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

 전통사찰절터탑(Pagoda)승탑/석조문화재불상/불교조각 

  1. 서울 봉은사(奉恩寺), 서울을 대표하는 도심 사찰
  2. 서울 흥천사(興天寺), 태조가 신덕왕후의 정릉 원찰로 세운 사찰
  3. 양주 천보산 회암사, 무학대사가 수도했던 조선 최대 사찰이었던 곳
  4. 남양주 봉선사, 세조 광릉을 지키는 원찰
  5. 남양주 수종사(명승),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경치가 아름다운 곳
  6. 안성 칠현산 칠장사, 인목대비가 영창대군 원찰로 삼은 사찰
  7. 안성 서운산 청룡사, 인조 셋째아들 인평대군의 원찰로 삼았던 사찰
  8. 김포 금정사, 봉릉사라 불렸던 추존왕 원종의 장릉을 지키는 원찰
  9. 화성 용주사, 정조가 사도세자 현륭원 원찰로 삼은 사찰
  10. 양평 용문산 용문사, 은행나무로 유명한 사찰
  11. 여주 신륵사, 남한강변에 자리잡은 아름다운 사찰
  12. 고성 금강산 건봉사, 조선시대 전국 4대 사찰이었던 곳
  13. 인제 설악산 백담사, 내설악을 대표하는 사찰
  14. 인제 설악산 봉정암,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5대 적멸보궁
  15. 인제 설악산 영시암, 내설악 수렴동계곡 끝자락에 자리잡은 작은 암자
  16. 인제 설악산 오세암, 동자승 전설이 잘 알려진 암자
  17. 속초 설악산 신흥사, 외설악을 대표하는 큰 사찰
  18. 속초 설악산 계조암 석굴, 흔들바위와 함께 있는 석굴 사원
  19. 양양 낙산사(사적), 관동팔경 중에서도 제일로 손꼽히는 명소
  20. 평창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21. 평창 오대산 상원사, 가장 오래된 동종으로 잘 알려진 사찰
  22. 평창 오대산 월정사 적멸보궁과 사자암
  23. 영월 사자산 법흥사, 선종 구산선문 중 사자산파 중심사찰 흥녕선원이 있었던 곳
  24.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곳
  25. 정선 태백산(함백산) 정암사,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5대 적멸보궁
  26. 춘천 오봉산 청평사, 경치좋은 계곡에 자리잡은 사찰
  27. 철원 화개산 도피안사(到彼岸寺)
  28. 공주 계룡산 갑사, 통일신라 화엄십찰이었던 사찰
  29. 부여 만수산 무량사, 생육신 김시습 흔적이 남아 있는 사찰
  30. 부여 임천 대조사, 가림성(성흥산성) 아래 백제 사찰
  31. 서산 도비산 부석사, 서해바다 경치가 아름다운 사찰
  32. 서산 간월암(看月庵), 천수만 풍경이 아름다운 작은 암자
  33. 보은 속리산 법주사(사적), 미륵신앙을 대표하는 사찰
  34. 단양 구인사(救仁寺),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본산
  35. 영주 태백산 부석사, 통일신라 화엄십찰을 대표하는 사찰
  36. 봉화 청량산 청량사
  37. 울진 천축산 불영사(佛影寺)
  38. 문경 희양산 봉암사, 통일신라 구산선문 희양산문 중심사찰
  39. 상주 천주산 북장사, 상주지방의 유력 사찰
  40. 상주 노악산 남장사, 옛 상주목 읍치 가까운 곳에 위치한 큰 사찰
  41. 김천 황악산 직지사, 사명대사가 출가했던 경북지역을 대표하는 큰 사찰
  42. 칠곡 가산 송림사, 중국풍 전탑이 세워져 있는 고찰
  43. 영덕 칠보산 유금사
  44. 대구 팔공산 동화사, 대구를 대표하는 큰 사찰
  45. 대구 팔공산 동화사 비로암, 통일신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암자
  46. 영천 팔공산 은해사 거조암, 고려중기 불교개혁 운동이 시작된 유서깊은 사찰
  47. 경주 토함산 불국사(사적),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사찰
  48. 경주 함월산 기림사, 조선후기 경주지역 대표 사찰
  49. 경주 함월산 골굴사, 초기 석굴사원 형태가 남아 있는 작은 사찰
  50. 경주 망월사, 배리 삼릉 부근에 세워진 작은 사찰
  51. 경주 신선사, 삼국시대 석굴사원이 있는 작은 사찰
  52. 청도 운문산 운문사, 현대 불교 대표적 비구니 수행 사찰
  53. 청도 운문사 북대암, 북쪽 봉우리 아래 작은 암자
  54. 청도 운문사 사리암, 남쪽 계곡에 세워진 암자
  55. 청도 운문사 내원암, 동쪽 계곡에 세워진 암자
  56. 양산 영축산 통도사(1), 일주문 바깥 영역
  57. 양산 영축산 통도사(2), 하로전 영역
  58. 양산 영축산 통도사(3), 중로전 영역
