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문화유산이야기,  목조건축, 비석/금석문금속공예도자공예회화/서예/문서, 과학/기술무기/병서, 국보문화재 

  • 문화유산이야기
  1. 백제계 석탑, 중국 목탑을 모방해서 쌓은 석탑
  2. 목탑(木塔), 중국 누각의 형태로 지어진 탑
  3. 모전석탑(模塼石塔), 전탑을 모방하여 쌓은 석탑
  4. 전탑(塼塔), 벽돌로 지은 탑
  5. 불교 석굴사원(石窟寺院)
  6. 백제 왕실의 후원을 받아 창건된 부여와 익산의 사찰들
  7. 신라 경주 칠처가람(七處伽藍), 7곳 신성한 숲에 세워진 사찰
  8. 고려 불교 천태종(天台宗)
  9. 통일신라 불교 해동 진언종(眞言宗)
  10. 통일신라 불교 법성종(法性宗)
  11. 통일신라 불교 계율종(戒律宗)
  12. 통일신라 불교 법상종(法相宗)
  13. 통일신라 불교 화엄종(華嚴宗), 화엄십찰
  14.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사굴산문(闍崛山門)과 조계종
  15.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봉림산문(鳳林山門)
  16.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사자산문(獅子山門)
  17.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성주산문(聖住山門)
  18.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희양산문(曦陽山門)
  19.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실상산문(實相山門)
  20.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동리산문(桐裡山門)
  21.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가지산문(迦智山門)
  22. 뿔잔(Rhyton), 서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
  23. 범종(梵鍾), ‘한국종’이라 불리는 독자적 양식을 보이는 문화유산
  24. 신라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 신라 진흥왕이 영토를 확장하고 세운 비석
  25. 사리갖춤, 부처의 사리를 담는 그릇과 공양물
  26. 반가사유상, 명상에 잠긴 싯타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불상
  27. 훈민정음 창제 이후 조선시대 한글의 사용 (박물관 전시 고서적과 문서)
  28. 초원실크로드를 통한 중앙아시아 유목민족과 한반도인의 교류
  29. 조선시대 별자리지도와 천문 관측기구
  30. 조선시대 물시계(Water Clock) 자격루와 중국 물시계 비루(碑漏, Beilou)
  31. 조선시대 해시계(Sundial), 태양에 움직임을 따른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측정하던 가장 원초적인 시계                                                                                                
  1. 경복궁 근정전 (국보)
  2. 경복궁 경회루(국보)와 연못, 국왕이 개최하는 연회가 열렸던 공간
  3.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보물)
  4. 경복궁 사정전(보물)
  5. 경복궁 수정전(보물)
  6. 경복궁 자경전(보물), 대비의 침전
  7. 경복궁 향원정(보물)
  8. 창덕궁 인정전(국보)
  9. 창덕궁 돈화문(보물)
  10. 창덕궁 인정문 및 행각(보물)
  11. 창덕궁 선정전(보물)
  12. 창덕궁 희정당(보물)
  13. 창덕궁 대조전(보물)
  14. 창덕궁 부용정(보물)
  15. 창덕궁 낙선재(보물)
  16. 창덕궁 주합루(보물)
  17. 창덕궁 연경당(보물)
  18. 창경궁 명정전(국보)
  19. 창경궁 홍화문(보물)
  20. 창경궁 명정문 및 행각(보물)
  21. 창경궁 통명전(보물)
  22.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보물)
  23. 덕수궁 함녕전(보물)
  24. 종묘 정전(국보),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곳
  25. 종묘 영녕전(보물), 정전에서 옮겨온 신주를 모신 별묘
  26.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보물)
  27. 사직단 대문(보물)
  28. 성균관 문묘 대성전(보물)
  29. 성균관 명륜당(보물)
  30. 동관왕묘(보물), 삼국지 영웅 관공(관우)을 모신 사당
  31. 창덕궁 선원전(보물),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32. 강릉향교 대성전(보물)
  33. 나주향교 대성전(보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묘 건축물
  34. 성주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보물),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향교 건축
  35.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을 모신 사당
  36.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보물), 최초의 서원 ‘백운동’이란 현판이 걸린 건물
  37.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보물)
  38.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보물)
  39.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보물),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서원 건축
  40.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강릉도호부 객사 정문
  41. 여수 진남관(국보), 전라좌수영 객사
  42.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43. 상주 상산관, 옛 상주목 관아 객사 건물
  44. 상주 향청, 옛 상주목 관아 부속 건물
  45. 남원 광한루(보물), 호남을 대표하는 관아 누각
  46. 정읍 피향정(보물),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정자 건축
  47. 제천 청풍 한벽루(보물), 대표적인 조선시대 관아 누각
  48. 청송 찬경루(讚慶樓, 보물), 관아에 운영했던 누각
  49. 수원화성 팔달문(보물), 수원화성 남문
  50. 수원화성 화서문(보물)
  51. 수원화성 서북공심돈(보물)
  52. 강릉 오죽헌(보물)
  53. 강릉 해운정(보물), 경포호수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
  54. 안동 임청각(보물), 독립운동가 이상룡을 배출한 99칸 대저택
  55. 안동 양진당(보물), 겸암 류운룡이 살았던 하회마을 종택
  56. 안동 의성김씨 종택(보물), 영남 4대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종택
  57.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
  58. 상주 양진당(보물), 낙동강 주변 자연환경이 잘 반영된 고택
  59. 경주 독락당(보물), 조선중기 이전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고택
  60. 경주 양동마을 향단(보물)
  61.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보물)
  62. 경주 양동마을 관가정(보물)
  63. 달성 묘골마을 태고정(보물), 조선중기에 지어진 종가 별당 건물
  64.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
  65. 영주 부석사 조사당(국보), 고려 이전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는 전각
  66.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국보)
  67.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국보),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지은 전각
  68.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상로전 영역 주불전
  69. 예산 수덕사 대웅전(국보), 고려시대에 지어진 목조건축물
