민당 신당 (恭愍王 神堂), 공민왕과 노국공주 영정이 모셔진 사당
- 울진 평해황씨 시조단
- 달성 묘골마을 육신사, 사육신을 모신 사당
- 아산 현충사, 이충무공 유허(사적)
- 강화 충렬사(忠烈祠), 병자호란 때 순절한 인물들을 모신 곳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을 모신 사당
- 동구릉(사적) 재실
- 남양주 유릉(사적), 재궁
- 영월 장릉(사적) 재실, 조선후기 재실 형태가 남아 있는 곳
- 담양 몽한각, 양녕대군 후손들이 지은 재실
- 상주 승곡리 추원당, 검간 조정을 모신 재사
- 서울 동관왕묘(東關王廟, 보물), 삼국지 영웅 관공(關公, 관우)을 모신 사당
- 서울 와룡묘(臥龍廟), 삼국지 영웅 제갈량과 관우를 모신 민속사당
- 서울 단군성전(檀君聖殿), 단군 영정을 모신 대표적인 사당
- 해남 단군전
- 남원 춘향사당
- 성균관 문묘(보물), 대성전을 중심으로 한 제향공간
- 성균관 전사청(典祀廳)과 수복청(守僕廳),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
- 성균관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 비천당
- 성균관 정록청(正錄廳), 관원들이 근무하던 공간
- 광주향교 (廣州鄕校), 광주부(廣州府)
- 강화향교 (江華鄕校), 강화부(江華府)
- 양주향교 (楊州鄕校), 양주목(揚州牧)
- 파주향교(坡州鄕校), 파주목(坡州牧)
- 강화 교동향교, 교동도호부
- 인천향교, 인천도호부
- 통진향교(通津鄕校), 통진도호부
- 죽산향교(竹山鄕校),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
- 고양향교(高陽鄕校), 고양군(高陽郡)
- 안성향교(安城鄕校), 안성군(安城郡)
- 양성향교 (陽城鄕校), 양성현(陽城縣)
- 포천향교 (抱川鄕校), 포천현(抱川縣)
- 적성향교(積城鄕校), 적성현(積城縣)
- 교하향교(交河鄕校), 교하군(交河郡)
- 김포향교(金浦鄕校), 김포현
- 양천향교(陽川鄕校), 양천현
- 춘천향교, 춘천도호부
- 강릉향교(江陵鄕校), 강릉도호부
- 간성향교, 간성군
- 홍주향교, 홍주목
- 단양향교(丹陽鄕校), 단양군
- 온양향교, 온양군
- 결성향교, 결성현
- 평택향교, 평택현
- 상주향교, 상주목
- 성주향교, 성주목
- 안동향교(安東鄕校), 안동도호부
- 나주향교(사적), 나주목
- 남원향교, 남원도호부
-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 여산향교, 여산도호부
- 담양향교, 담양도호부
- 김제향교(사적), 김제군
- 창평향교, 창평현
- 태인향교, 태인현
- 영주 소수서원(사적), 안향을 모신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 안동 도산서원(사적), 퇴계 이황을 모신 서원건축을 대표하는 서원
- 함양 남계서원(사적), 서원 건축의 모범이 되었던 정여창을 모신 서원
- 경주 옥산서원(사적), 회재 이언적을 모신 서원
- 달성 도동서원(사적), 조선 5대 서원으로 손꼽히는 김굉필을 모신 서원
- 정읍 무성서원(사적), 통일신라 유학자 최치원을 모신 서원
- 장성 필암서원(사적), 김인후를 모신 호남을 대표하는 서원
- 용인 심곡서원(사적), 정암 조광조를 모신 서원
- 상주 옥동서원 (사적), 조선초 황희 정승을 모신 서원
- 파주 자운서원, 이이와 제자들을 모신 서원
- 파주 파산서원, 성수침과 성수종 형제를 모신 서원
- 서울 도봉서원, 정암 조광조와 우암 송시열을 모신 서원
- 의정부 노강서원, 숙종대 문신 박태보를 모신 서원
- 포천 화산서원, 이항복을 모신 서원
- 포천 용연서원, 이덕형을 모신 서원
- 광명 충현서원지, 오리 이원익을 모셨던 서원 옛터
- 김포 우저서원, 의병장이자 유학자인 조헌을 모신 서원
- 파주 용주서원, 조선중기 문신 백인걸을 모신 서원
- 고양 행주서원지, 권율을 모신 기공사(紀功祠)가 있었던 옛터
- 강화 충렬사(忠烈祠), 병자호란 때 순절한 인물들을 모신 곳
- 광주 현절사(顯節祠), 병자호란때 순절한 삼학사를 모신 사당
- 용인 충렬서원, 고려말 충신 정몽주를 모신 서원
- 용인 충현서원, 정몽주 등을 모신 한국민속촌 서원
- 안성 덕봉서원, 오두인을 모신 서원
- 영월 창절사(彰節祀), 사육신을 비롯하여 10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
- 안동 호계서원, 이황을 모시기 위해 처음 세워진 서원
- 안동 사빈서원, 김진과 그의 다섯 아들을 모시는 천전마을 서원
- 상주 도남서원, 정몽주 등을 배향하기 위해 지역 유림들이 세운 서원
- 영덕 운산서원, 영해지방을 대표하는 서원
- 성주 회연서원, 조선중기 유학자 정구를 모신 서원
- 달성 이양서원, 조선초 문신 곽인방을 모신 서원
