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유적

선사시대, 삼국/통일신라, 고려/조선/근대, 삼국/통일신라 성곽, 조선시대 읍성과 산성,고분/왕릉, 근대건축사적

  1. 제천 입석리 선돌, 마을 입구에 세워졌던 큰 돌
  2. 단양 수양개 선사유적(사적)
  3. 단양 금굴, 구석기 유물이 발견된 선사 유적
  4. 속초 조양동 유적(사적), 청동기시대 집터와 고인돌
  5. 부여 송국리 유적(사적), 송국리형 토기로 대표되는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지
  6. 양양 오산리 선사유적지(사적),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지
  7. 고성 문암리유적(사적),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유적지
  8. 춘천 신매리유적(사적), 춘천지역의 대표적 선사유적지
  9. 충주 조동리 유적, 선사시대 생활유적
  10.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
  11.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선사시대 바위그림
  12.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보), 선사시대 생활모습을 표현한 그림
  13. 고령 장기리 암각화(보물), 알터마을 입구 큰 바위에 새겨진 그림
  14. 영주 가흥리 암각화,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새겨놓은 바위그림
  15. 화순 대곡리 유적지, 청동팔령구을 비롯하여 청동기 시대 유물(국보)이 출토된 곳 
  16.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국보), 한반도 청동기문화를 대표하는 유물
  17. 예산 동서리 유적, 고조선시대 서남지역 지배계층 무덤
  18. 아산 남성리 유적, 고조선시대 서남지역 지배계층 무덤
  19. 당진 소소리 유적, 고조선시대 유물이 출토된 곳
  20. 강화 부근리 지석묘(사적), 동아시아 고인돌을 대표하는 유적지
  21. 제천 청풍지역 고인돌
  22. 부여 산직리 지석묘, 송국리 유적지 부근에 남아 있는 고인돌
  23.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모산마을 부근 괴바위고인돌군
  24.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관청바위 고인돌군
  25.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달바위 고인돌군
  26.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핑매바위 고인돌군
  27.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대산리마을 부근 감태바위 고인돌군
  28. 강진 송정리 지석묘군
  1. 사천 늑도 유적(사적), 고대 한.중.일 해상무역을 보여주는 초기 가야 유적
  2. 경주 사라리 유적, 경주의 대표적인 삼한시대 고분 유적지
  3. 제천 의림지와 제림(명승), 삼한시대에 쌓은 오래된 수리시설
  4. 충주고구려비(국보), 국내에 남아 있는 유일한 고구려비
  5.  공주 장선리 유적(사적), 삼한시대 마한의 주거유적이 확인된 곳
  6. 공주 정지산유적(사적), 웅진 백제기 제사 유적
  7. 부여 관북리유적(사적), 백제 사비성 왕궁터
  8. 부여 백제문화단지, 백제 왕궁
  9.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보물), 당나라 장수의 공적을 새긴 비석
  10.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 확인되는 궁궐터
  11. 김제 벽골제(사적), 삼국시대 수리시설 유적
  12. 경주 성동동 전랑지(사적)
  13. 경주 첨성대(국보), 삼국시대 별을 관측하던 천문대
  14. 경주 낭산(사적), 선덕여왕릉이 있는 신라인이 신성시 여겼던 숲
  15. 경주 사천왕사지, 문무왕 비(碑) 거북받침돌
  16. 경주 능지탑지, 문무왕을 화장한 낭산 서쪽 언덕에 남아 있는 탑
  17. 경주 이견대(利見臺,사적), 용이된 문무왕으로부터 만파식적을 얻은 곳
  18. 경주 재매정(사적), 김유신 장군 집터에 남아 있는 우물
  19. 경주 서출지(사적), 신라 소지왕과 관련된 전설이 남아 있는 전통 연못
  20.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 일괄(보물), 서역인 얼굴이 사실적으로 표현된 무인석 외
  21. 경주 용강동 원지 유적(사적)
  22. 상주 복룡동 유적(사적), 읍치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이후 생활유적
  23.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
  24.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 비화가야 점령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
  25. 단양 신라적성비(국보), 진흥왕이 한강유역 장악을 기념하여 세운 비(碑)
  •  삼국/통일신라 성곽
  1. 충주 장미산성(사적), 남한강변 고구려비 부근 고구려 산성
  2. 부여 가림성(사적), 백제 동성왕이 금강 하류 요충지에 쌓은 산성
  3. 예산 임존성(사적),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였던 곳
  4. 익산 토성(사적), 백제 무왕이 왕궁리 궁성과 함께 세웠던 산성
  5. 나주 자미산성,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 근거지에 남아 있는 산성
  6.  경산 임당토성과 저습지 유적, 신라 지방세력 압독국 생활유적
  7.  경주 명활성(사적), 신라 경주를 방어하는 주요 산성
  8. 경주 관문성(사적), 왜(倭)의 침입에 대비해 쌓은 장성
  9. 보은 삼년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산성
  10. 파주 칠중성(사적), 삼국통일 이후 나당전쟁 격전지
  11. 서울 호암산성(사적), 통일신라가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쌓은 산성
  12. 제천 청풍 망월산성, 삼국시대 남한강변에 쌓은 산성
  13. 단양 적성산성(사적),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신라가 쌓은 산성
  14. 단양 온달산성(사적), 고구려 온달장군 전설이 남아 있는 산성
  15. 양주 대모산성(사적), 임진강과 한강 사이 교통로를 지키는 군사요지.
