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 대구 팔공산 동화사, 대구를 대표하는 큰 사찰
- 대구 팔공산 동화사 비로암, 통일신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암자.
- 대구 관암사, 기도처인 갓바위 아래 작은 사찰
- 달성 현풍 석빙고(보물), 조선시대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
- 달성 다람재, 낙동강 경치가 아름다운 고갯길
- 달성 현풍 사직단, 지방 관아에서 설치했던 사직단
- 달성 도동서원(사적), 조선 5대 서원으로 손꼽히는 김굉필을 모신 서원
- 달성 묘골마을 육신사, 사육신을 모신 사당
- 달성 낙빈서원, 박팽년 후손들이 사육신을 모셨던 서원
- 달성 이양서원, 조선초 문신 곽인방을 모신 서원
- 달성 묘골마을, 박팽년 후손들이 모셔사는 집성촌
- 달성 묘골마을 태고정(보물), 조선중기에 지어진 종가 별당 건물
- 달성 묘골마을 도곡재, 후학을 양성하는 재실로 바뀐 한옥
- 달성 묘골마을 충효당, 별당으로 지어진 고택
- 달성 삼가헌 고택, 사육신 박팽년 후손이 사는 고택
- 달성 하엽정, 삼가헌 고택 별당으로 지어진 연꽃이 아름다운 정원
- 달성 하목정, 낙동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사랑채로 지어진 건물
안동시
- 안동 도산서원(사적), 퇴계 이황을 모신 서원
- 안동 퇴계종택, 퇴계 이황 종손이 살고 있는 종가집
-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명승)
- 안동 하회마을(河回里),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풍산류씨 세거지
- 안동 양진당(보물), 겸암 류운룡이 살았던 하회마을 종택
- 안동 천전마을(川前理, 내앞마을), 영남 4대 길지로 손꼽히는 의성김씨 세거지
- 안동 의성김씨 종택(보물450호), 영남 4대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종택
- 안동 귀봉종택(龜峯宗宅), 천전마을 두번째 종택
- 안동 만송헌(萬松軒), 천전마을 고택
- 안동 백하구려(白下舊廬), 독립운동가 김대락의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제산종택(齊山宗宅), 조선후기에 지은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천전마을 추파고택(楸坡古宅), 19세기 건축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한옥
- 안동 운곡서당(雲谷書堂),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천전마을 서당
- 안동 사빈서원(四濱書員), 청계 김진과 그의 다섯 아들을 모시는 천전마을 서원
- 안동 호계서원(虎溪書院), 퇴계 이황을 모시기 위해 처음 세워진 서원
-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 안동 금계리마을, 학봉 김성일 후손들이 모여사는 의성김씨 집성촌
-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義城金氏 鶴峯宗宅), 조선중기 학자 김성일이 살았던 집
- 안동 학봉기념관, 학봉종택에서 소장한 김성일의 유품을 볼 수 있는 곳
- 안동 겸와고택(謙窩古宅), 학봉고택과 이웃하고 있는 저택
- 안동 소계서당(邵溪書堂), 학봉 후손 김흥락이 후학을 양성하던 곳
- 안동 모계정사(某溪精舍), 구한말에 지은 정자
- 안동 임하마을, 임하댐 아래 자리잡은 양반들의 세거지
- 안동 이우당 종택(二愚堂 宗宅), 임하댐 아래 임하마을 안동권씨 종택
- 안동 국탄댁(菊灘宅), 임하댐으로 수몰된 지례동 마을에 있던 조선후기 고택
- 안동 치헌(恥軒), 지례마을에서 옮겨온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오류헌(安東 五柳軒),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지례동에서 옮겨온 전통한옥
- 안동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 안동 임청각(보물182호), 독립운동가 이상룡을 배출한 99칸 대저택
-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 553호)
- 안동 예안이씨 상리종택
- 안동향교(安東鄕校), 안동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안동 영호루, 공민왕 친필 현판이 걸려 있던 누각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塼塔)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보물), 화강석과 벽돌을 섞어서 만든 전탑
-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보물), 도심 기차역에 남아 있는 벽돌로 쌓은 탑