- 달성 낙빈서원, 박팽년 후손들이 사육신을 모셨던 서원
- 청도 선암서원, 구한말 서원 훼철 이후 서당으로 다시 지어진 곳
- 밀양 표충서원, 임진왜란 때 큰 역할을 했던 서산.사명.기허당을 모시는 서원
- 함양 청계서원, 조선중기 문신 김일손을 모신 서원
- 장성 고산서원, 구한말 유학자 기정진을 모신 서원
- 남원 창주서원, 조선중기 문신 노진을 모신 서원
- 나주 창계서원, 조선후기 학자 임영을 모신 서원
- 화순 죽수서원, 조광조와 양팽손을 모신 서원
- 강진 다산초당과 정약용 유적(사적)
- 양평 벽계강당, 구한말 유학자 이항로가 후학을 양성하던 곳
- 부여 흥학당, 풍양조씨 집안에서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지은 서당
- 안동 소계서당, 학봉 후손 김흥락이 후학을 양성하던 곳
- 안동 운곡서당,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천전마을 서당
- 경주 양동마을 강학당
- 경주 양동마을 경산서당
- 영덕 괴시마을 물소와 서당, 남택만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작은 서당
- 담양 죽림재, 서당으로 세운 사설교육기관
- 담양 수남학구당
- 담양 수북학구당
- 서울 안국동 감고당(感古堂), 인현왕후의 친정으로 북촌(北村)을 대표하는 가옥
- 서울 계동 민재무관댁, 북촌여행의 출발이 되는 북촌문화센터
- 서울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가옥, 구한말 도시화된 환경에 잘 적응한 한옥
- 서울 관훈동 민씨가옥, 구한말 민영휘 일가의 대저택
- 서울 경운동 민병옥 가옥, 1930년대 건축가 박길용이 설계한 개량 한옥
- 서울 옥인동 윤씨가옥, 구한말 친일파 윤덕영 일가가 살았던 가옥
- 서울 장교동 한규설가옥, 구한말 상류층이 살았던 대저택
- 서울 삼각동 도편수이승업가옥, 궁궐건축에 참여했던 당대 최고의 목수가 지은 집
- 서울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 서울 비우당(庇雨堂), 실학자 이수광이 살았던 집터
- 서울 성북동 심우장(尋牛堂), 만해 한용운이 만년에 살았던 성밖마을 소박한 한옥
- 서울 성북동 이태준가옥, 도성밖 계곡 별장같은 한옥
- 서울 성북동 이종석별장, 도성밖 언덕에 지었던 별장건물
- 서울 성북동 최순우 옛집, 일제강점기 서울의 도시형 한옥
- 의정부 서계 박세당 고택 사랑채
- 광명 오리 이원익 종택, 충현서원터에 남아 있는 고택
- 남양주 여유당(與猶堂), 팔당호에 자리잡은 다산 정약용이 살았던 집
- 강화 철종 외가, 구한말 사대부 저택
- 여주 명성황후 생가, 민유중 묘막으로 세워진 고택
- [한국민속촌] 중부지방 양반가, 수원화성에 있었던 99칸 대저택
- 안성 오정방 고택, 해주오씨 세거지 양성 덕봉리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양평 이항로 생가, 벽계구곡 경치좋은 곳이 자리잡은 저택
- 강릉 오죽헌(烏竹軒, 보물)
- 강릉 선교장, 영동지방을 대표하는 99칸 대저택
- 강릉 심상진가옥, 경포호수에 자리잡은 고택
- 강릉 허난설헌 생가터
- 고성 어명기 고택, 강원도 동해안 북부지방을 대표하는 고택
- 영월 김종길 가옥
- 원주 김두한 가옥, 조상 묘 관리를 위해 지어진 가옥
- 춘천 김유정 생가, 지주계층이 살았던 초가집
- 아산 맹씨 고택, 고려말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사실상 가장 오래된 한옥
- 아산 현충사, 이순신 장군 옛집
- 아산 외암마을, 감찰댁
- 아산 외암마을, 교수댁
-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 아산 외암마을, 외암 종손댁
- 아산 외암마을, 송화댁
- 아산 외암마을, 참봉댁
- 아산 신항리마을,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 아산 신항리마을, 종가댁으로 불리는 윤승구 가옥
- 아산 신항리 마을, 윤일선 가옥
- 예산 추사고택, 궁궐 한옥 양식이 있는 고택
- 예산 수덕여관, 이응로 화백이 살았던 옛 집
- 홍성 엄찬 고택, 사육신 성삼문 후손이 살았던 집
- 홍성 전용일 가옥, 99칸 대저택
- 홍성 김우열 가옥,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지주계층 저택
- 홍성 김좌진 장군 생가터
- 홍성 만해 한용운 생가터
- 충주 윤양계 고택, 19세기 중부지방 양반가옥
- 제천 청풍 후산리 고가, 19세기 건축양식이 잘 반영된 한옥
- 제천 청풍 황석리 고가, 양반계층이 살았던 작은 기와집
- 제천 청풍 도화리 고가, 충북지역 양반 가옥