  16. 평택 농성, 지방 호족세력이 터를 잡았던 작은 토성
  17. 문경 고모산성, 계립령 고갯길을 지키기 위해 신라가 쌓은 산성
  18. 함양 사근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가 교통요지에 쌓은 산성
  19. 합천 대야성,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에 있었던 성
  20. 완도 청해진 유적(사적), 해상왕 장보고가 근거지로 삼은 작은 섬
  1. 공주 수촌리 고분군(사적), 한성백제기 지방세력 위상을 보여주는 유적
  2.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 웅진기 백제 왕족들의 무덤
  3. 공주 송산리고분군 모형전시관
  4. 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사비기 백제의 왕릉
  5. 부여 능안골 고분군(사적), 사비기 백제 귀족들의 무덤
  6. 서산 부장리 고분군(사적), 서산지역 한성기백제 지방세력 무덤
  7. 익산 쌍릉(사적),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능으로 추정되는 곳
  8. 나주 반남고분군(사적), 영산강유역 백제 토착세력 무덤
  9. 나주 복암리 고분군(사적), 영산강 이북 백제 토착세력 무덤
  10. 담양 성월리 월전고분, 장고형고분과 유사한 고대 지방세력 무덤
  11. 고령 지산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대가야 지배층 무덤
  12. 합천 옥전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대가야 지배층 무덤
  13. 함안 말이산 고분군(사적), 가야연맹체 아라가야 지배층 무덤
  14. 창녕 교동고분군(사적), 삼국시대 비화가야 지배층 무덤
  15. 창녕 송현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비화가야 지배층 무덤
  16. 창녕 계성 고분군, 창녕박물관으로 옮겨진 계성고분이전복원관
  17. 성주 성산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성산가야 지배층 무덤들
  18. 경주 금척리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귀족들의 무덤
  19. 경주 황성동 고분(사적), 통일신라 굴식돌방무덤
  20. 경주 용강동고분(사적), 토용이 출토된 통일신라 돌방무덤
  21. 경산 조영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초기 신라 지방세력 무덤
  22. 경산 임당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신라 지방세력 무덤
  23. 의성 금성산 고분군, 초기 삼국시대 조문국 유적지
  24. 포항 영일 냉수리고분,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굴식돌방무덤.
  25. 상주 전 사벌왕릉, 후삼국시대 지방세력 무덤
  26. 충주 누암리고분군(사적), 신라 지방세력의 무덤
  27. 경주 오릉 (사적),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와 초기 박씨 왕들의 능
  28. 경주 선덕여왕릉(사적), 신라 27대 선덕여왕
  29. 경주 문무대왕릉(사적), 대왕암이라 불리는 신라 30대 문무왕의 능
  30. 경주 신문왕릉(사적), 신라 31대 신문왕
  31. 경주 흥덕왕릉(사적), 신라 42대 흥덕왕
  32. 경주 헌강왕릉(사적), 신라 49대 헌강왕
  33. 경주 정강왕릉(사적), 신라 50대 정강왕
  34. 경주 효공왕릉(사적), 신라 52대 효공왕
  1. 남원 황산대첩비지(사적),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곳
  2. 충주 탄금대(명승),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하던 곳이라 여겨진 곳
  3.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임진왜란 때 중앙 관군이 왜군과 첫 전투를 벌렸던 곳
  4. 북관대첩비, 임진왜란 때 승전을 기념하여 세운 승전비
  5.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사적), 정유재란때 의병을 일으킨 7인의 유적
  6. 남원 만인의총(사적), 정유재란 남원전투에서 희생된 이들이 함께 묻힌 곳
  7. 정읍 황토현 전적(사적)과 만석보 옛터
  8. 장성 황룡전적(사적), 동학농민군이 관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둔 장소
  9.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
  10. 아산 맹씨 행단 (사적), 조선초 청백리 맹사성 일가가 살았던 곳
  11. 홍성 성삼문 유허, 성삼문 태어난 외가 마을
  12. 강릉 오죽헌, 율곡 이이와 어머니 신사임당 유적지
  13. 영월 청령포(명승), 단종이 왕위를 빼앗긴 후 유배되었던 곳
  14. 상주 왕산역사공원
