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 광주 옛 전남도청 본관을 비롯한 관공서 건물들
- 광주 환벽당 일원(명승), 호남지방 사림들이 교유했던 유서깊은 곳
- 광주 충효동마을, 왕버들(천연기념물)와 정려비각
- 광주 취가정, 임진왜란 의병장 김덕령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담양군
- 담양 성월리 월전고분, 장고형고분과 유사한 고대 지방세력 무덤
- 담양 죽녹원, 울창한 대나무숲으로 잘 알려진 공원
- 담양 관방제림(천연기념물), 홍수를 막기 위해 영산강 둑방길에 심은 풍치림
- 담양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 담양향교, 담양도호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 담양 송진우 고택
- 담양 수북학구당, 조선시대 사설 중등교육기관
- 담양 척서정, 집성촌 마을 입구에 세워진 정자.
- 담양 면앙정, 조선중기 학자 송순이 세운 작은 정자
- 담양 송강정, 송강 정철이 고향으로 낙향하여 세운 작은 정자
- 담양 김선기 가옥, 장산리마을에 남아 있는 한옥
- 담양 유종헌 가옥, 송강 정철의 처가였던 조선중기 한옥
- 담양 몽한각, 양녕대군 후손들이 지은 재실
- 담양 삼지천마을, 옛 창평현 관아가 있던 읍치
- 담양 고정주 고택, 창평 삼지천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담양 명옥헌 원림(명승), 소쇄원과 함께 담양을 대표하는 정자와 정원
- 담양 후산마을, 명옥헌 원림(명승)이 있는 마을
- 담양 독수정 원림, 고려말에 조성된 정원
- 담양 소쇄원(명승), 한국을 대표하는 정원
- 담양 식영정 일원(명승),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산실로 여겨졌던 곳
- 담양 수남학구당, 조선시대 사설 중등교육기관
- 담양 창평향교, 창평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 담양 죽림재, 서당으로 세운 사설교육기관
-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해 만든 고려시대 석탑
- 담양 객사리석당간(보물), 홍수 예방의 풍수지리적 의미를 가진 석당간
- 담양 개선사지 석등(보물), 조성연대를 기록한 글자가 새겨진 석등
장성군
- 장성 황룡전적(사적), 동학농민군이 관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둔 장소
- 장성 필암서원(사적), 김인후를 모신 호남을 대표하는 서원
- 장성 요월정원림, 배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정자와 정원
-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공립중등교육기관
- 장성 이진환 가옥 사랑채
- 장성 고산서원, 구한말 유학자 기정진을 모신 서원
- 장성 진원리 오층석탑
화순군
- 화순 대곡리 유적지, 청동팔령구을 비롯하여 청동기 시대 유물(국보)이 출토된 곳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모산마을 부근 괴바위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관청바위 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달바위 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핑매바위 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대산리마을 부근 감태바위 고인돌군
- 전라도 능주목 관아
- 화순 영벽정, 능주목 관아에서 세운 정자.