-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보물), 구도심 주택가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 제비원 석불로도 불렸던 고려시대 거대 석불
- [맛집] 안동 까치구멍집, 헛제사밥과 간고등어
예천군
-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보물)
-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보물)
- 예천 선몽대 일원(명승)
- 예천 회룡포 (명승), 내성천이 휘감아 돌아가면서 만든 경치
- 예천 삼강주막과 나루터
- 예천 금당실마을
- 예천 금당실마을 반송재 고택
- 예천 춘우재 고택
- 예천 야옹정(보물)
- 예천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과 별당(보물)
-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 예천 용문산 용문사
영주시
- 영주 태백산 부석사, 통일신라 화엄십찰을 대표하는 사찰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 9세기 후반 비로자나 불상을 대표하는 작품
- 영주 선비촌, 옛 선비들의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 영주 김상진가옥, 중류층 선비계층이 살았던 아담한 가옥
- 영주 소수서원(사적), 안향을 모신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보물)
-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보물)
- 영주 가흥리 암각화,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새겨놓은 바위그림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 영주 무섬마을, 물위에 떠 있는 섬처럼 생긴 아름다운 전통마을
- 영주 무섬마을, 무섬자료전시관
-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마을로 들어가는 아름다운 다리
- 영주 무섬마을 치류정, 마을 북쪽에 있는 작은 정자
- 영주 무섬마을 오헌고택
- 영주 무섬마을 농당고택
- 영주 무섬마을 작은 초가집
- 영주 무섬마을 무송헌종택, 마을 선성김씨 종택
- 영주 무섬마을 섬계고택(김동근가옥)
- 영주 무섬마을 김성규가옥, 시인 조지훈의 처가였던 집
- 영주 무섬마을 김정규가옥, 9칸 규모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김규진가옥, 6칸 규모 작은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 영주 무섬마을 김덕진가옥
- 영주 무섬마을 박천립가옥, 서민들이 살았던 작은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만죽재고택, 반남 박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 영주 무섬마을 해우당 고택
- 영주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조선초 공신 장말손 후손들이 사는 고택
봉화군
- 봉화 닭실마을, 영남 4대 길지로 손꼽히는 전통마을
- 봉화 닭실마을 권벌 종택
- 봉화 닭실마을 석천계곡(명승)과 석천정
-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靑巖亭, 명승)
-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국보), 통일신라 초기를 대표하는 불상
- 봉화 청량산(명승)
- 봉화 청량산 청량사
상주시
- 상주 수암종택, 손님 접대를 위한 큰 사랑채를 두고 있는 고택
- 상주 승곡리 추원당, 검간 조정을 모신 재사
- 상주 양진당(보물), 낙동강 주변 자연환경이 잘 반영된 고택
- 상주 오작당, 임진왜란 직후에 지은 고택
- 상주 상주향교, 상주목 관아에서 설치.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 상주 왕산역사공원
-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임진왜란 때 중앙 관군이 왜군과 첫 전투를 벌렸던 곳
- 경상도 상주목 관아, 경상감영이 있었던 큰 고장
- 상주 향청, 옛 상주목 관아 부속 건물
- 상주 상산관, 옛 상주목 관아 객사 건물
- 상주 복룡동 유적(사적), 읍치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이후 생활유적
-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
- 상주 전 사벌왕릉, 후삼국시대 지방세력 무덤