- 제천 수산 지곡리고가, 선비계층이 살았던 작은 규모의 한옥
- 보은 선병국 가옥,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대저택
- 보은 선병묵 고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한옥
- 보은 선병우 고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한옥
- 안동 하회마을 양진당(보물), 겸암 류운룡이 살았던 하회마을 종택
- 안동 천전마을 의성김씨 종택(보물), 영남 4대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종택
- 안동 천전마을 귀봉종택(龜峯宗宅)
- 안동 천전마을 추파고택(楸坡古宅), 19세기 건축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한옥
- 안동 천전마을 백하구려(白下舊廬), 독립운동가 김대락의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천전마을 제산종택(齊山宗宅), 조선후기에 지은 고택
- 안동 천전마을 만송헌(萬松軒)
- 안동 오류헌(安東 五柳軒),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지례동에서 옮겨온 전통한옥
- 안동 국탄댁(菊灘宅), 임하댐으로 수몰된 지례동 마을에 있던 조선후기 고택
- 안동 치헌(恥軒), 지례마을에서 옮겨온 천전마을
- 안동 이우당 종택(二愚堂 宗宅), 임하댐 아래 임하마을 안동권씨 종택
-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義城金氏 鶴峯宗宅), 조선중기 학자 김성일이 살았던 집
- 안동 겸와고택(謙窩古宅), 학봉고택과 이웃하고 있는 저택
- 안동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 안동 임청각(보물), 독립운동가 이상룡을 배출한 99칸 대저택
-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
- 안동 예안이씨 상리종택
- 경주 양동마을 향단(보물)
-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보물)
- 경주 양동마을 관가정(보물)
- 경주 양동마을 대성헌
- 경주 양동마을 수졸당 고택
- 경주 양동마을 근암고택
- 경주 양동마을 상춘헌 고택
- 경주 양동마을 송첨종택
- 경주 양동마을 사호당 고택
- 경주 양동마을 낙선당 고택
- 경주 양동마을 두곡고택
-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 고택
- 경주 독락당(보물), 조선중기 이전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운강고택 및 만화정, 조선후기에 지은 대저택
- 청도 신지리마을 운남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명중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섬암고택
- 청도 운곡정사와 원모재
- 예천 삼강주막과 나루터
- 영주 김상진가옥, 중류층 선비계층이 살았던 아담한 가옥
- 봉화 닭실마을 권벌 종택
- 영주 무섬마을 오헌고택
- 영주 무섬마을 농당고택
- 영주 무섬마을 작은 초가집
- 영주 무섬마을 무송헌종택, 마을 선성김씨 종택
- 영주 무섬마을 섬계고택 (김동근 가옥)
- 영주 무섬마을 김성규가옥, 시인 조지훈의 처가였던 집
- 영주 무섬마을 김규진가옥, 6칸 규모 작은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 영주 무섬마을 김덕진가옥
- 영주 무섬마을 박천립가옥, 서민들이 살았던 작은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만죽재고택, 반남 박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 영주 무섬마을 해우당 고택
- 영주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조선초 공신 장말손 후손들이 사는 고택
- 상주 양진당(보물), 낙동강 주변 자연환경이 잘 반영된 고택
- 상주 오작당, 임진왜란 직후에 지은 고택
- 상주 수암종택, 손님 접대를 위한 큰 사랑채를 두고 있는 고택
- 영덕 관어대마을 대은종택, 마을 뒷편 높은 곳에 위치한 종택
- 영덕 관어대마을 번호댁, 고래불 해안 남쪽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영덕 괴시마을 영양남씨 괴시파종택
- 영덕 괴시마을 천전댁,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고택