  70. 보은 법주사 팔상전(국보), 현존하는 유일한 목탑
  71. 김제 금산사 미륵전(국보), 삼국시대 장륙전 모습이 남아 있는 거대 불전
  7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불교건축
  73.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보), 고려말 주심포계열 건축을 잘 보여주는 건물
  74. 영암 도갑사 해탈문(국보)
  75.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보),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웅장한 불전
  76. 춘천 청평사 회전문(보물)
  77. 고성 건봉사 불이문, 한국전쟁 때 불타지 않은 유일한 건물
  78. 여주 신륵사 조사당(보물), 지공.나옹.무학대사의 영정이 모셔진 전각
  79.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80.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카는 큰 불전
  81.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보물), 사모지붕을 하고 있는 특이한 형태의 불전
  82. 보은 법주사 사천왕문
  83. 보은 법주사 능인전(能仁殿)
  84.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보물)
  85.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보물)
  86. 청양 장곡사 설선당, 조선중기 건축특성이 남아 있는 요사채
  87.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88. 김천 직지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불전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89. 청송 대전사 보광전(普光殿, 보물)
  90.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보물), 17세기 다포계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91.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보물)
  92. 대구 동화사 대웅전(보물)
  93.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보물), 중로전 영역 중심 불전
  94. 양산 통도사 영산전(보물), 하로전 영역 주불전
  95. 합천 해인사 홍제암(보물), 사명대사가 입적한 유서깊은 암자
  96.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주불전
  97. 합천 해인사 국사단, 가람을 수호하는 국사대신을 모신 작은 전각
  98. 하동 쌍계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불교 건축양식이 잘 반영된 불전
  99. 김제 금산사 대장전(보물), 미륵전 앞 목탑으로 세워졌던 건물
  100. 순천 송광사 하사당(보물), 조선전기 승방의 모습이 남아 있는 건물
  101. 순천 송광사 약사전(보물), 앞면 1칸 규모 작은 불전
  102. 순천 송광사 영산전 (보물)
  103. 순천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곳
  104. 순천 송광사 조계문, 첫번째 출입문
  105. 순천 선암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전
  106. 순천 선암사 일주문, 조선후기에 세워진 출입문
  107. 구례 화엄사 대웅전(보물),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불전
  108. 구례 화엄사 보제루, 사찰에서 집회를 가질 수 있는 강당 건물
  109. 여수 흥국사 대웅전(보물)
  110. 곡성 태안사 일주문
  1. 충주고구려비(국보), 국내에 남아 있는 유일한 고구려비
  2. 무령왕릉 지석(국보), 무덤주인을 밝혀준 중요한 유물
  3. 부여 사택지적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비석
  4.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국보), 백제 창왕 때 조성된 내력이 적혀있는 사리장치
  5.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
  6.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 비화가야 점령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
  7. 단양 신라적성비(국보), 진흥왕이 한강유역 장악을 기념하여 세운 비(碑)
  8. 포항 냉수리 신라비(국보), 신라 지방 호족의 재산분쟁과 관련된 비석
  9.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보물), 당나라 장수의 공적을 새긴 비석
  10. 영천 청제비(보물), 삼국시대 신라가 저수지를 쌓고 세운 비석
  11. 경주 사천왕사지, 문무왕 비(碑) 거북받침돌
  12. 창녕 인양사 조성비(보물), 인근 지역 사찰 조성 내력을 기록한 통일신라 비석
  13. 남원 황산대첩비지(사적),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곳
  14.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보물)
  15.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보물), 고려말 이색이 대장각을 세운 내력을 적은 비
  16. 북관대첩비, 임진왜란 때 승전을 기념하여 세운 승전비
  17. 강진 백련사 사적비(보물)
  18. 성균관 탕평비, 영조가 붕당정치 폐해를 해소하고자 세웠던 비석
  19.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20.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 ‘의좋은 형제’ 일화의 배경이 된 비석
  21. 창녕 척화비, 구한말 서양세력을 경계하고자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
  22. 청도 척화비, 구한말 서양세력을 배척하고자 전국적으로 세운 비석
  23.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보물)
  24.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보물)
  25.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비
  26.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물)
  27.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보물), 웅장한 표현이 돋보이는 거북받침돌
  28.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보물)
  29.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보물)
  30.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보물)
  31.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보물), 당태종의 글씨를 모아서 새긴 집자비석
  3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국보), 법천사 절터에 남아 있는 탑비
  33.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보물)
  34.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보물)
  35.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보물)
  36.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보물), 절터 부근에 남아 있는 탑비
  37.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보물)
  38.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보물)
  39.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보물), 중앙박물관 로비에 전시되어 있는 탑비
  40.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보물)
  41.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보물), 간략화된 양식의 고려후기 비석
