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강화고인돌

강화 부근리 지석묘(사적), 동아시아 고인돌을 대표하는 유적지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에 소재한 지석묘(사적)이다. 하점면 일대 40여기의 고인돌과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많은 고인돌을 대표하는 고인돌이다. 높이 2.6m, 덮개돌 길이 6.5m의 대형 고인돌로 탁자모양을 하고 있는 북방식 고인돌이다. 부근리 일대에서 무문토기조각과 간돌검 등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덮개돌, 받침돌이 온전히 보존되어 있으며, 사체를 넣은 막았던 판석은 남아 있지 않다. 그 형태가 웅장하여 제단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강화 고인돌은 2000년 12월 고창, 화순의 고인돌유적과 함께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강화고인돌은 밀집도가 높고 다양한 형식이 함께 존재한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았다. 강화 고인돌은 157기가 보고되어 있으며, 주로 고려산 북쪽과 별립산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탁자형태를 하고 있는 북방식과 바둑판 형태를 하고 있는 남방식이 고루 분포하고 있어 남쪽과 북쪽의 고인돌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동아시아 일대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무덤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 강화 부근리 지석묘(사적137호). 묘실을 구성했던 판석이 남아 있지 않아 탁자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모습이 제단과 비슷하여 제단으로 보는 견해도 일부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측면에서 본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부근리 일대에서 출토된 간돌화살촉. 청동기시대 유물들이 부근에서 출토되고 있어 조성연대를 청동기시대로 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청동기시대 고인돌을 조성하는 모습을 재현해 놓은 모형(강화역사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동쪽에서 본 모습. 안정감을 보여주는 정면과는 달리 약간 불안정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뒤쪽(북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서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강화도의 주산이라 할 수 있는 고려산.

강화에서는 약 40여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데 주로 고려산 북쪽 언덕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간척으로 지금은 고려산 북쪽에는 넓은 농지가 있지만, 원래는 갯벌이었다고 한다. 한강하구 주요 교통로에 위치한 지역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에 고인돌을 조성할 수 있는 지배계층이 등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부근리 서쪽 별립산 주변에도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강화 부근리 고인돌은 사적 13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찾는 강화도의 명소이다. 주변에는 고인돌을 조성한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재현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청동기시대 주거지인 움집

OLYMPUS DIGITAL CAMERA강화 부근리 고인돌 유적지.

OLYMPUS DIGITAL CAMERA최근에 조성한 강화역사박물관

SANYO DIGITAL CAMERA2009년 강화 부근리 고인돌

강화 부근리 지석묘(사적137호),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우리나라는 고인돌의 나라라고 할 만큼 수량면에서 전세계적으로 단연 으뜸이다. 강화도 고인돌은 동북아시아 고인돌의 흐름과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강화도 지석묘로 잘 알려진 이 고인돌은 이른바 탁자식(북방식) 지석묘라고 분류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인돌이다. 해발 약 30m 높이의 능선 위에 세워진 이 고인돌은 흙으로 바닥을 수십층 다진 뒤 받침돌(지석)을 좌우에 세우고 안쪽 끝에 판석을 세워 묘실을 만들어 사체를 넣은 다음, 판석을 막아 무덤을 만들었으나 두끝의 마감돌은 없어진 상태여서 석실 내부가 긴 통로 같지만, 제단 기능의 고인돌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규모는 덮개돌이 긴축의 길이가 6.4m, 너비 5.23m, 두께 1.34m에 전체 높이 2.45m이다. <출처:강화군청>

강화 삼거리고인돌군, 유네스코문화유산

삼거리고인돌군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유적이다. 강화도의 주산인 고려산 서쪽 능선에 자리잡고 있는 약 10여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남아 있는 고인돌은 대부분 쓰러져 있으나, 남아 있는 뚜껑돌과 굄돌이 원형을 제대로 유지하고 있다. 고인돌의 형태는 굄돌과 판돌로 4면을 막고 뚜껑을 덮은 탁자식 고인돌이며, 뚜껑돌에는 성혈로 보이는 구멍이 여러개 패여 있는 것이 있다. 주변에는 채석장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곳은 강화, 화순, 고창지역 고인돌이며, 그 중 강화도에는 고인돌을 대표하는 부근리지석묘(사적137호)를 비롯하여 9곳의 고인돌군이 있다. 강화도 고인돌은 강화도의 주산인 고려산 서쪽 능선을을 따라 160여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예전에 아이스크림 광고나 만화의 영향으로 원시인들이 살았던 집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역사시대가 시작되었던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무덤양식이다. 고인돌은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그 형태로 문화교류의 흔적 등으로 볼 때 동일한 역사성을 갖는 것은 아니라 유사한 문화를 가졌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반도부근에서는 중국 요령성에서부터 일본큐슈지방까지 고인돌이 발견되는데 그 중 대부분이 한반도에 산재해 있다. 이런 까닭에 고인돌이 발견되는 영역은 당시 고대국가였던 고조선, 그리고 고조선과 교류했던 지역으로 보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 삼거리 고인돌군은 고려산 서쪽 능선 끝자락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무덤이다. 능선에 약10여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고, 주변에서는 돌을 채취한 채석장 흔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SANYO DIGITAL CAMERA강화군 고려산 서쪽으로 뻗어나간 능선에 남아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인 강화 삼거리고인돌이다. 능선에 약 10여기의 고인돌이 남아 있는데 그 중 원형이 잘 남아 있으면서 웅장한 형태를 하고 있는 고인돌이다.

SANYO DIGITAL CAMERA능선에는 약 10기가 남아 있어 고인돌군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 상석과 굄돌이 쓰러져 있으나 그 원형들이 잘 남아 있는 편이다.

SANYO DIGITAL CAMERA꽤 큰 굄돌이 남아 있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규모가 크지 않은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안쪽편에 있는 무너져 있어서 크게 보이지는 않지만 굄돌과 뚜껑돌의 크기로 볼 때 꽤 큰 규모였던 것으로 보이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넓고 평평한 뚜껑돌만 남아 있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능선을 따라 산재해 있는 고인들의 흔적. 굄돌만 남아 있는 경우도 있고, 뚜껑돌만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SANYO DIGITAL CAMERA 삼거리 고인돌군에는 뚜껑돌에 직경 5cm 정도의 성혈이 보이는 구멍이 패여있다고 하는데, 멀리서 성혈처럼 보이는 구멍이 보이는 것 같다.

SANYO DIGITAL CAMERA능선에 자리잡고 있는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능선을 오르는 길에 볼 수 있는 뚜껑돌

SANYO DIGITAL CAMERA 작은 크기의 고인돌들이 숲속에 흩어져 있다.

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산속에 흩어져 있는 작은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마을부근에 볼 수 있는 반으로 갈라진 뚜껑돌

SANYO DIGITAL CAMERA삼거리고인돌군이 있는 능선으로 오르는 길. 주변에 크고 작은 고인돌을 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삼거리 고인돌군이 있는 마을길.

강화 삼거리고인돌군, 강화군 하점면 삼거리
강화지역에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고인돌이 산재해 있으며, 특히 이들 중 10~20여기에 달하는 군집을 이루는 고인돌군이 5개가 있다. 이 중 하나인 삼거리 고인돌군은 고려산 북쪽 능선에 위치하며, 모두 10여기의 북방식 고인돌이 3개의 소군집을 이루고 있다. 삼거리고인돌 중에는 덮개돌에 성혈이라고 하는 작은 구멍이 패여있기도 하는데 이를 별자리와 연관짓기도 한다. 2000년 12월 2일, 화순의 고인돌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출처:강화군청>


크게 보기