- 영덕 괴시마을 주곡댁
- 영덕 괴시마을 사곡댁
- 영덕 괴시마을 물소와 고택, 좌승지에 추증된 남택만의 후손들이 지은 고택
- 영덕 괴시마을 구계댁
- 영덕 괴시마을 해촌고택
- 영덕 괴시마을 대남댁
- 영덕 괴시마을 영은고택
- 영덕 송천 세려고택
- 영덕 원구리마을 경수당종택, 16세기초에 처음 지어진 99칸 대저택
- 영덕 인량마을 갈암종택, 임하댐 건설로 청송에서 옮겨온 고택
- 영덕 인량마을 우계종택, 조선중기에 지어진 오래된 고택
- 영덕 인량마을 충효당종택, 조선중기에 지어진 재령이씨 종택
- 영덕 인량마을 농산정
- 영덕 인량마을 강파헌 정침, 종택에서 분가한 살림집
- 영덕 인량마을 오봉종택, 안동권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 영덕 인량마을 지족당, 마을 뒷편 언덕에 자리잡은 고택
- 영덕 인량마을 만괴헌, 신부자집으로 불렸던 부호의 큰저택
- 영덕 인량마을 처인당, 영양남씨 종택터에 남아 있는 건물
- 영덕 인량마을 삼벽당, 마을 영천이씨의 종택
- 영덕 인량마을 용암종택, 선산김씨 김익중 종택
- 성주 한개마을, 교리댁
- 성주 한개마을 극와고택, 분가한 후손이 살았던 작은 규모의 고택
- 성주 한개마을 월곡댁, 20세기에 지어진 고택
- 성주 한개마을 응와종택, 마을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터에 있는 고택
- 성주 한개마을 한주종택, 여러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유서깊은 저택
- 달성 묘골마을 태고정(보물), 조선중기에 지어진 종가 별당 건물
- 달성 묘골마을 도곡재, 후학을 양성하는 재실로 바뀐 한옥
- 달성 묘골마을 충효당, 별당으로 지어진 고택
- 달성 삼가헌 고택, 사육신 박팽년 후손이 사는 고택
- 달성 하목정, 낙동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사랑채로 지어진 건물
- 함양 개평마을 일두고택, 정여창이 살았던 곳에 다시 지은 대저택
- 함양 개평마을, 하동정씨 고가
- 함양 개평마을 오담 고택, 종가에서 분가한 집
-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대종가
- 함양 개평마을, 노참판댁 고가
- 함양 허삼둘 가옥, 일제강점기에 지은 개량한옥
- 함양 우명리 정씨 고가
- 하동 평사리 최참판댁,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
- 정읍 전봉준 유적(사적), 전봉준 선생이 살았던 옛 집
- 남원 광한루 월매집, 남부지방 중상계층이 살았던 초가집
- 구례 운조루(雲鳥樓), 호남을 대표하는 대저택
- 담양 유종헌 가옥, 송강 정철의 처가였던 조선중기 한옥
- 담양 김선기 가옥, 장산리마을에 남아 있는 한옥
- 담양 고정주 고택, 창평 삼지천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장성 이진환 가옥 사랑채
- 담양 송진우 고택
- 순천 낙안읍성 대나무 서까래집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 순천 낙안읍성 서문성벽집
- 순천 낙안읍성 주막집
- 보성 벌교읍 김범우의 집, 소설 『태백산맥』에 소개된 대지주 저택
- 보성 벌교읍 현부자네, 소설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일제강점기 개량한옥
- 강진 영랑생가, 일제강점기 부호가 살았던 저택
- 해남 해남윤씨 녹우당(사적), 윤선도 고택
- 경복궁 경회루(慶會樓, 국보)와 연못, 국왕이 개최하는 연회가 열렸던 공간
- 경복궁 후원, 향원정(香遠亭)과 열상진원 샘
- 창덕궁 후원, 부용지와 주합루 그리고 영화당
- 창덕궁 후원, 애련지(愛蓮池)와 의두합(倚斗閤)
- 창덕궁 후원, 존덕정과 폄우사
- 창덕궁 후원, 옥류천(玉流川) 일원
- 수원부(水原府) 관아, 낙남헌(落南軒)과 득중정(得中亭)
- 남원 광한루(보물), 호남을 대표하는 관아 누각
- 정읍 피향정(보물),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정자 건축
- 제천 청풍 한벽루(보물), 대표적인 조선시대 관아 누각
- 강릉 경포대, 관동팔경 중 한곳으로 경포호수의 빼어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곳
- 안동 영호루, 공민왕 친필 현판이 걸려 있던 누각
- 인제 합강정, 내린천과 인북천인 만나는 곳
- 함양 안의 광풍루(光風樓), 옛 안의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누각
- 화순 영벽정, 능주목 관아에서 세운 정자.