  42.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 성주산문을 열었던 낭혜화상의 탑비
  43.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
  44.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당대 문장가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탑비
  45.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 탑 및 비(보물)
  46.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보물), 고려중기 승려 학일의 탑비
  47.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보물)
  48. 합천 영암사지 귀부(보물), 비석을 올렸던 거북받침돌
  49.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 석장비(보물)
  50.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국보), 범패음악을 도입한 진감선사의 탑비
  51.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보물)
  52.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보물), 통일신라 비석의 원형을 보여주는 탑비
  53.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54. 구례 연곡사 동승탑비(보물)
  55.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보물)
  56.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보물)
  57.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보물)
  58.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보물)
  59.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보물)
  60.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보물)
  1. 농경문 청동기(보물), 고대 농경의례를 보여주는 유물
  2.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국보)
  3.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보물)
  4.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보물)
  5. 부산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보물)
  6.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국보)
  7.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보물)
  8. 무령왕 금제관식(국보), 불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9. 무령왕비 금제관식(국보),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10. 무령왕 금귀걸이(국보)
  11.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12.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
  13. 무령왕비 은팔찌(국보), 제작수법과 디자인이 매우 뛰어난 작품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국보)
  15. 경주 노서동 금팔찌(보물)
  16.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보물)
  17.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보물)
  18.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보물)
  19. 황남대총 북분 은잔(보물)
  20.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보물)
  21.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보물), 서역에서 들어온 유물
  22.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국보)
  23. 황남대총 남분 은관(보물)
  24.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보)
  25.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금관
  26.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에밀레종이라 불렸던 최고의 범종
  27. 상원사 동종(국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종
  28. 화성 용주사 동종(국보), 신라 종 양식을 따르는 고려초기 범종
  29. 천안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국보)
  30. 공주 갑사 동종(보물),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범종
  31. 여주 출토 동종 (보물)
  32. 서울 흥천사명 동종(보물), 중국종 특징이 반영된 조선초기 동종
  33. 익산 왕궁리오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34.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
  35.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엄장구(보물)
  36. 감은사지 동탑 사리엄장구(보물)
  37. 익산 미륵사지석탑 사리구
  38.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
  39. 청동 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국보)
  40.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국보)
  41. 청동 은입사 봉황문 합(국보)
  42. 귀면청동로(국보)
  43.  백제 금동대향로(국보), 능산리사지에 출토된 도교 신선사상이 표현된 향로
  44. 보은 법주사 철솥(보물), 주철로 만든 거대한 솥
  45. 순천 송광사 경패(보물)
  46.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보물)
  47. 나전 경함(보물), 고려시대 불경을 보관하기 위한 함(函)
  48. 안동 태사묘 소장 삼공신 유물 (보물)
  49. 은제 금도금 잔과 잔받침 (보물)
  1.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신라를 대표하는 걸작
  2. 토우장식 장경호(국보)
  3.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국보), 가야를 대표하는 도기)
  4.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국보)
  5.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보물), 서역에서 들어온 유물
  6. 청자 참외모양병(국보)
  7. 청자 음각연꽃넝쿨무늬매병(국보)
  8. 청자 상감모란무늬 항아리(국보)
  9. 청자 철화버드나무무늬 통모양 병(국보)
  10. 청자 상감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국보)
  11. 청자 상감국화넝쿨무늬 대접(국보)
  12.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
  13. 청자 양각연꽃모란무늬 대접(국보)
  14. 청자 철채퇴화인삼잎무늬 매병(보물)
  15.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보물)
  16. 청자 양각물가풍경무늬 정병(보물)
  17. 백자 상감모란버들 갈대무늬 매병(보물)
  18. 청자 음각 ‘상약국’명 운룡문 합(보물)
  19. 청자 사자모양뚜껑 향로(국보)
  20. 청자 어룡모양주자(국보)
  21. 청자 투각칠보무늬향로(국보)
  22.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
  23.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편병(국보)
  24. 분청사기 구름 용무늬 항아리(국보).