  59. 양산 영축산 통도사(4), 금강계단이 있는 상로전 영역
  60. 밀양 재약산 표충사, 표충서원이 있었던 사찰
  61. 합천 가야산 해인사(사적), 고려팔만대장경이 있는 법보사찰
  62. 합천 해인사 홍제암(보물), 사명대사가 입적한 유서깊은 암자
  63. 부산 금정산 범어사, 화엄십찰 중 한곳으로 대표적인 호국사찰
  64. 하동 지리산 쌍계사(雙磎寺), 우리나라 불교음악을 이끌어 온 사찰
  65. 산청 지리산 덕산사(옛 내원사)
  66. 산청 지리산 대원사
  67. 김제 모악산 금산사(사적), 통일신라 법상종 근본도량이었던 사찰
  68. 구례 지리산 화엄사(사적), 화엄십찰로 지리산을 대표하는 큰 사찰
  69. 구례 지리산 천은사, 지리산 3대 사찰로 불렸던 곳
  70. 구례 지리산 연곡사, 화려한 승탑문화를 꽃피운 선종 사찰
  71. 구례 오산 사성암(명승), 섬진강과 지리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작은 암자
  72. 남원 지리산 실상사(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중 처음 창건된 사찰
  73. 남원 지리산 실상사 백장암, 참선도량으로 지은 부속 암자.
  74. 남원 선원사, 도선국사가 남원의 지세를 보완하기 위해 세운 사찰
  75. 순천 조계산 송광사(사적), 고려중기 불교개혁 이후 한국 불교를 이끌어 온 승보사찰
  76. 순천 조계산 선암사(사적), 불교 태고종을 대표하는 사찰
  77. 여수 영취산 흥국사, 전라좌수영과 함께 했던 호국사찰
  78. 여수 향일암, 일출이 아름다운 남해안 관음성
  79. 장흥 가지산 보림사, 통일신라 선종 가지산파를 이끌었던 사찰
  80. 곡성 동리산 태안사, 통일신라 선종 동리산파 중심 사찰
  81. 화순 계당산 쌍봉사, 목탑 형식의 불전이 남아 있는 사찰
  82. 강진 백련사, 고려중기 불교개혁 백련결사를 이끌었던 사찰
  83. 강진 월출산 무위사, 수륙재로 유명했던 사찰
  84. 영암 월출산 도갑사, 통일신라말 도선국사가 머물렀던 사찰
  1. 부여 정림사지(定林寺址, 사적), 백제 사비도성(泗沘都城)의 중심 사찰
  2. 부여 능산리사지(사적), 백제 성왕을 위해 세운 사찰
  3. 부여 왕흥사지(사적), 백제 왕실이 부소산성 맞은편에 세운 사찰
  4. 부여 군수리사지(사적), 백제 칠지도가 출토되었던 절터
  5. 익산 미륵사지(사적), 백제 무왕이 세운 백제 최대 규모의 사찰
  6. 익산 제석사지(사적), 왕궁리 궁성을 수호하기 위해 세운 사찰 절터
  7. 경주 황룡사지(사적), 9층목탑이 우뚝 솟아 있던 신라 최대 사찰
  8. 경주 분황사지(사적), 신라 경주 칠처가람
  9. 경주 사천왕사지(사적), 삼국통일 후 문무왕이 처음 세웠던 사찰터
  10. 경주 감은사지(사적), 문무왕이 왜(倭)를 막고자 세운 호국 사찰
  11. 경주 황복사지, 낭산 북동쪽에 자리잡은 절터
  12. 경주 천관사지(사적), 귀족 가문의 후원을 받아 세워졌던 도심 사찰
  13. 경주 천군동 사지(사적), 통일신라 절터
  14.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보물)가 남아 있는 옛 절터
  15. 경주 원원사지(사적), 통일신라 밀교를 이끌었던 사찰
  16. 경주 감산사지, 창건내력이 적힌 불상이 발견된 통일신라 절터
  17. 경주 남산 용장사지, 김시습이 머물면서 『금오신화』를 저술했던 곳
  18.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19. 양주 회암사지(사적), 왕실과 관련 있었던 조선 최대의 사찰
  20. 안성 봉업사지, 고려 태조 진영을 모셨던 사찰 터
  21. 고성 건봉사지, 조선 4대 사찰이었던 건봉사 옛 절터
  22. 양양 진전사지,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가 수행했던 진전사 절터
  23. 양양 선림원지, 통일신라말 크게 번창했던 선종계열 사찰
  24. 강릉 사굴산 굴산사지(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사찰이었던 절터
  25. 원주 법천사지(사적), 남한강변 교통요지에 남아 있는 절터
  26. 원주 거돈사지(사적), 남한강 뱃길 부근에서 번창했던 사찰
  27. 원주 흥법사지, 섬강변 교통로에 자리잡은 절터
  28. 충주 미륵대원지(사적), 백두대간 고갯길에 있던 고려시대 절터
  29. 충주 청룡사지, 조선 태조가 보각국사를 위해 크게 중창했던 사찰
  30. 충주 정토사지,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절터
  31. 제천 장락사지, 삼국시대 당나라와 교류를 보여주는 남한강유역 절터