  15. 성균관 탕평비, 영조가 붕당정치 폐해를 해소하고자 세웠던 비석
  16. 창녕 척화비, 구한말 서양세력을 경계하고자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
  17. 영월 엄흥도 정려각, 단종 시신을 거두었던 영월 호장 엄흥도에 내려진 정려
  18. 울산 효자 송도선생 정려비
  19. 영덕 인량마을, 정담 정려비
  20.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21. 아산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무덤(사적)

 

  1. [수원 화성 ]팔달문(八達門, 보물), 수원화성 남문
  2. [수원화성] 팔달문~서남각루(西南角樓), 팔달산 남쪽 능선으로 이어진 성벽
  3. [수원화성] 서삼치~서암문, 팔달산 정상부 능선을 따라 이어진 성벽
  4. [수원화성] 서장대(西將臺, 華城將臺), 팔달산 정상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
  5. [수원화성] 서이치~서북각루(西北角樓), 팔달산 북쪽 능선
  6. [수원화성] 화서문(華西門, 보물)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보물)
  7. 홍성 홍주읍성 (사적), 구한말 크게 보수한 읍성
  8. 홍성 홍주읍성(사적), 동문인 조양문
  9. 문경 조령 관문(사적), 백두대간 고갯길에 쌓은 관문성
  10. 문경 석현성, 영남대로 토끼비리 옛길을 지키는 조선시대 관문성
  11. 구례 석주관성(사적), 섬진강변에 위치한 호남의 관문
  12. 칠곡 가산산성(사적), 칠곡도호부 읍치가 설치되었던 큰 산
  13. 경주 남고루(사적), 고려시대에 쌓은 토루
  14. 청도 청도읍성, 청도군 읍치를 둘러싸고 있는 읍성
  15. 울산 경상좌도 병영성(사적), 병마절도사가 머물던 병영성
  16. 울주 언양읍성(사적), 평지에 쌓은 네모꼴 석성
  17. 강진 전라병영성(사적), 전라도 병마절도사 본영
  18. 순천 낙안읍성(사적), 왜구 침입을 대비하여 쌓은 대표적인 조선시대 읍성
  19. 나주 나주읍성(사적), 전라도 나주목 읍치
  20. 남원 남원읍성(사적), 정유재란 때 큰 전투가 있었던 역사적인 장소
  1. 전라좌수영 본영
  2.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사적), 정유재란 말 조.명연합군 수군이 주둔했던 곳
  3. 완도 가리포진, 객사 건물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 수영
  4. 울산 울산왜성, 임진왜란 때 가토 기요마사가 쌓은 왜성
  5. 순천 순천왜성,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가 쌓은 왜성
  1.  덕수궁 석조전과 서양식 정원
  2. 덕수궁 중명전, 을사늑약이 체결된 비운의 장소
  3. 덕수궁 정관헌, 고종이 다과를 즐기던 정자 기능을 하던 건물
  4. 경복궁 집옥재(集玉齋) 일원, 고종이 서재로 지은 건물
  5. 운현궁 양관(洋館, 사적), 일제가 흥선대원군 일가에 지어준 서양식 저택
  6. 서울 구대법원청사, 서울미술관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옛 대법원 청사
  7. 옛 서울특별시 청사, 서울의 랜드마크가 되었던 공공건축물.
  8. 서울 구러시아공사관(사적), 정동길 언덕에 남아 있는 아관파천의 현장
  9. 서울 배재학당 동관,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옛 배재학당 건물
  10. 서울 정동 이화여고 심슨기념관(Simpson Memorial Hall)
  11. 서울 감리교 신학대학
  12. 서울 정동교회(사적), 최초의 개신교회 건축
  13. 성공회 서울성당,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좌성당
  14. 서울 정동 구세군 중앙회관
  15. 서울 경교장(京橋莊,사적), 해방직후 임시정부청사이자 백범 김구의 마지막 거처
  16. 서울 행촌동 딜쿠샤(Dilkusha), 서울성곽 바깥쪽 언덕에 위치한 서양식 주
  17.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서울성곽 바깥쪽 언덕에 지어진 서양식 주택
  18. 서울 구 신아일보별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민간기업 사옥
  19.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한옥양식이 절충된 교회건축
  20. 원주 구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21. 고성 화진포 김일성 별장, 북한 김일성 가족이 별장으로 사용했던 곳
  22. 고성 화진포 이승만 전대통령 별장
  23. 고성 화진포 이기붕 별장
  24. 영덕 송천예배당, 7번국도변 마을에 있는 작은 시골교회
  25. 광주 옛 전남도청 본관을 비롯한 관공서 건물들
  26. 보성 벌교읍 옛 보성여관 건물, 벌교읍에 남아 있는 일본식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