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 경주 보문사지 석조(보물)
-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보물)
- 경주 명활성(사적), 신라 경주를 방어하는 주요 산성
- 경주 천동동 사지(사적), 통일신라 절터
-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보물), 보문단지 인근 마을에 남아 있는 석탑
- 경주 첨성대(국보), 삼국시대 별을 관측하던 천문대
- 경주 천관사지(사적), 귀족 가문의 후원을 받아 세워졌던 도심 사찰
- 경주 황복사지, 낭산 북동쪽에 자리잡은 절터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효소왕이 아버지 신문왕을 위해 세운 석탑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국보),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불상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국보),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
- 경주 낭산(사적), 선덕여왕릉이 있는 신라인이 신성시 여겼던 숲
- 경주 선덕여왕릉(사적), 신라 27대 선덕여왕
- 경주 능지탑지, 문무왕을 화장한 낭산 서쪽 언덕에 남아 있는 탑
- 경주 사천왕사지(사적), 삼국통일 후 문무왕이 처음 세웠던 사찰터
- 경주 사천왕사지, 문무왕 비(碑) 거북받침돌
- 경주 효공왕릉(사적), 신라 52대 효공왕.
- 경주 신문왕릉(사적), 신라 31대 신문왕
- 경주 헌강왕릉(사적), 신라 49대 헌강왕
- 경주 정강왕릉(사적), 신라 50대 정강왕
-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다른 형식을 하고 있는 2개의 탑
- 경주 관문성(사적), 왜(倭)의 침입에 대비해 쌓은 장성
- 경주 원원사지(사적), 통일신라 밀교를 이끌었던 사찰
- 경주 원원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십이지신상이 처음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대표적인 석굴사원이자 불교미술의 걸작
- 경주 재매정(사적), 김유신 장군 집터에 남아 있는 우물
-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국보), 백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오층석탑
- 경주 양동마을, 영남 4대 길지로 손꼽혔던 마을
- 경주 양동마을 강학당
- 경주 양동마을 심수정
-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 고택
- 경주 양동마을 영당
- 경주 양동마을 동호정
- 경주 양동마을 두곡고택
- 경주 양동마을 낙선당 고택
- 경주 양동마을 사호당 고택
- 경주 양동마을 송첨종택
- 경주 양동마을 상춘헌 고택
- 경주 양동마을 근암고택
- 경주 양동마을 수졸당 고택
- 경주 양동마을 관가정(보물)
- 경주 양동마을 경산서당
-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보물)
- 경주 양동마을 대성헌
- 경주 양동마을 영귀정
- 경주 양동마을 향단(보물)
- 경주 흥덕왕릉(사적), 신라 42대 흥덕왕
- 경주 세심마을, 회재 이언적 후손들이 사는 마을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국보), 13층으로 된 독특한 형태의 석탑
- 경주 독락당(보물), 조선중기 이전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고택
- 경주 옥산서원(사적), 회재 이언적을 모신 서원
- 경주 용강동고분(사적), 토용이 출토된 통일신라 돌방무덤
- 경주 용강동 원지 유적(사적)
- 경주 황성동 고분(사적), 통일신라 굴식돌방무덤
- 경주 성동동 전랑지(사적)
- 경주 남고루(사적), 고려시대에 쌓은 토루
- 경주 분황사지(사적), 신라 경주 칠처가람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탑
-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국보)
- 경주 노서동 금팔찌(보물)
-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보물)
-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보물)
-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보물)
- 황남대총 북분 은잔(보물)
-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보물)
-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보물), 서역에서 들어온 유물
-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국보)
- 황남대총 남분 은관(보물)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신라를 대표하는 걸작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보)
-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금관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보물)
지역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