-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보물), 사벌왕릉 옆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 상주 노악산 남장사, 옛 상주목 읍치 가까운 곳에 위치한 큰 사찰
- 상주 천주산 북장사, 상주지방의 유력 사찰
-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 상주 도남서원, 정몽주 등을 배향하기 위해 지역 유림들이 세운 서원
- 상주 옥동서원 (사적), 조선초 황희 정승을 모신 서원
문경시
- 문경 희양산 봉암사, 통일신라 구산선문 희양산문 중심사찰
- 문경 고모산성, 계립령 고갯길을 지키기 위해 신라가 쌓은 산성
- 문경 석현성, 영남대로 토끼비리 옛길을 지키는 조선시대 관문성
- 문경 토끼비리(명승), 영남대로 옛길
- 문경 문경새재(명승), 영남과 서울을 연결하는 백두대간 고갯길
- 문경 조령 관문(사적), 백두대간 고갯길에 쌓은 관문성
- 문경 사불산 대승사
김천시
구미시
의성군
- 의성 금성산 고분군, 초기 삼국시대 조문국 유적지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신라 석탑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모전석탑
- 의성 관덕리 절터
- 의성 관덕동 석사자(보물)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보물)
- 의성 추원재, 사촌마을 안동김씨 재실
- 의성 사촌마을
- 의성 사촌마을 안동김씨 종택
- 의성 사촌마을 만취당(보물)
- 의성 등운산 고운사(高雲寺)
- 의성 고운사 가운루(駕雲樓)
-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보물)
- 의성 고운사 연수전(보물),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여 지은 왕실 건물
군위군
칠곡군
성주군
- 성주 성산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성산가야 지배층 무덤들
- 성주 경산리 성밖숲, 마을의 재앙을 막기 위해 읍성 바깥 강변에 조성한 숲
- 경상도 성주목 관아, 동헌인 성산관
- 성주 성주향교, 명륜당과 대성전이 보물로 지정된 유서깊은 향교
- 성주 회연서원, 조선중기 유학자 정구를 모신 서원
- 성주 한개마을, 17세기 이후 크게 번창한 성주이씨 집성촌
- 성주 한개마을, 교리댁
- 성주 한개마을 극와고택, 분가한 후손이 살았던 작은 규모의 고택
- 성주 한개마을 월곡댁, 20세기에 지어진 고택
- 성주 한개마을 응와종택, 마을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터에 있는 고택
- 성주 한개마을 한주종택, 여러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유서깊은 저택
-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보물), 가야산 고갯길 입구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고령군
영양군
- 영양 서석지, 조선시대 민간에서 조성한 대표적인 정원
- 영양 산해리 모전오층석탑(국보), 모전석탑을 대표하는 탑
-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보물), 화려한 조각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영양 현리 삼층석탑(보물), 12지신상 등이 새겨진 삼층석탑.
청송군
-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周王溪谷) 일원(명승),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청송 주왕산 주왕암(周王庵)
- 청송 주왕산 대전사(大典寺), 주왕산을 대표하는 사찰
- 경상도 청송도호부 관아, 객사 운봉관(雲鳳館)과 누각
- 청송 찬경루(黃震樓, 보물), 관아에 운영했던 누각
- 청송 보광사(普光寺), 청송심씨 시조와 관련된 사찰
- 청송 중평마을
-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 청송 덕천마을
-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 청송 덕천마을 찰방공종택
- 청송 덕천마을 송정고택
- 청송 덕천마을 송소 고택, 99칸의 대저택
-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명승), 2023년 여름
- 청송 주산지(명승),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으로 잘 알려진 곳
포항시
영덕군
- 영덕 운산서원, 영해지방을 대표하는 서원
- 영덕 관어대마을, 고래볼해안 남쪽 끝에 있는 전통마을
- 영덕 관어대마을 대은종택, 마을 뒷편 높은 곳에 위치한 종택
- 영덕 관어대마을 번호댁, 고래불 해안 남쪽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가 있는 영양남씨 집성촌