- 제천 청풍 응청각, 청풍도호부 관아 객사에 딸린 작은 정자
- [수원화성] 서장대(西將臺, 華城將臺), 팔달산 정상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
- 서울 부암동 석파정(石坡亭), 흥선대원군이 인왕산 계곡에 세웠던 별장
- 서울 부암동 석파정(石坡亭) 별당, 구한말 중국의 영향을 받아 벽돌로 지은 별당건물
- 고성 천학정, 기암괴석이 있는 해안절벽에 세워진 작은 정자
- 고성 청간정(淸澗亭), 관동팔경 중 제3경
- 속초 영랑호, 신라 화랑들이 수련했다는 동해안 대표적인 석호
- 속초 영금정(靈琴亭), 동명항 입구 바위산
- 양양 낙산사 의상대(명승),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만났다고 전해지는 곳
- 양양 하조대(명승), 기암절벽과 소나무가 어우러진 동해안 절경
- 강릉 활래정, 궁궐 후원을 연상시키는 선교장 별당
- 강릉 해운정(보물), 경포호수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
- 강릉 경호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작은 정자
- 강릉 상영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 강릉 금란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 강릉 방해정(放海亭), 경포호수가 별장으로 지어진 곳
- 동해 북평 해암정(北坪海岩亭)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명승)
-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명승)
-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명승)
- 안동 모계정사(某溪精舍), 구한말에 지은 정자
- 영주 무섬마을 치류정, 마을 북쪽에 있는 작은 정자
- 경주 이요당, 서출지 연못 한쪽에 지은 작은 정자
- 달성 하엽정, 삼가헌 고택 별당으로 지어진 연꽃이 아름다운 정원
- 달성 하목정, 낙동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사랑채로 지어진 건물
- 청도 삼족대, 조선중기 문신 김대유가 후학 양성을 위해 지은 정자
- 울진 평해 월송정, 관동팔경 유람 중 8번째
- 영양 서석지, 조선시대 민간에서 조성한 대표적인 정원
- 영덕 괴시마을 괴정, 후학을 양성하던 작은 정자
- 영덕 인량마을 만괴정
- 함양 거연정(명승), 경치가 빼어난 화림동계곡에 세워진 정자.
- 함양 동호정(東湖亭), 넓은 바위와 담소가 있는 곳에 세워진 정자
- 함양 군자정, 정여창이 즐겨 찾았던 화림동 계곡에 세워진 정자
- 남원 광한루원(명승), 신선이 사는 삼신산을 구현해 놓은 인공정원
- 담양 소쇄원(명승), 한국을 대표하는 정원
- 담양 식영정 일원(명승),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산실로 여겨졌던 곳
- 담양 명옥헌 원림(명승), 소쇄원과 함께 담양을 대표하는 정자와 정원
- 광주 환벽당 일원(명승), 호남지방 사림들이 교유했던 유서깊은 곳
- 담양 면앙정, 조선중기 학자 송순이 세운 작은 정자
- 담양 송강정, 송강 정철이 고향으로 낙향하여 세운 작은 정자
- 담양 독수정 원림, 고려말에 조성된 정원
- 광주 취가정, 임진왜란 의병장 김덕령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 담양 척서정, 집성촌 마을 입구에 세워진 정자.
- 장성 요월정원림, 배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정자와 정원
- 구례 방호정, 산수유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자
- 구례 운흥정(雲興亭), 시모임을 위해 경치좋은 하천에 세운 정자
- 화순 임대정 원림(명승), 자연환경과 인공적인 정원이 조화를 이루는 곳
- 화순 학포당,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이 머물렀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