  32. 보령 성주산 성주사지(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중 성주산문 중심사찰
  33. 구미 죽장사지, 오층석탑이 남아 있는 절터
  34. 군위 인각사지(사적), 일연이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
  35. 합천 황매산 영암사지(사적), 석축을 쌓아 조성한 산지사찰을 대표하는 절터
  36. 함양 승안사지, 고려시대 삼층석탑과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37. 남원 만복사지(사적), 김시습 소설 금오신화의 무대였던 절터
  38. 남원 용담사지, 고려초 조성한 거대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39. 강진 월출산 월남사지, 백제계 양식 석탑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절터
  40. 화순 운주사(사적), 천불천탑을 세워 조성한 사찰
  1.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국보), 석가탑이라 불리는 통일신라 걸작인 석탑
  2.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 통일신라 석탑의 걸작
  3.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효소왕이 아버지 신문왕을 위해 세운 석탑
  4.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통일신라 전기 삼층석탑
  5.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국보), 13층으로 된 독특한 형태의 석탑
  6.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탑
  7.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 감은사 절터에 남아 있는 2개의 탑
  8.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보물), 보문단지 인근 마을에 남아 있는 석탑
  9.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경주 남산을 대표하는 장면
  10.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통일신라 말 석탑
  11.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12. 경주 기림사삼층석탑,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삼층석탑
  13.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석탑
  14. 경주 남산 승소골 삼층석탑
  15. 경주 감산사지 삼층석탑
  16.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다른 형식을 하고 있는 2개의 탑
  17. 경주 원원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십이지신상이 처음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18. 경주 남산 승소골 삼층석탑
  19.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국보), 백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오층석탑
  20. 경주 장항리사지 서 오층석탑(국보), 토함산 동쪽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21.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보물), 진흥왕릉 부근에 있는 통일신라 모전석탑
  22.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보물), 무량수전 동쪽 언덕에 세워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23.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인근 절터에서 옮겨온 2개의 탑.
  24.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보물), 화려한 조각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25. 영양 현리 삼층석탑(보물), 12지신상 등이 새겨진 삼층석탑.