- 영덕 괴시마을 영양남씨 괴시파종택
- 영덕 괴시마을 천전댁,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고택
- 영덕 괴시마을 주곡댁
- 영덕 괴시마을 사곡댁
- 영덕 괴시마을 물소와 고택, 좌승지에 추증된 남택만의 후손들이 지은 고택
- 영덕 괴시마을 구계댁
- 영덕 괴시마을 해촌고택
- 영덕 괴시마을 대남댁
- 영덕 괴시마을 영은고택
- 영덕 괴시마을 괴정, 후학을 양성하던 작은 정자
- 영덕 괴시마을 물소와 서당, 남택만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작은 서당
-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
- 영덕 송천리 마을, 7번국도 교통요지에 위치한 안동권씨 집성촌
- 영덕 송천 세려고택
- 영덕 송천예배당, 7번국도변 마을에 있는 작은 시골교회
- 영덕 원구리마을, 영해읍치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전통마을
- 영덕 원구리마을 경수당종택, 16세기초에 처음 지어진 99칸 대저택
- 영덕 인량마을(1), 여러 성씨가 모여사는 전통마을(인량1리)
- 영덕 인량마을(2), 여러 성씨가 모여사는 전통마을 (인량2리)
- 영덕 인량마을 갈암종택, 임하댐 건설로 청송에서 옮겨온 고택
- 영덕 인량마을 우계종택, 조선중기에 지어진 오래된 고택
- 영덕 인량마을 충효당종택, 조선중기에 지어진 재령이씨 종택
- 영덕 인량마을 농산정
- 영덕 인량마을 강파헌 정침, 종택에서 분가한 살림집
- 영덕 인량마을 오봉종택, 안동권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 영덕 인량마을 지족당, 마을 뒷편 언덕에 자리잡은 고택
- 영덕 인량마을 만괴헌, 신부자집으로 불렸던 부호의 큰저택
- 영덕 인량마을 만괴정
- 영덕 인량마을 처인당, 영양남씨 종택터에 남아 있는 건물
- 영덕 인량마을 삼벽당, 마을 영천이씨의 종택
- 영덕 인량마을 용암종택, 선산김씨 김익중 종택
- 영덕 인량마을, 정담 정려비
- 영덕 강구항, 오십천 끝자락에 위치한 영덕대게로 유명한 곳
- 영덕 대진해수욕장, 고래볼해안 남쪽 끝에 위치한 작은 해수욕장
- 영덕 칠보산 유금사
- 영덕 칠보산 자연휴양림
울진군
- 울진 천축산 불영사(佛影寺)
- 울진 불영사계곡(명승)
- 울진 망양정과 망양해수욕장
- 울진 망양정 옛터, 관동팔경 7번째
- 울진 평해황씨 해월종택
- 울진 평해황씨 시조단
- 울진 구산항, 조선시대 울릉도 뱃길이 시작되었던 작은 포구
- 울진 대풍헌, 울릉도를 방문하는 관리들이 순풍을 기다리던 곳
- 울진 평해 월송정, 관동팔경 유람 중 8번째
- 울진 죽변항, 많은 어선들이 정박해 있는 큰 어항
- 울진 후포항, 울진대게로 유명한 큰 항구
영천시
- 영천 청제와 청못, 삼국시대 신라가 쌓은 오래된 수리시설
- 영천 청제비(보물), 삼국시대 신라가 저수지를 쌓고 세운 비석
- 영천 팔공산 은해사 거조암, 고려중기 불교개혁 운동이 시작된 유서깊은 사찰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국보)
경산시
- 경산 병영유적(사적), 삼국시대 신라의 군사훈련장
- 경산 조영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초기 신라 지방세력 무덤
- 경산 임당토성과 저습지 유적, 신라 지방세력 압독국 생활유적
- 경산 임당동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신라 지방세력 무덤
- 경산 팔공산 석조여래좌상(보물), 갓바위로 불리는 대표적인 기도처
청도군
- 청도 청도읍성, 청도군 읍치를 둘러싸고 있는 읍성
- 경상도 청도군 관아, 객사인 도주관과 동헌
- 청도 척화비, 구한말 서양세력을 배척하고자 전국적으로 세운 비석
- 청도 석빙고(보물), 조선시대 얼음을 저장하던 창고
- 청도 장연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 청도 삼족대, 조선중기 문신 김대유가 후학 양성을 위해 지은 정자
- 청도 신지리마을, 교통요지에 위치한 밀양박씨 집성촌
- 청도 신지리마을 섬암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명중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운남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운강고택 및 만화정, 조선후기에 지은 대저택
- 청도 선암서원, 구한말 서원 훼철 이후 서당으로 다시 지어진 곳
-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
- 청도 운곡정사와 원모재
- 청도 운문사 북대암, 북쪽 봉우리 아래 작은 암자.
- 청도 운문사 내원암, 동쪽 계곡에 세워진 암자
- 청도 운문사 사리암, 남쪽 계곡에 세워진 암자
- 청도 운문산 운문사, 현대 불교 대표적 비구니 수행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