- 화순 임대정 원림(명승), 자연환경과 인공적인 정원이 조화를 이루는 곳
- 화순 사평리 상사마을, 임대정 원림이 있는 시골마을
- 화순 죽수서원, 조광조와 양팽손을 모신 서원
- 화순 학포당,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이 머물렀던 서재
- 화순 달아실 마을,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 후손들이 모여사는 집성촌
- 화순 학포선생부조묘,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을 모신 사당
- 화순 계당산 쌍봉사, 목탑 형식의 불전이 남아 있는 사찰
- 화순 운주사(사적), 천불천탑을 세워 조성한 사찰
구례군
- 구례 석주관성(사적), 섬진강변에 위치한 호남의 관문
- 구례 운조루(雲鳥樓), 호남을 대표하는 대저택
- 구례 방호정, 산수유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자
- 구례 운흥정(雲興亭), 시모임을 위해 경치좋은 하천에 세운 정자
- 구례 지리산 화엄사(사적), 화엄십찰로 지리산을 대표하는 큰 사찰
- 구례 지리산 연곡사, 화려한 승탑문화를 꽃피운 선종 사찰
- 구례 지리산 천은사, 지리산 3대 사찰로 불렸던 곳
- 구례 오산 사성암(명승), 섬진강과 지리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작은 암자
곡성군
순천시
- 순천 순천왜성,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가 쌓은 왜성
- 순천 낙안읍성(사적 302호), 왜구 침입을 대비하여 쌓은 대표적인 조선시대 읍성
-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조선시대 읍치 모습이 잘 남아 있는 전통마을
- 순천 낙안읍성 주막집
- 순천 낙안읍성 서문성벽집
- 순천 낙안읍성 대나무 서까래집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 전라도 낙안군 관아
- 순천 조계산 송광사(사적), 고려중기 불교개혁 이후 한국 불교를 이끌어 온 승보사찰
- [송광사박물관] 승보사찰 송광사
- 순천 조계산 선암사(사적), 불교 태고종을 대표하는 사찰
- 순천 선암사 승선교(보물), 계곡에 놓여 있는 아름다운 돌다리
여수시
- 전라좌수영 본영
- 여수 진남관(국보), 전라좌수영 객사
- 여수 오동도, 동백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 아름다운 섬
- 여수항, 남해안을 대표하는 큰 항구
- 여수 향일암, 일출이 아름다운 남해안 관음성지
- 여수 영취산 흥국사, 전라좌수영과 함께 했던 호국사찰
- 여수 흥국사 홍교(보물)
보성군
- 보성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거리
- 보성 벌교읍 봉림리 마을
- 보성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관
- 보성 벌교읍 현부자네, 소설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일제강점기 개량한옥
- 보성 벌교 홍교(보물), 큰 규모의 조선시대 홍예교
- 보성 벌교읍 김범우의 집, 소설 『태백산맥』에 소개된 대지주 저택
- 보성 벌교읍 옛 보성여관 건물, 벌교읍에 남아 있는 일본식 가옥
장흥군
나주시
- 나주 창계서원, 조선후기 학자 임영을 모신 서원
- 나주 복암리 고분군(사적), 영산강 이북 백제 토착세력 무덤
- 나주 반남고분군(사적), 영산강유역 백제 토착세력 무덤
- 나주 자미산성,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 근거지에 남아 있는 산성
- 나주 영산포, 영산강 주변 물산의 집산지였던 옛포구
- 나주 나주읍성(사적), 전라도 나주목 읍치
- 전라도 나주목 관아(사적), 객사인 금성관과 내아
- 나주 나주향교(사적), 교육기능을 제대로 갖춘 큰 규모의 향교
영암군
강진군
- 강진 영랑생가, 일제강점기 부호가 살았던 저택
- 강진 전라병영성(사적), 전라도 병마절도사 본영
- 강진 월출산 월남사지, 백제계 양식 석탑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절터
- 강진 월출산 무위사, 수륙재로 유명했던 사찰
- 강진 송정리 지석묘군
- 강진 다산초당과 정약용 유적(사적)
- 강진 백련사, 고려중기 불교개혁 백련결사를 이끌었던 사찰
해남군
- 해남 단군전
- 해남 연동리 마을, 윤선도 유적지
- 해남 해남윤씨 녹우당(사적), 윤선도 고택
- 해남 추원당과 어초은사당, 마을 입향조를 모신 재실과 사당
- 해남 땅끝, 한반도 최남단 상록수와 남해 바다가 아름다운 곳
완도군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사적), 정유재란 말 조.명연합군 수군이 주둔했던 곳
- 완도 청해진 유적(사적), 해상왕 장보고가 근거지로 삼은 작은 섬
- 완도 완도항
- 완도 가리포진, 객사 건물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 수영
- 완도 정도리 구계동(명승), 넓은 자갈밭과 숲이 아름다운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