  25.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국보)
  26.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국보)
  27.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국보), 18세기 회화 화풍을 보여주는 걸작
  28. 매화 대나무무늬 항아리(국보)
  29. 백자 매화 새 대나무무늬 항아리(국보).
  30.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국보)
  31.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보물), 사대부 취향이 잘 반영된 백자
  32. 백자 철화운용문 항아리(보물), 용과 구름을 생동감있게 표현한 작품
  33. 백자병(보물).
  34. 백자 철화끈무늬 병(白磁鐵畵繩文甁, 보물)
  35.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보물)
  36. 백자 달항아리(보물)
  • 회화와 서예
  1. 안양 초상(국보), 고려시대 초상화
  2. 이색 초상 (보물)
  3.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 화첩(국보)
  4. 단원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화첩(보물)
  5. 유숙이 그린 19세기를 대표하는 매화 그림(보물)
  6. 흥선대원군 이하응 초상화(보물)
  7.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보물)
  8. 부안 개암사 괘불(開巖寺 掛佛, 보물)
  9. 안성 청룡사 괘불(영산회괘불탱, 보물)
  10. 순천 송광사 영산전 영산회상도와 팔상도(보물)
  11.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보물)
  12. 고성 옥천사 괘불
  13.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보물)
  14. 지장보살삼존도(보물)
  15. 지장시왕도(보물), 지장보살을 그린 고려 불화
  16. 아미타여래도(보물)
  17. 수월관음도(보물)
  18. 고려 수월관음보살도(보물)
  1. 성리대전서절요(性理大全書節要, 보물)
  2. 고금운회거요 권제27~30(보물)
  3. 몽산화상법어약록(보물)
  4.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보물), 최충헌 가족을 위한 호신용경전과 경갑
  5. 순천 송광사 혜심고신제서(국보), 고려시대 송광사에 내려진 고문서
  6. 순천 송광사 대반열반경소(보물)
  7. 순천 송광사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보물)
  8. 순천 송광사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보물)
  9. 순천 송광사 고려고문서(보물)
  10.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보물),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로부터 받은 문서
  11.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복장유물(보물)
  12. 순천 송광사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보물)
  13. 순천 송광사 인천안목 목판(보물)
  14.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보물)
  15. 감지은니 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국보)
  16.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보물)
  17. 상지금니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보물)
  18.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보물)
  19.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국보)
  20.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21.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1(보물)대방광불화엄경소 권30(보물), 송나라에서 받은 목판으로 찍은 경전
  22. 천노해 금강반야바라밀경(보물)
  23.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보물)
  24.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국보), 초조대장경에 수록된 경전
  25.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국보), 초조대장경에 수록된 경전
  26. 삼국사기(국보),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
  1. 경주 첨성대(국보), 삼국시대 별을 관측하던 천문대
  2. 보성 벌교 홍교(보물), 큰 규모의 조선시대 홍예교
  3. 순천 선암사 승선교(보물), 계곡에 놓여 있는 아름다운 돌다리
  4. 여수 흥국사 홍교(보물)
  5. 고성 건봉사 능파교(보물)
  6. 고성 육송정 홍교(보물), 건봉사 가는길에 있는 아치형 돌다리.
  7.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마을로 들어가는 아름다운 다리
  8. 제천 의림지와 제림(명승), 삼한시대에 쌓은 오래된 수리시설
  9. 김제 벽골제(사적), 삼국시대 수리시설 유적
  10. 영천 청제와 청못, 삼국시대 신라가 쌓은 오래된 수리시설
  11. 청도 석빙고(보물), 조선시대 얼음을 저장하던 창고
  12. 창녕 석빙고(보물), 창녕현 관아에서 설치했던 얼음창고
  13. 달성 현풍 석빙고(보물), 조선시대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
  14. 부여 외리 문양전(보물), 산경치.용.봉황 등 도교적인 그림이 새겨진 무늬벽돌
  1. 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보물)
  2.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보물), 손기정이 기증한 그리스 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