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마을로 들어가는 아름다운 다리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외나무다리이다. 내성천이 마을을 휘감고 돌아 마치 섬같은 지형을 하고 있는 무섬마을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였던 다리이다. 다리는 길이 약 150 m, 폭 20 ~25 cm, 높이 60 cm로 한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는 다리이다. 다리 중간에 비껴다리를 만들어 마주 오던 사람이 비껴갈 수 있게 만들었다. 1979년 마을로 들어오는 수도교가…

  • 달성 다람재, 낙동강 경치가 아름다운 고갯길

    대구 달성군 현풍면 자모리와 구지면 도동리를 연결하는 고갯길인 다람재(해발 250 m)이다. 낙동강이 굽이쳐 흐르는 대니산 북쪽편에 있는 고갯길로 다람쥐를 닮았다고 해서 다람재라 부른다. 중요한 교통로는 아니고 도동서원을 가는 길목에 있으면서 낙동강과 주변 경치가 아름다운 경관명소로 잘 알려져 있다. <달성군 현풍면 구지리 일대를 흐르는 낙동강> <남쪽 다람재가 있는 고갯길과 낙동강> <다람재 정상으로 오르는 길> <다람재 정상>…

  • 성주 경산리 성밖숲, 마을의 재앙을 막기 위해 읍성 바깥 강변에 조성한 숲

    경북 성주군 성산읍 경산리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주 경산리 성밖숲’이다. 풍수지리에 영향을 받아서 마을의 재앙을 막기 위해 옛 성주읍성 서문 밖 낙동강 지천인 이천변에 숲이 조성되어 있다. 원래 밤나무가 심어져 있었는데 임진왜란 이후 밤나무를 베어 버리고 왕버들을 심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곳에 심어진 왕버들은 수령이 300~500년된 것으로 현재는 50여 그루가 남아 있다. 시골마을에 남아 있는 비보림…

  • 춘천 남이섬, 정원이 아름다운 북한강의 명소

    강원도 춘성군 남산면 빙하면에 있는 남이섬이다. 강원도 춘천과 경기도 가평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섬을 오가는 배를 타는 선착장이 가평군에 있어 실질적으로는 가평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원래는 홍수때만 물에 잠겼으나 일제강점기에 청평댐이 건설되면서 섬으로 바뀌었다. 사람이 살지않는 무인도나 마찬가지였으나 1960년대 이곳에 나무를 심고 관광지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경춘선 가평역에서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70년대부터 젊은이들이…

  • 태백 구문소 전기고생대 지층 및 하식지형(천연기념물)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에 있는 구문소 전기고생대 지층 및 하식지형(천연기념물)이다. 구문소(求門沼)는 낙동강 발원지인 황지에서 솟아난 황지천이 암반을 뚫고 지나면서 철암천과 만는 곳에 형성된 석문과 작은 소(沼)이다. 세종실록지리지 등 고문헌에는 구멍이 뚫린 하천이라는 뜻의 천천(穿川)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구문소 부근 석회암 지대에는 건열, 물결자국 등 다앙한 형태의 퇴적구조와 삼엽충, 완족류, 두족류 등의 다양한 생물화석이 출토되고 있다. 구문소는…

  • 담양 죽녹원, 울창한 대나무숲으로 잘 알려진 공원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에 있는 죽녹원이다. 조선시대 양반들이 조성한 많은 정자가 있는 곳은 아니지만, 대나무숲이 아름다운 공원으로 전국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담양을 찾았던 많은 사람들이 담양향교를 방문할 때 이 숲을 찾았던 것으로 보인다. 담양향교 강당에서는 담양읍치와 주변의 넓은 평야, 죽녹원 앞을 흐르는 영산강과 관방제림이의 경치가 한 눈에 들어온다. 또한 죽녹원으로 들어가 하늘을 찌를듯이 자라고 있는…

  • 담양 관방제림(천연기념물), 홍수를 막기 위해 영산강 둑방길에 심은 풍치림

    전남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관방제림(천연기념물)이다. 관방제림은 담양읍치 북쪽 영산강 제방에 심어진 고목들을 말한다. 둑방길에 심어진 나무들은 담양읍 남산리 동정말에서 천변리까지 약 2km 정도 이어진다. 오래된 것은 약 300~400년전에 심어졌다고 하며, 일반적 나무들은 구한말인 1854년(철종5)에 담양부사가 심은 것이라 한다. 메타세콰어길, 대나무숲으로 유명한 죽녹원과 함께 담양관광의 중심이 되었다. 죽녹원을 찾았던 관광객들이 관방제림 아래 자전기길을 이용하거나 둑방길을 산책하면서…

  • 춘천 소양강댐과 소양호,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

    춘천시 신북읍에 위치한 소양강댐과 소양호이다. 북한강 지류인 소양강을 막고 세운 이 댐은 다목적댐으로 1973년에 완공하였다. 흙과 돌을 쌓아서 만든 사력댐으로 길이 530m, 높이 123m의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저수량은 29억톤의 이르는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이다. 70년대 경제개발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댐의 웅장한 경관을 보기 위해서 찾았던 곳이다. 원래 콘크리이트 중력식 댐을 건설할려고 했으나, 한국경제를 부흥시키는데…

  • 낙동감 임하댐, 반변천을 막아 조성한 다목적댐

    임하댐은 안동댐과 함께 낙동강 중.상류지역의 안정적인 수자원공급과 홍수조설을 위해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에 세워진 다목적댐으로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댐은 높이 73m, 길이 515m, 총저수량 595,000,000㎡의 규모이며, 유역면적인 1,461㎢에 이른다. 조정지댐은 높이 10m, 길315m이다. 임하댐은 1984년 착공하여 1992년에 준공하였다고 한다. 댐건설로 안동시 임동면을 비롯하여 3개군 6개면41개 마을이 수몰되었다. <안동 임하댐>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소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