  26. 영양 산해리 모전오층석탑(국보), 모전석탑을 대표하는 탑
  27.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塼塔)
  28.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보물), 도심 기차역에 남아 있는 벽돌로 쌓은 탑
  29.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보물), 화강석과 벽돌을 섞어서 만든 전탑
  30.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31.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보물), 구도심 주택가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32.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33.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직지사 대웅전 앞으로 옮겨온 두개의 탑
  34.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보물), 직지사로 옮겨온 통일신라 삼층석탑
  35.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보물), 사벌왕릉 옆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36.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37.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 절제되면서도 비례가 뛰어난 통일신라 전성기 석탑
  38.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신라 석탑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모전석탑
  39.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국보), 국내 최대 규모의 오층석탑
  40.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41.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42.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보물), 경북지역 향리들이 세운 고려 석탑
  43.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보물), 가야산 고갯길 입구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44.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45. 영천 은해사 거조암 삼층석탑
  46. 청도 장연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47.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보물)
  48. 합천 해인사 길상탑(보물), 통일신라말 전란으로 희생된 이를 위해 세운 탑
  49.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 정중탑 또는 비로탑으로 불린 통일신라 삼층석탑
  50. 합천 월광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51.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보물)
  52.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국보),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53. 창녕 술정리 서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삼층석탑
  54. 창녕 퇴천 삼층석탑
  55.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보물)
  56. 양산 통도사 봉발탑(보물), 발우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석탑
  57.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국보),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시는 대표적인 공간
  58.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보물),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석탑
  59.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석탑
  60.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61.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후대 석탑의 전형이 된 백제 석탑
  62. 부여 능사 오층목탑, 백제문화단지에 복원해 놓은 백제 목탑
  63. 부여 대조사 석탑,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하고 있는 석탑
  64.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석탑을 계승한 석탑
  65.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보물),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모방한 고려시대 석탑
  66.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67. 보령 성주사지 서삼층석탑(보물)
  68. 보령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69.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70.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보물), 원나라 라마교의 영향을 받은 고려 석탑
  71. 서산 개심사 오층석탑
  72. 천안 천흥사지 오층석탑(보물), 고려초에 조성된 웅장한 석탑
  73. 보협인석탑(국보), 특이한 형태의 고려시대 석탑
  74.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 고려초기 석탑
  75. 예산 대련사 삼층석탑
  76.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는 고려 석탑
  77. 충추 탑평리칠층석탑(국보), 중앙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석탑
  78.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79.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보물), 전탑을 그대로 모방한 석탑
  80. 보은 법주사 팔상전(국보), 현존하는 유일한 목탑
  81.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옛 목탑을 재현한 불전
  82.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목탑을 모방해서 만든 백제 석탑
  8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대표적인 백제계 석탑
  84.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보물), 금강계단 앞에 세워진 석탑
  85. 김제 금산사 육각다층석탑(보물), 검은색 점판암으로 만든 다층석탑
  86.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보물), 부처의 사리를 모신 석종형 사리탑
  87. 고창 선운사 육층석탑
  88.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보물), 상륜부가 온전히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89.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다양한 부조상이 새겨진 자유로운 형식의 석탑
  90.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고려시대에 세워진 석탑
  91.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보물), 전형적인 고려시대 다층석탑
  92.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형식을 보여주는 통일신라 말기 석탑
  93. 구례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
  94. 구례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 다양한 신장상이 새겨진 석탑
  95.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그 용도를 알 수 없는 석탑
  96. 순천 선암사 동.서층석탑(보물),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는 통일신라 석탑
  97. 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국보),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탑이 완성된 모습
  98.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 석탑
  99.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100.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보물)
  101.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탑 형식이 남아 있는 3층 건물
  102.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지방적인 색채가 반영된 고려석탑
  103.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보물), 특이한 형태의 고려 석탑
  104.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 칠층석탑
  105.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
  106. 화순 운주사 발형다층석탑
  107.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 신라 석탑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108. 화순 운주사 대웅전 앞 다층석탑
  109. 장성 진원리 오층석탑
  110.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해 만든 고려시대 석탑
  111.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보물), 신흥사 전신인 향성사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
  112.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부조가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113.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보물), 팔부중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114.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 고려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조선초기 다층석탑
  115.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보물),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곳
  116.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국보), 고려시대 대표 석탑
  117.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국보), 고려시대 모전석탑
  118.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보물)
  119. 원주 천수사 삼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삼층석탑
  120.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삼층석탑
  121. 원주 천수사 오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오층석탑
  122. 춘천 청평사 삼층석탑, 공주탑 설화가 남아 있는 고려 석탑
  123.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기단을 불상대좌처럼 만든 석탑
  124.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했던 석탑
  125.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남한강변 바위에 올려진 작은 석탑
  126.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남한강 나룻터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탑
  127. 이천 안흥사지 오층석탑, 경기 지역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128.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보물), 고려시대 팔각석탑을 계승한 조선초기 석탑
  129.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보물)
  130.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131.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양식을 볼 수 있는 오층석탑
  132.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133.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보물), 고려 후기에 조성된 석탑.
  134.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국보), 대리석조각이 화려한 고려를 대표하는 석탑
  135.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국보), 고려 특유의 양식이 잘 반영된 석탑
  136.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백탑이라 불렸던 대리석으로 만든 조선시대 석탑
  137.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보물), 고려 석탑 양식이 잘 반영된 석탑.
