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백제

  •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보물)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보물)’이다. 삼국시대 백제 지방세력의 무덤 유적인 전북 고창군 봉덕리 고분군(사적)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금동신발은 장례 대 의례용으로 만들어진 신발로 백제적인 형식과 문양을 보여주는 금속공예품이다. 이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확인된 19점의 금동신발 중 형태나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여겨진다. 백제 중앙에서 지방세력에게 내려준 ‘위세품’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금동신발…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에 있는 마애삼존불입상(국보)이다. 불교가 전래되던 초기(6세기 말 7세기초)에 조성된 마애불상이다. 한반도와 중국 산동지방간 해상교역로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태안반도 백화산 중턱에 있던 삼국시대 석굴사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가 중국 남.북조와 교류하던 6세기경 중국 북제의 석굴사원 불상의 영향을 받은 불상으로 ‘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에 선행하는 양식을 가졌다.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국보, 삼국시대 백제,…

  • 나주 복암리 고분군(사적), 영산강 이북 백제 토착세력 무덤

    전남 나주시 다시면 복암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토착세력의 무덤이다. 이곳에는 4개의 큰 봉분이 남아 있으며 발굴.조사결과 32기의 다양한 무덤이 확인되었다. 무덤의 형태는 독무덤, 굴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앞트기식돌방무덤 등으로 다양하며 4세기부터 7세기초까지 오랜 세월동안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제신발, 관모, 고리자루큰칼 등 높은 신분이었음을 알려주는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나주 복암리는 현 나주시 중심부에서 멀지 않은 영산강 이북에 위치하고…

  • 나주 반남고분군(사적), 영산강유역 백제 토착세력 무덤

    전남 나주시 반남면 일대에 남아 있는 반남고분군(사적)이다. 영산강 하류 넓은 평야지대에 위치한 자미산성을 중심으로 대안리, 신촌리, 덕산리 등 비교적 넓은 지역에 40여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이 고분군에는 다른지역에서는 없는 대형옹관을 비롯하여 금동관, 금동신발, 봉황문 고리자루칼 등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이른 시기의 것은 땅을 파서 옹관을 안치한 후 봉분을 쌓았으나 후대에는 봉분을 쌓고 정상부에 옹관을 안치하였다. 옹관고분은…

  • 나주 자미산성,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 근거지에 남아 있는 산성

    전남 나주시 반남면 소재지에 있는 산성인 자미산성이다. 영산강 일대 나주평야 중심부에 있는 낮은 야산인 자미봉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둘레는 약 740 m이고 흙으로 다져 쌓은 토축식 산성을 후에 돌로 쌓아 보강하였다. 성안에는 건물터와 샘터, 3곳의 문터가 확인되었다. 삼국시대 백제의 지방세력이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려,조선시대 기와조각들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조선시대에도 사용되었던…

  • 예산 임존성(사적),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였던 곳

    충남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에 있는 임존성(사적)이다. 삼국시대 백제가 쌓은 산성으로 백제 멸망 후 흑치상지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부흥운동의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봉수산(해발 483.9 m)의 봉수산과 동쪽편 봉우리를 에워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성벽은 둘레 약 3 km로 바깥쪽을 돌로 쌓은 석축성이며 성벽의 높이는 2.6 m 정도이다. 현재는 성벽 일부와 성문, 수구문, 우물터, 건물터 등이 남아 있다. 봉우리와…

  • 부여 사택지적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비석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 중인 사택지적비(보물)이다. 백제 의자왕 때의 귀족 사택지적이 남긴 비석으로 부여 부소산성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화강암 한면 한면을 다듬어 네모모양의 칸을 만들고 그 안에 글씨를 새겼다. 비석의 오른쪽에 봉황(혹은 삼족오)이 새겨져 있다. 현재 전하는 백제의 유일한 비석이다. 비문은 사택지적이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며 금당과 탑을 세운 동기 등이 기록되어 있다. 글의 양식은 두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따로…

  • [부여박물관] 사비기 백제 때 사용되었던 석조

    국립부여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는 석조들이다. 주로 사비기 백제 때 만들어져 사용되었던 석조들로 현존하는 석조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유물들이다. 당시 왕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사적)을 비롯하여 부여 동남리, 현북리, 용정리 등에서 출토되었다. 그 형태는 사찰에서 볼 수 있는 석조와 비슷한 형태의 것들도 있으며, 석연지로 추정되는 둥근 형태의 석조들도 있다. 석조(石槽)는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 큰…

  • 부여 석조(보물), 백제 왕궁에서 연꽃을 심었던 곳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석조(보물)이다. 이 석조는 사비기 백제 왕궁터로 추정되는 부여 관북리 유적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부여현 관아 동헌 앞에 놓여 있었다. 사찰 입구에 놓여 있던 손을 씻고 샘물을 받아 먹던 석조와는 형태나 용도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工형 받침 위에 둥근 꽃봉오리가 형태를 하고 있는데 장식은 없지만 풍만하면서 깔끔한 곡선미를 보여 주고 있다. 궁궐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