  138. 서울 창경궁 팔각칠층석탑(보물), 만주에서 가져온 중국 석탑
  1.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보물), 우리나라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의 승탑
  2. 양양 선림원지 승탑(보물)
  3.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4.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
  5.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국보), 당대 승탑의 모범이 되었던 승탑
  6.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
  7.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국보), 석탑처럼 보이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8.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사탑(보물), 쌍탑 형식으로 만들어진 승탑
  9.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고려초를 대표하는 승탑
  10.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보물), 고려초 활동했던 승려 찬유의 승탑
  11.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고려말 승려 나옹선사 승탑
  12.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과 비(보물)
  13.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보물), 조선초 왕실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14.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보물)
  15. 양주 회암사지 지공선사탑, 석등, 탑비
  16. 양주 회암사지 나옹선사탑과 석
  17.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보물), 고려말 공민왕 왕사였던 보우의 승탑
  18.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 조선초를 대표하는 승탑
  19.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국보), 공모양 몸돌이 있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20.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보물)
  21.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일부 반영된 승탑
  22. 공주 갑사 승탑(보물), 생동감있는 조각상이 표현된 승탑
  23. 부여 무량사 김시습 승탑
  24.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보물),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새겨진 승탑
  25.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 탑 및 비(보물)
  26. 경주 불국사 사리탑(보물), 불상이 새겨진 독특한 형태의 사리탑
  27.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보물), 선종 봉림산문을 연 승려 심희의 승탑
  28.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29.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국사 사리를 모신 탑
  30.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승탑
  31. 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든 고려초기 승탑
  32.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조선중기 승탑
  33. 순천 선암사 북승탑(보물)
  34. 순천 선암사 동승탑(보물)
  35.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36.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국보), 통일신라 승탑을 대표하는 걸작
  37.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선종 동리산파를 열었던 승려 혜철의 승탑
  38.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보물), 태안사를 크게 중창한 승려 윤다의 승탑
  39. 장흥 보림사 동승탑(보물),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모습을 모여주는 승탑
  40.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승려 체징의 승탑
  1.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2.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 통일신라 전성기에 조성된 석등
  3. 부여 무량사 석등(보물)
  4. 논산 관촉사 석등(보물),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거대한 석등
  5. 보령 성주사지 석등
  6.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보물), 승탑 앞에 세워진 장명등
  7.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8.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등
  9. 장흥 보림사 석등(국보),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등
  10.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국보),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걸작
  11. 담양 개선사지 석등(보물), 조성연대를 기록한 글자가 새겨진 석등
  12. 나주 서성문 안 석등(보물), 정형화된 석등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 유물.
  13. 남원 실상사 석등(보물), 조형미가 돋보이는 큰 석등
  14.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보물),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석등
  15. 김제 금산사 석등(보물)
  16.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앞 석등(보물)
  17.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석등(보물), 2마리의 사자가 생동감있게 표현된 석등
  18.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보물)
  19. 개성 현화사지 석등
  20.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석등(보물),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석등
  21. 부산 범어사 석등
  22. 양양 선림원지 석등(보물), 세부적인 조형미가 뛰어난 통일신라 석등
  1.  보은 법주사 석련지(국보), 돌로 작은 연못을 표현한 통일신라 걸작
  2. 공주 대통사 석조(보물), 백제때 만들어진 석조
  3. 부여 석조(보물), 백제 왕궁에서 연꽃을 심었던 곳
  4. 보은 법주사 석조, 사찰 입구 물을 담아두는 그릇
  5. 김제 금산사 노주(보물), 용도를 알 수 없는 석조유물
  6. 경주 보문사지 석조(보물)
  1.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보물)
  2.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보물)
  3.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
  4.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보물)
  5.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6. 공주 갑사 철당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통일신라 철당간
  7. 담양 객사리석당간(보물), 홍수 예방의 풍수지리적 의미를 가진 석당간
  8.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보물)
  9. 보은 법주사 당간지주, 사찰에 도착했음을 알려주는 철당간
  1.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불상
  2.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굴사원
  4.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대표적인 석굴사원이자 불교미술의 걸작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7.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7세기 신라 불상조각을 대표하는 작품
  8.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이 특징인 통일신라 불상
  9. 경주 남산 삼릉계 제6사지 석조여래좌상(보물)
  10.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불상
  11.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마애선각여래좌상
  12. 경주 남산 삼릉곡 제9사지 선각마애불과 선각보살상
  13. 경주 남산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14. 경주 남산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15.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16.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보물), 석굴사원에 조성된 통일신라 마애불상
  17.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국보), 제대로된 모습을 갖춘 삼국시대 석굴사원
  18.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국보), 통일신라 초기를 대표하는 불상
  19. 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 9세기 후반 비로자나여래 불상을 대표하는 작품
  20.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21.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보물)
  22.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23.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보물)
  24.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 제비원 석불로도 불렸던 고려시대 거대 석불
  25. 상주 석조천인상(보물),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과 공양하는 모습을 표현한 작품
  26.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
  27.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28. 경산 팔공산 석조여래좌상(보물), 갓바위로 불리는 대표적인 기도처
  29.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
  30. 청도 운문사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31.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보물)
  32. 창녕 송현리 마애여래좌상(보물)
  33. 함양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
  34. 공주 서혈사지 석불좌상(보물)
  35. 계유명 삼존천불비상(국보), 비석에 새긴 불상
  36. 부여 정림사지석조여래좌상(보물), 백제 절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37.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충남지역 미륵신앙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석불
  38.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보물)
  39.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40. 제천 물태리 석조여래입상(보물), 통일신라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초기 불상
  41.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보살상
  42.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보물), 고려초기 양식이 잘 나타난 마애불상
  43.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보물)
  44. 석조 비로자나여래 좌상.
  45.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보물),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불상
  46.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입상(보물), 회화적 기법이 돋보이는 고려시대 불상
  47.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 불상을 올렸던 석조대좌
  48.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49.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국보)
  50.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상, 동해바다를 내려다 보고 있는 관음보살을 잘 표현한 불상
  51.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통일신라 불상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52.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한 금동불상이 올려졌던 대좌
  53.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고려 초에 조성한 거대 불
  54. 김제 금산사 석련대(보물), 하나의 돌로 만든 거대한 석조대좌
  55.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보물), 들판 가운데 마주보고 서 있는 불상
  56.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보물), 고려시대 지방의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57.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58. 화순 운주사 광배석불좌상, 광배가 표현되어 있는 불상
  59.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1.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2.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문화재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국보),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
  4.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국보), 경남지방에서 발견된 고구려 불상
  5.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삼국시대 관음신앙을 보여주는 불상
  6.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국보), 7세기 신라의 금동불상
  7.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국보), 관음보살을 표현한 백제 금동불상
  8.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백제를 대표하는 금동불상
  9. 금동정지원명 석가여래삼존입상(보물)
  10.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보물), 절터 목탑 심초석에서 출토된 작은 불상
  11.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보물), 목탑터 심초석에서 출토된 불상
  1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 추상성이 돋보이는 삼국시대 불상
  13. 금동보살입상(보물), 삼국시대 보살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은 불상
  1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국보),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불상
  15.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16.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
  17. 금동삼존불감(국보), 간송미술관 소장 고려시대 불감
  18.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철로 만든 대표적인 불
  19. 금동약사여래입상(보물), 약병을 든 약사여래를 표현한 불상
  20. 경주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보물)
  21.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22. 서산 철조여래좌상, 가장 오래된 철조불상
  23. 철조 비로자나여래 좌상
  24. 서산 보원사지 철조여래좌상
  25. 포천 철조여래좌상, 고려초 불상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상
  26.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27.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국보), 목조문수보살좌상(보물)
  28.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과 비로자나삼불회도(보물)
  29. 석조지장보살좌상(보물), 조성내력이 적혀 있는 조선시대 석조불상
  30.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31.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32.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33.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34.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보물)
  35. 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조선후기 승려 무염의 작품
  36. 속초 신흥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보물), 17세기 활동한 승려 무염의 작품
  37.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조선후기 유행한 소조불상
  38.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삼방불 중 서방세계를 관할하는 아미타여래를 형상화한 불상
  39. 보은 법주사 통일호국 금동미륵대불, 현대 불교조각을 대표하는 거대 불상
  40.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상
  41.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보물), 가장 오래된 목조사천왕상
  42.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국보), 고려초 승려의 조각상
  1.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보물)
  2. 부안 개암사 괘불(開巖寺 掛佛, 보물)
  3. 순천 송광사 영산전 영산회상도와 팔상도(보물)
  4. 안성 청룡사 괘불(영산회괘불탱, 보물)
  5.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보물)
  6. 고성 옥천사 괘불
  7.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보물)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